문학의 창 629

[스크랩] 신약성서의 화폐 (2) - 드라크마

신약성서의 화폐 (2) - 드라크마 1. 희랍의 드라크마 = 로마의 데나리온 "어느 여자가 열 드라크마가 있는데 하나를 잃으면 등불을 켜고 집을 쓸며 찾도록 부지런히 찾지 아니하겠느냐"(눅 15.8). 신약성서 안에서 화폐 단위에 대한 혼동은, 유대, 희랍(달란트, 므나, 스타터, 드라크마, 렙돈), 로마(데나리온, 앗사리온, 고드란트)의 화폐 시스템이 서로 함께 어울려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가중된다. 그 중 희랍의 은전인 드라크마(drachma)는 누가복음 15장 8a,b,9에서만 등장하는데, 동일 희랍의 화폐 단위에서 비교할 때 이것은 1/100 므나, 즉 1/6000 달란트에 해당하는 가치를 지닌다. 한편 희랍의 드라크마는 로마의 은전 데나리온와 같은 화폐 가치를 갖는다. 누가복음서에 등장하는..

[스크랩] 신약성서의 화폐 (1) - 데나리온

신약성서의 화폐 (1) - 데나리온 1. 노동자의 하루 임금 "저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군들과 약속하여 포도원에 들여보내고..."(마 20.2) 데나리온(d narion)은 신약성서 가운데에서 가장 빈번히 언급되고 있는 화폐단위이다. 원래 그 무게는 4.55g이었으나 네로 때에 3.41g으로 줄었고, 후에는 2.3g으로 떨어졌다. 직경도 22mm에서 18mm로 줄었다. B.C.209-A.D.215에 데나리온은 표준이 되는 은전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데나리온은 노동자의 하루 임금에 해당하는 가치로 간주되어(마 20.2-13), 다른 화폐의 가치를 가늠할 때의 중요한 기준화폐가 되었다. 그밖에 마태복음에서는, 용서를 경험했지만 스스로는 용서를 베풀지 못했던 사람이 동료에게 빌려주었던 돈이 100 데나리온..

[스크랩] 신약 시대 역사적 배경

신약시대의 역사적 배경 신약시대의 역사적 배경 1. 마카비 전 시대(페르시아, 헬라, 애굽, 시리아 지배 시대) 1) 메디아 페르시아의 유대 지배(주전 536년-331년) # 페르시아는 앗수르나 바벨론과는 달리 피정복 국민을 자치 형식을 통해 통치함 # 페르시아 왕 고레스의 영에 따라 유대 백성들은 예루살렘으로 귀환하여 성전을 재건할 수 있게 됨(에스라, 느헤미야, 학개, 스가랴, 말라기 시대). # 사마리아인들과의 갈등 # 말라기 * 고레스(538-530) * 세스바살 인솔 하에 귀환 제단이 세워짐 성전 공사 착수(여호수아, 스룹바벨) * 캄비세스(530-522) * 성전공사 중단(사마리아인과의 갈등) * 다리오 1세(522-486) * 성전공사 재개(520년; 학개, 스가랴) * 성전 봉헌(515년)..

[스크랩] 그리스도에 관한 50가지 예언의 성취

그리스도에 관한 50가지 예언의 성취 예 언 내 용 성 취 창 3:15 창 17:7 렘 23:5, 6 단 9:24, 25 사 7:14 미 5:2 시 72:10 렘 31:15 호 11:1 말 3:1 사 61:6 신 18:15-18 사 61:1, 2 사 9:1, 2 슥 9:9 사 42:2 사 40:11, 42:3 시 69:9 시 78:2 사 35:5, 6 시 69:7, 9, 20 시 69:8 시 69:4 시 118:22 시 2:1, 2 시 41:9 슥 13:7 슥 11:12 슥 11:13 여인의 후손 아브라함의 후손 다윗의 후손 정한 때에 이르다 동정녀 탄생 베들레헴에서 탄생 위대한 사람들이 그를 공경함 영아 살해 애굽에서 부르심 선구자의 출현 성령의 기름부으심 모세와 같은 선지자 공생애 시작 갈릴리에서 전..

[스크랩] 주제별 말씀요약

클릭하시면 보실수 있습니다^^ 감사하는 생활이 주는 유익 감사함으로 예비 되는 것 겨자씨 비유의 교훈 결실하는 밭 구원에 이르는 믿음 과정 구원의 3단계 그리스도 안에서 얻는 유익 그리스도 안에 우리들 그리스도 인의 마음이란?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향 다른 복음을 전하면 저주를 받음 두 종류의 성도 마귀의 시험을 이기는 방법 마지막 아담과 첫 아담 말세에 성도들의 바른 신앙자세 말세에 그릇된 현상 말세의 징조 모든것 계시로 알게 하시는 하나님 모범된 가정 믿음의 정의 믿음의 종류 바람직한 교회의 모습 바울이 가진 흔적 바울의 전도 방법 바울이 취한것과 버린 것 버림 이 주는 가치관 베다니 마리아의 믿음 보혈의 능력 복음의 여러 모양 본받을 믿음의 자세 부르심에 합당한 자 부자 청년을 통한 예수의 교훈 불의..

[스크랩] 법궤

29. 법궤(法櫃) ◈ 법궤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 그들은 조각목으로 궤를 짓되 장이 이 규빗 반, 광이 일 규빗 반, 고가 일 규빗 반이 되게 하고 너는 정금으로 그것을 싸되 그 안팎을 싸고 윗가로 돌아가며 금테를 두르고 금고리 넷을 부어 만들어 그 네 발에 달되 이편에 두 고리요 저편에 두 고리며 조각목으로 채를 만들고 금으로 싸고 그 채를 궤 양편 고리에 꿰어서 궤를 메게 하며 채를 궤의 고리에 꿴대로 두고 빼어내지 말찌며 내가 네게 줄 증거판을 궤 속에 둘찌며 정금으로 속죄소를 만들되 장이 이 규빗 반, 광이 일 규빗 반이 되게 하고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두 끝에 쳐서 만들되 한 그룹은 이 끝에, 한 그룹은 저 끝에 곧 속죄소 두 끝에 속죄소와 한 덩이로 연하게 ..

[스크랩] 성막3

27. 성막(聖幕)(3) 9. 영혼의 종합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육신의 질병은 병원에서 진단하여 고치게 됩니다. 그러나 영혼의 질병은 성막에서 말씀으로 고치게 됩니다. 무슨 병인지 모르는 것이 가장 큰 병입니다. 성막을 문부터 법궤까지 공부하면 영혼이 어디가 병들었는지 종합진단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1) 뜰문 앞에서 나는 정말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의 유일한 구주로 고백하고 있는가? (2) 번제단 앞에서 나의 죄는 무엇인가? 나의 죄를 예수 피로 속죄함받은 것을 확실히 믿는가? 그리고 용서 받은 의인이라는 확신이 있는가? (3) 물두멍앞에서 나는 죄를 버린 후 성결된 생활을 하고 있는가? 중생하고 지은 죄의 사슬을 끊었는가, 버리지 못하고 끌려다니는 죄는 없는가? (4) 등대앞에서 나는 빛된 생활을..

[스크랩] 성막2

26. 성막(聖幕)(2) 5. 성령이 인도하시는 생활이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하여 가나안 땅으로 가는 모든 과정에서 인간적인 민주주의의 방법, 즉 다수결에 의해 모든 것을 결정하고 가나안땅을 향해 갔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도 십중팔구 도중에서 애굽으로 다시 회귀하였을 것이다. 통과하는 지역에 거주하는 토착민과의 전쟁과 밤낮으로 일교차가 심한 사막의 더위나 추위에 시달리는 문제를 차치(且置:내버려 두고 문제 삼지 않음)하고서라도 먼저 20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의 식량과 식수가 해결 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거대한 무리가 광야에서 40년간을 지나는 동안 굶어 죽은 사람이 하나도 없었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섭리가 아니고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

[스크랩] 성막1

25. 성막(聖幕)(1) ◈ 성막을 공부해야하는 이유 신구약 성경은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주인공이며 모든 내용의 촛점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성막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아주 세밀하게 상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막을 모르면 구약을 조감할 수 없으며, 구약을 모르면 신약을 이해할 수 없게되고 결국 우리의 신앙의 대상인 예수 그리스도를 바로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성경을 읽을 때 초심자일수록 이 성막부분은 생략하고 넘어 가는 수가 많고 설령 읽는다 하더라도 그 뜻을 잘 모르는체 넘어가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구약의 모든 율법이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완성되었는데 이제는 그 효력이 상실된 옛날 구약시대의 볼품없는 구조물을 무엇 때문..

바울의 율법과 복음 - 서론[출처] 바울의 율법과 복음 - 서론|작성자 성산지기

바울의 율법과 복음 : 서론 _ 홍인규 교수 ​ 서론 율법은 바울에게 있어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율법은 바울의 신학과 윤리의 여러 주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울의 율법관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바울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일이다. 바울 서신에서 율법이라는 주제는 극도로 복잡한 문제이다. 쇠프스가 말한 것처럼, 그것은 아마도 "바울의 신학에서 가장 난해한 교리적 이슈"일 것이다.1 그 난점은 주로 바울의 율법관에서 나타난 외견상의 모순에 기인한다. 한편으로, 바울은 율법을 부정적으로 말한다. (1) 칭의는 율법으로 말미암지 않는다(갈 2:16; 3:11; 롬 3:28). (2) 율법은 약속보다 열등하다(갈 3:15 이하). (3) 율법은 범법함을 (생산하기) 위해서 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