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바울, 새관점 10

새 관점주의의 바울 흔들기/김정훈 교수

순서 새 관점주의의 바울 흔들기/ 김정훈 교수 김정훈 교수의 논문에 대한 논평1/ 조석민 교수 김정훈 교수의 논문에 대한 논평2/ 이한수 교수 옛 관점과 새 관점의 충돌-주석적 평가와 제안 권연경 (안양대학교) 들어가며 최근 바울 신학 연구는 소위 “새 관점주의”를 언급하지 않고는 논의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분위기이다. “새 관점주의”가 처음 학계에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30여 년 전 E.P. Sanders가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 of Religion (Philadelphia: Fortress, 1977)이라는 책을 내면서부터다. Sanders는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교를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

[스크랩]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이승구 교수 / 합동신학대학원

이승구 교수 / 합동신학대학원 의 요청으로 써서 기고하는 글을 여기 미리 소개합니다. 여러 분들이 다 같이 유익을 얻을 수 있기 바랍니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이미 50여년-40 여 년 전부터 ‘바울에 대한 새 관점’으로 바울을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신약학계에서 나타났으니 이것이 이제는 새로운 관점이 아니라는 주장도 나타났고, 이에 대한 좋은 비판서들도 이미 많이 나와 있다. 또한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이라는 것도 단일한 것이 아니어서 바울에 대한 새로운 여러 관점들이라고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제2성전 시기 유대교(Second Temple Judaism)와 바울에 대해서 성경에 묘사된 예수님의 견해나 종교개혁자들의 바울 이해와는 다른 이해를 가져야 한다는..

[스크랩] 바울신학과 새 관점(김세윤교수)

서론 종교개혁 이래, 어떤 학파도, 심지어 Bultmann 학파조차도, 새 관점 학파보다 바울 학계에 더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새 관점 학파는 Sanders가 제2성전 유대교(Second Temple Judaism)를 언약적 신율주의(covenantal nomism)로 규정한 것에 기초하여 바울의 복음, 특히 그의 칭의론을 근본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많은 면에서 바울 복음에 대한 종교 개혁의 해석을 사실상 뒤집어 버렸다. 1. 바울의 회심/ 소명, James D. G. Dunn, 그리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 1. Dunn의 해석 Dunn에 따르면 바울이 회심하기 전에는 마카베(마카베1서2장), 비느하스(민25:6-13) 등을 본받아, 헬레니즘의 혼합주의적 타락에 대항하여 유대종교를 흠 ..

옛 관점과 새 관점의 충돌-주석적 평가와 제안

옛 관점과 새 관점의 충돌-주석적 평가와 제안 권연경 (안양대학교) 들어가는 말 “바울에 관한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이 바울신학계의 화두로 등장한 지도 수십 년이 지났다. 각자의 입장이 무엇이든, 새 관점은 바울에 관한 진지한 논의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흐름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개혁주의 전통이 강한 한국 신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새 관점이 종교개혁의 핵심적 가르침을 부정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때 종교개혁의 유산은 여러 “전통” 중 하나를 넘어 성경의 가르침을 가장 정확하게 구현한 “진리”로 전제된다. 그러기에 종교개혁 전통으로부터의 이탈은 성경적 복음으로부터의 이탈과 다르지 않다. 그런 마당에, 이..

새 관점주의의 바울 흔들기

새 관점주의의 바울 흔들기 김정훈(백석대학교, 신약학) 들어가며 1. E.P. Sanders의 유대교 이해: “언약적 율 법주의”(Covenantal Nomism) 2. J.D.G. Dunn의 “이신칭의” 이해: 이방인을 유대인의 언약적 지위로 편입시키기 위한 사 회론적 변증 교리? 3. 전통적 “이신칭의” 이해: 잘못된 것인가? 4. 바울의 “언약 백성” 이해: 이신칭의는 이 방인과 유대인 모두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되는 관문 나가며 들어가며 최근 바울 신학 연구는 소위 “새 관점주의”를 언급하지 않고는 논의가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분위기이다. “새 관점주의”가 처음 학계에 얼굴을 내밀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30여 년 전 E.P. Sanders가 Paul and Palestinian Juda..

바울에 대한 새 관점’ 학파 유감

바울에 대한 새 관점’ 학파 유감 지난 40-50년 동안 신학계에서는 소위 ‘바울에 대한 새 관점’(the New Perspective of Paul, NPP) 학파들로 인해 신학적 학문의 열기가 고조되어 왔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이 학파의 거장으로 알려진 톰 라이트의 저서들이 거침없이 번역, 소개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세계적인 신학계의 흐름과도 무관하지 않다. 반면에 ‘바울에 대한 새 관점’ 안에 담겨 있는 미묘한 신학적 해석의 차이점에 대해 바르게 알지 못하는 성도들에게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이 가져다 줄 위험성도 결코 배제할 수 없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이라는 말은 ‘바울이 말한 신학의 새로운 관점'이 아니라 몇몇 학자들이 말한 '..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접근과 개혁신학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의 접근과 개혁신학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최갑종(백석대학교) I. “새 관점”(the New Perspective on Paul)의 등장 1982년 11월 14일, 영국 Durham대학교 교수 던(James D.G. Dunn)은 Manchester대학교의 ‘맨선기념강연’(the Manson Memorial Lecture)에서, 캐나다 MacMaster대학교 교수 샌더스(E.P. Sanders)가 1977년에 출판한 Paul and Palestinian Judaism와 더불어 태동한 “새로운 유대교이해에 따른 새로운 바울연구운동”을 가리켜 “The New Perspective on Paul”(우리말로 줄여 보통 “새 관점”이라 부른다) 명명(命名)하였다. “새 관점”의 기..

바울의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의 이신칭의에 대한 비판,톰 라이트(Tom Wright)와 존 칼빈(John Calvin)의 비교를 중심으로

바울의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의 이신칭의에 대한 비판 톰 라이트(Tom Wright)와 존 칼빈(John Calvin)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 은선 교수(안양대) I. 들어가는 말 바울의 새 관점은 1960년대 스텐달(Krister Stendahl)의 연구에 의해 시작되어 점차로 동조자들이 확대되어 왔다. 1970년대에 샌더스(E. P. Sanders)에 의해 언약적 율법주의가 주장되어 종교개혁자들의 바울 서신에 대한 이해가 잘못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이후 제임스 던(James Dunn)과 헤이스(Richard B. Hays)를 비롯한 여러 신학자들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그와 함께 개혁주의자이며 복음주의자인 톰 라이트가 수용하여 대중적인 전파자가 되었다. 특히 영국 ..

율법주의, 언약적 율법주의, 은혜언약 -‘바울의 새 관점들’의 신학적 소재(所在)?

율법주의, 언약적 율법주의, 은혜언약 - ‘바울의 새 관점들’의 신학적 소재(所在)? 김병훈, 합신 조직신학 들어가는 말 바울을 새롭게 읽어야 한다는 주장들, 곧 ‘바울에 대한 새 관점들’이라 일컫는 견해들은 교리사적 관점에서 볼 때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것이 ‘새 관점’이라 불릴만하다면 그것은 가장 기본적으로 의롭게 됨의 교리와 관련하여 종교개혁신학으로부터의 이탈, 또는 거부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곧 ‘탈 종교개혁신학’ 또는 ‘반 종교개혁신학’의 주장을 개진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들’은 루터파 또는 개혁파의 종교개혁 신학들이 바울을 읽어왔던 것과는 다르게 바울을 읽는 것이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는 것이라고 주장을 한다. 사실 ‘바울에 대한 새 관점들’(이하 ‘새 관점들’로..

바울신학의 새 관점들(NPP)의 ‘언약적 율법주의’에 대한 개혁신학의 비평

바울신학의 새 관점들(NPP)의 ‘언약적 율법주의’에 대한 개혁신학의 비평 김병훈 교수(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시작하는 말 ‘바울신학의 새 관점들’이라는 표현과 ‘언약적 율법주의’라는 말을 처음 들어본 독자들은 제목부터 낯설고 이런 주제의 글에 대해 접근하고 싶지 않은 인상을 받을 것이라 염려된다. 하지만 ‘바울신학의 새 관점들’은 개혁신학이 성경적 진리로 발견하고, 확신한 복음의 설명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이므로 가벼이 지나칠 수 없는 신학적 도전임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종교개혁의 구원론을 무너트릴 뿐만 아니라, 기독론의 수정까지도 요구하며 신론과 인간론을 망라하는 신학 체계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미친다. 한국 신약학계는 상당수의 학자들이 이미 ‘새 관점 신학’을 수용하고 그 신학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