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창/- 믿음의 창 217

[스크랩] ‘목자’로서의 목회자, 다윗

‘목자’로서의 목회자, 다윗 -사무엘상하를 중심으로- 1. 시작하며 2. 목자로의 부르심 2.1. 시대적 상황 2.1.1. 말씀이 희귀하던 시대 2.1.2. 백성들이 왕을 요구하던 시대 2.1.3. 목자같은 왕을 갈망하던 시대 2.2. 목자의 직분은 하나님의 은총이다. 2.2.1. 다윗의 부르심 2.2.2. 목회자의 정체성 2.2.3. 타인의 정체성 혹은 부르심에 대한 목회자의 태도 3. 목자훈련 3.1. 궁중에서 3.2. 전쟁의 현장에서 3.3. 인간관계에서: 사랑받고 사랑하는 사람으로 훈련 3.4. 친구관계에서: 다윗과 요나단의 우정 언약 3.5. 광야에서 3.5.1. 사람들의 섬김 속에서 3.5.2. 아둘람 공동체: 공동체 훈련 3.5.3. 타인의 인생에 대한 관용과 태도 3.5.4. 광야에서의 자..

[스크랩] 목회자와 경건생활

목회자와 경건생활 목회의 기본은 목회자가 한 사람이 형제로 보이기 시잘 할 때이다. 목회자가 한 성도에 대한 질실한 마음을 가지기 시작 하면서 진실한 목회가 시작된다. 그리고 평생 자기 사역을 지탱해주는 일은 경건훈련을 지속하는 일이고, 수십 년을 계속해야 하는 일이다. 경건의 시간은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교제로서, 하루하루 말씀과 기도로 하나님과 만나는 개인적인 교제의 시간이다.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은 우리에게 세밀하고 자세하게 말씀하시고 인도하시는 분이다. 그리스도인들의 활동 가운데 중요한 일은 주님을 만나는 일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려면 만나는 시간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나 만나는 목적이 서로 사랑하고 교제하기 위함이듯이, 경건의 시간은 교제시간을 지키는 습관에 집착하지 말고 주님과..

[스크랩] [요나서]하나님의 말씀의 권위성을 인정하십니까?(1:1)

1장 1절. 1절: 여호와의 말씀이 아밋대의 아들 요나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이 성경은 66권입니다. 창세기 출애굽기 요한계시록까지 66권이요. 66권의 성경은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아주 절대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요. 이 하나님의 말씀 외에는 인간의 그 어떤 말도 정확무오한 말은 절대로 없습니다. 천주교에 교황이 있지요? 천주교에서는 교황의 말을 절대로 잘못됨이 없는 정확무오한 말로 받아들이지요? 절대로 그건 잘못된 거요. 인간은 존재 자체가 불완전하고, 자기가 자기 앞일도 모르는 거고, 자기 목숨 역시 자기 마음대로 못하는 거고, 또 세상 환경과 사건을 제 마음대로 못하는 거고, 세상을 주권적으로 섭리를 할 수 없고, 이 우주만물 자연계를 보존할 수도 없는 겁니다. 그런데 교황의 말은..

[스크랩] 목회자와 경건생활

목회자와 경건생활 목회의 기본은 목회자가 한 사람이 형제로 보이기 시잘 할 때이다. 목회자가 한 성도에 대한 질실한 마음을 가지기 시작 하면서 진실한 목회가 시작된다. 그리고 평생 자기 사역을 지탱해주는 일은 경건훈련을 지속하는 일이고, 수십 년을 계속해야 하는 일이다. 경건의 시간은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교제로서, 하루하루 말씀과 기도로 하나님과 만나는 개인적인 교제의 시간이다.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은 우리에게 세밀하고 자세하게 말씀하시고 인도하시는 분이다. 그리스도인들의 활동 가운데 중요한 일은 주님을 만나는 일이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려면 만나는 시간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나 만나는 목적이 서로 사랑하고 교제하기 위함이듯이, 경건의 시간은 교제시간을 지키는 습관에 집착하지 말고 주님과..

[스크랩] 침례교 신학(Baptist Theology)

침례교 신학(Baptist Theology) 1부 신학적 특징 개관 1. 우선해야 될 질문들 1) 침례교의 기원에 대한 역사적-신학적 논쟁 A. 역사에 대한 침례교인의 태도 a. 대체로 역사에 무관심 b. 역사가 자신과 그리고 과거가 현재와 아무 상관이 없는 듯한 태도를 지님. 오직 현재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듯한 태도. [Walter B. Shudden, Not a Silent People: Controversies That Had Shaped Southern Baptists (Macon: Smyth & Helwys, 1995); 침례교 신학논쟁, 김용복 김태식 공역(대전: 침례회 출판사, 2000), 29] B. 역사에 대한 무관심한 이유들 * 역사에 대해 무지: 침례교인들은 그들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스크랩] 가정회복을 위한 교육 목회적 접근

가정회복을 위한 교육 목회적 접근/ 고용수 가정을 위한 목회적 관심이 오늘의 목회자들에게 크게 요청되고 있다. 그 이유는 “가정 부재”라는 오늘의 문화위기 현상을 보면서 하나는 하나님 나라의 문화형성의 대행기관으로서 교회가 지닌 문화창조라는 역사적 소명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성숙의 필요성에 부응해서 이를 위한 교육전략상 기독교 가정의 정체성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기 때문이다. 1. 가정의 기초가 흔들리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0년도 통계분석자료에 의하면, 하루 평균 915쌍이 혼인 했고 329쌍의 부부가 이혼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00년 연간 이혼이 12만 건으로 1999년 (11만 8천건)에 비해 2천 건이 늘어났고, 1991년 (4만9천 2백건)에 비해 이혼율이 2.6배 증가한 ..

[스크랩]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는 바야흐로 전환기에 서있다. 한국교회는 지금 안팎으로 근본적인 변화와 지속적인 갱신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개혁교회는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된다”(Ecclesia semper reformands)는 종교개혁 운동의 정신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동안 교회가 시름시름 앓고 있었던 병적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렀으며 그 현상들이 조금씩 추하고 일그러진 몰골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라 자처하는 목회자들에게 일차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죄와 욕심..

[스크랩] 성직론

성직론 대한예수교장로회 교역자양성원 청주개혁신학연구원 “네가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멸하며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인정된 자로 자신을 하나님 앞에 드리기를 힘쓰라”(딤후 2:15) 서 론 한국교회는 바야흐로 전환기에 서있다. 한국교회는 지금 안팎으로 근본적인 변화와 지속적인 갱신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개혁교회는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된다”(Ecclesia semper reformands)는 종교개혁 운동의 정신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동안 교회가 시름시름 앓고 있었던 병적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렀으며 그 현상들이 조금씩 추하고 일그러진 몰골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어..

[스크랩]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Ⅰ. 크리소스톰의 생애와 사상 A. 생 애 크리소스톰이란“황금의 입”이란 뜻을 가진 6세기 명칭인‘크리소스토모스’(chrysostomos)에서 기인한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주교이자 안디옥의 위대한 설교자로서, 그의 탁월한 웅변술로 인하여 후대 사람들로부터 부여받은 요한의 별명이기도 하다.경건한 기독교 가문, 헌신적인 어머니, 학문의 중심지에서 쌓은 우수한 교육으로 단단히 뒷받침된 그는 하나님의 강한 인도의 손길에 이끌림 받는 한평생을 보냈다. 믿음의 고향 안디옥이 경박한 생활과 성적문란으로 물들어 갔을때 매우 솔직하고 설득력 있는 신앙운동을 펼쳤고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로서의 정치적 타락과 불의와 압제에 과감히 맞섰던 대설교자 크리소스톰. 그는 정의를 외치다가 고통당하고 생명까지 빼앗겼지만..

[스크랩]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 신학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 신학 1. 이방인의 사도 바울에 대하여 1) 예수님을 만나기 전의 바울 상업과 교육의 중심지이며 정치적, 지적으로 이름난 길리기아 지방 다소 출신이다. 사울의 아버지는 베냐민(Benjamin)지파였고(빌3:5) 바리새파에 속했다.(행23:6) 그는 다소의 시민(행21:39)이었고 나면서부터 로마의 시민이었다(행22:28). 스데반 순교 당시 “그의 죽임 당함을 마땅히 여긴”(행8:1) 사실이나 “대제사장들에게 권세를 얻어가지고 많은 성도를 옥에 가두며 또 죽일 때에 내가 가편 투표를 하였다”(행26:10)고 한 구절을 볼 때 교회 핍박의 제 일인 자로서 성도들을 정죄한 청년이었다. 그는 가장 위대한 유대인 율법학자 가말리엘 밑에서 교육을 받았음으로(행22:3, 5:33 이하) 구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