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창/- 믿음의 사람

[스크랩] 역사를 바꾼 그리스도인- 한경직 목사편

에반젤(복음) 2019. 7. 1. 08:24



한경직 목사… 위대한 신앙유산 되새길수록 높은산

 

가장 좋은 옷을 입고 가장 멋진 자동차를 탈 수 있었지만 소매끝이 닳아빠진 옷을 입고 버스를 타며 산꼭대기 20평짜리 국민주택에 머무르기를 자처했던 바보같은 목회자.

한경직 목사님이 세상을 떠난지 3년이 가까워지지만 그를 그리워하는 사람은 늘어만 간다.

목회자들의 자질과 도덕성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그의 청빈하고 겸손했던 모습이 더욱 대비되기 때문이다.

 

그는 1902년 음력 12월29일 평남 평원군 공덕면 간리에서 한씨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간리는 주민이 힘을 모아 교회를 세웠을 정도로 기독교적인 분위기가 강했다.

한경직은 서당 대신 반작교회에서 운영하던 진광소학교를 다녔다.

 

오산학교로 진학한 그는 그곳에서 고당 조만식 선생을 만나 큰 감화를 받았다.

숭실전문학교 재학 시절 구미포 해변을 혼자 걷던 청년 한경직은 하나님의 강한 부름을 받는다.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백성이 돼야 복을 받는다, 하나님을 섬기라는 음성이 그에게 들려왔다.

 

이 일을 계기로 한경직은 선교사의 도움을 받아 미국 엠포리아대학과 프린스턴 신학대학에서 본격적인

신학수업을 받는다. 프린스턴을 졸업한 한경직은 신학자가 되기로 결심,예일대 신학부 박사과정에 진학하려

했지만 뜻밖에도 신체검사에서 폐결핵 3기 진단을 받았다.

깊은 좌절 가운데 한경직은 다시 하나님의 뜻을 구하게 됐고 2년 뒤 병이 완쾌된 다음에는 주위의 권고를 물리치고

백성들이 하나님의 뜻대로 살도록 하기 위해 귀국하게 된다.

 

이듬해 신의주 제2교회의 담임 전도사로 부임하면서 그의 목회 활동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처음 300명이던 성도는 3000명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일제의 신사참배에 적극 참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교회에서 추방당한 한목사는

보린원이라는 보육원을 설립,직접 밭을 일구며 고아들을 섬겼다.

 

해방 후 공산주의자들을 피해 서울로 내려온 한목사는 신앙의 자유를 찾아 월남한 피난민들을 자연스럽게

돌보게 된다. 구호양식을 얻어오고 거처를 마련하고 주일이면 같이 찬송하고 기도하는 일을 하게 됐다.

영락교회의 전신인 베다니교회의 탄생이었다.

이듬해 영락(永樂)으로 이름을 바꾼 교회는 월남민들의 안식처요 새로운 삶의 출발지가 돼 갔다.

생명을 걸고 38선을 넘어온 이들은 영락교회에서 비로소 음식과 거처를 마련할 수 있었다.

 

급기야 남북한 간에 전쟁이 발발한 뒤에도 한목사는 피란민과 군인들을 돌보는 일에 힘썼다.

 피란민 여러분,고향과 가족을 떠난 삶이 얼마나 어렵습니까. 예수를 믿으십시오.

믿기만 하면 새로운 용기가 솟아납니다

 

곳곳에서 복음을 전한 한목사의 발자취를 따라 부산 대구 제주도 등 전국에 영락교회가 세워졌다.

전쟁이 끝난 폐허 위에서 한목사는 대규모 전도집회를 열었다.

좌절과 실의에 빠져있던 많은 사람이 한목사의 설교와 복음에서 희망과 용기를 얻었다.

 

한목사는 복음전도 뿐만 아니라 선교사들과 함께 전쟁 미망인과 고아를 돌보는 선명회(현 월드비전)를 조직,

보육원 모자원 양로원 등을 세웠다. 또 중·고등학교를 세워 이들을 가르쳤다.

그의 목회는 곧 한국교회 목회의 모델이 됐고 그의 활동은 한국교회의 활동 반경을 넓혀줬다.

 

1973년 은퇴 뒤에도 그는 한국교회를 대표해 세계 곳곳에서 복음을 전했고 한국교회의 일치를 위해 힘썼다.

큰교회를 섬겼으면서도 결코 자만하지 않고 겸손하고 검소한 그의 성품에 많은 이들이 감화를 받았다.

 90세가 되던 1992년 그는 종교 분야의 노벨상이라는 템플턴 상을 받았다.

수상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한목사는 뜻밖의 고백을 했다.

저는 신사참배를 했습니다. 저는 죄인입니다

 그의 고백은 오히려 진정한 반성을 외면하고 분열과 대립을 일삼던 한국교회와 국민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새 천년의 첫 고난주간이었던 2000년 4월19일 오후 1시 그는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

그가 남긴 유품은 휠체어와 지팡이,서너 벌의 양복이 전부였다.

하지만 그의 신앙 유산은 지금도 한국교회의 자랑이자 사표가 되고 있다.

내가 중학교 3학년때 중등부에 속해 있었는데 아침 일찍 교회 정문을 들어서면 한경직 목사님은

본당을 오르는 기억자 계단 모서리에 서 계셔서 들어오는 학생들을향해 미소를 지으시면서

오른 손을 드셔서  맞이하곤 하셨다. 이 시대의 귀감이 되는 기독교의 기둥 한 경직 목사님을 생각하며 ....... 장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