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직 신학 >>>/- 교 회 론

선교적 교회론이 살 길이다!

에반젤(복음) 2020. 2. 25. 13:41



 선교적 교회론이 살 길이다!


 


 

신성주 선교사

 

들어가면서

 

오늘날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이 선교계에서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는 데에는 적어도 두 가지의 중요한 이유가 있다. 그 첫째는, 21세기 글로벌 사회의 가속화로 인하여 지구촌은 점점 더 고향과 조국을 떠난 ‘디아스포라’(diaspora)들에 의한 ‘다문화 사회’ (multicultural society)를 이루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 거리나 전철 안에서 미전도 족속을 만나게 되는 현상이 그리 낯설지 않게 되었다. 얼마 전 휴가 때 아이들과 함께 반나절 오후를 보내었던 해수욕장에서도 좌우에 러시아 청년들, 몽골과 네팔에서 온 젊은 사람들이 함께 바다를 즐기고 있었고, 그 중에는 서양인 아빠와 한국인 엄마가 나란히 앉아 외국인 같기도 하고 한국인 같기도 한 자기 아이의 모래 장난을 즐겁게 바라보는 부부도 있었다. 

 

필자가 십 수 년 전에 필리핀 세부 성경대학에서 가르치는 사역을 하고 있을 때 성경대학 교회에 출석하던 성도의 딸이 단기선교 온 한국 청년과 교제하여 한국으로 시집을 갔었다. 하지만 두 부부는 서로 커뮤니케이션 문제도 있고 문화적 차이도 커 수시로 문제를 일으켜 한국과 필리핀을 오가면서 상담을 요청해 왔었다. 선교사가 한국으로 시집간 현지인 성도를 케어하고 상담하는 사역까지 하게 되는 시대가 된 것이다.

 

한국에는 벌써 130여만 명의 이주민들이 살아가고 있다. 시골의 농장이나 도시 근교의 공업 지구로 갈수록 상황은 더 심각하여 성도들의 자녀들이 ‘다문화 가정’을 이루는 것은 낯설지 않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교회와 목회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던져 주고 있는데, <선교적 교회론>이 여기에 해답을 주고 있다.

 

둘째로,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는 대중들로부터 점점 소외당하는(marginalized)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반기독교적’(anti-Christian)인 사람들의 기독교 공격도 그 도를 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에서 오늘날 “교회는 과연 무엇인가?” 하는 정체성의 문제가 심각하다. ‘선교적 교회론’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는 과연 어떤 존재이며 어떤 역할들이 요구되어지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그 해답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너무나 중요한 주제이다. 

    

사랑의 교회 오 정현 목사는 그의 설교에서 말하기를, 미국에서 이민 목회를 할 때는 목회만 열심히 하면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 외에도 ‘한국 사회와 문화와의 싸움’이 또 하나의 크나큰 과제라고 하였다. 그 이유는 교회는 교회만 돌보아서는 안 되고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들에 대한 책임을 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슈들에 대해서 ‘선교적 교회론’이 그 해답을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에, 선교적 교회사가들은 오늘날 목회자들이 ‘선교적 교회’의 본질을 모르면 차세대 목회는 실패한다고까지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개신교회는 ‘종교개혁’(Reformation)으로 탄생한 교회이다. 그러므로 항상 개혁되어져야 한다(ecclesia semper reformanda est). 지금 당장 내 교회에 큰 위험이 없는 듯하다 하여 변화의 때를 놓쳐버린다면 나중에 그 심각성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어버릴 수가 있다. 암초에 부딪친 타이타닉호는 침몰하는 것 외에는 방도가 없었던 것처럼 말이다.

 

 

1.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역사적 이해

 

용어의 출처

‘선교적 교회(론)’이라는 용어는 미국의 선교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죠지 헌스버거(George R. Hunsberger)를 비롯한 여러 선교학자들1)Missional Church: A Vision for the Sending of the Church in North America(1998, Eerdmans)라는 제목으로 출판됨으로써 ‘선교적 교회(론)’(Missional Church) 라는 용어가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그 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책들은 쏟아져 나왔으며,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선교신학적 기원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은 이 시대에 가장 사도 바울을 닮았다고 평가되는 진정한 '선교사 신학자'(a missionary theologian)인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1909-1998)이다. 그는 27세 되던 1936년에 안수받고 결혼한 후 곧바로 스코틀랜드 장로교단에 의해 인도 선교사로 파송을 받게 된다. 1974년, 약 40년에 이르는 인도 사역을 마치고 돌아와 영국 버밍햄에 정착한 뉴비긴은 셀리옥 대학(the Selly Oak colleges)에서 가르치게 되었는데, 이곳에서 그는 큰 문화 충격을 받게 된다. 복음에 대해서 그가 말할 때 학생들이 당황해 하는 반응들을 발견하였기 때문이었다. 뉴비긴이 인도에서의 사역을 마치고 서구세계로 돌아왔을 때 그가 발견한 고향 영국은 외국의 선교지와 같은 것이 되어 있었다. Christendom2) 사회였던 영국이 post-Christian이 되고 anti-Christian이 된 현상에 직면하였던 것이다. 그는 말하기를,

 

"거기에는 복음에 대한 반대보다 더 마주 대하기 힘든 복음에 대한 차가운 멸시가 있었다. 영국은 이교도 사회였으며 이렇게 아주 다루기 힘든 이교도 형태를 진정으로 선교적으로 대면하는 것을 개발하는 것이 바로 영국교회가 직면한 가장 큰 지적인, 그리고 실제적인 임무이다."

 

라고 하였다. 그래서 뉴비긴은 서구 사회를 선교사의 시각을 가지고 바라다보면서 선교사적인 분석적인 질문들을 제기한다. 기독교의 토대 위에 세워졌음에도 우리를 자유케 하는 진리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이런 문화를 우리는 어떻게 복음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런 고민이 그로 하여금 그의 인생의 후반기에 서구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기독교 신앙을 변증 하는 책들을 쓰게 만들었다. 즉, <선교적 교회론>을 태동시키는 사상적, 이론적, 선교적 토대를 만들어 주었던 것이다.

    

그는 The other Side of 1984: Questions for the Churches 3)

    

Foolishness to the Greeks(1986)4)에서 뉴비긴은 과학과 정치, 성경, 제도적 교회 간의 긴장을 다루면서 서구 문화의 진면목을 예리하게 분석하였다. 그리고 복음과 서구 문화 사이에서 진정한 선교적 조우(missionary engagement)가 있으려면 어찌해야 하는지, 기독교후기 시대의 서구 문화 속에서 교회는 무엇이어야 하고(being), 무엇을 알아야 하며(knowing),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doing)를 다루었다.

    

그리고 The Gospel in a Pluralist Society(1989)에서 뉴비긴은 포스트모던, 다원주의 문화 속에서 복음을 어떻게 상황화 할 것인지 주어진 문화 속에서 어떻게 복음을 꽃피울 것인지를 다루었다. 그래서 교회의 시대적 사명은 그가 처한 문화적 상황을 알고, 그 상황에 필요한 선교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미국에서의 발전

 

뉴비긴이 복음, 교회, 우리의 문화 사이에서의 3중 대화에 대한 도전은 미국 선교계에도 큰 과제를 던졌다. 왜냐하면 북미도 영국의 뒤를 따라가고 있기 때문이었다. 영국의 상황을 따라가고 있는 미국의 모습을 직면하게 된 선교신학자들은 ‘뉴비긴’의 사명을 어깨에 짊어지게 된 것이었다. 즉, 미국 선교계도 영국처럼 <북미상황-복음-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미국의 국내상황을 위한 선교학(American Domestic Missiology)을 개발해야만 하도록 도전받게 된 것이었다. 이것은 21세기 북미 교회가 당면한 가장 중요한 도전으로써, 새로운 교회론과 교회 비전의 재정립(revisioning)을 필요로 하였다.

 

그래서 북미 선교학자들 특히 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GOCN)의 죠지 헌스버거(George Hunsberger)와 크레이그 반 겔더(Craig van Gelder)가 편집한 책 The Church between Gospel and Culture: The Emerging Mission in North America(1996)에 의하면, 교회는 과학적 세계관에 기초한 계몽주의의 힘에 짓눌려왔고, 문화를 변화시키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해 왔으나, 교회는 그러한 사명을 재정의할 수 있고 또한 다가오는 새 세기에서는 그러한 일을 할 수 있는 적합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도전하고 있다. 크리스텐덤 이전의 초기 교회와 신자들은 그 존재 자체가 ‘대항문화적’(counter-cultural) 이었다. 그들의 존재성 자체가 ‘선교’였으며 당시 사회의 ‘정사와 권세자들’에게 도전이었다. 그래서 교회는 다시한번 더 초기의 그 ‘아래로부터의 교회’ (church from below)라는 패러다임을 회복하고, ‘풀뿌리 사회’(grassroot society)로부터 인정받고, 그들의 희망이 되고, 그들과 함께 삶의 공동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5)

 

‘선교적 교회론’이라는 제하에 출판된 최초의 책은 다렐 구더(Darrell L. Guder)가 편집한 책 Missional Church: A Vision for the Sending of the Church in North America(1998)인데, 이 책은 선교적 교회론이 뉴비긴의 도전에서 출발하였음을 분명히 하면서 교회의 선교적 속성은 교회가 선교사를 ‘파송하는’(sending)데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 그 자체가 세상으로 ‘파송된’(being sent) 기관이라는 사실에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북미의 문화와 상황을 바로 이해하고, 세상을 향한 사도(Apostle)로써 하나님의 통치를 증거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성령의 공동체를 이루고, 하나님의 백성들을 선교를 위해 구비시켜야 하며, 교회의 구조를 교구적 관리 중심에서 선교적 구조로 개혁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제 선교적이지 않은 교회론들에 대해 먼저 알아 본 후 선교적 교회론에 대해 논해보기로 하겠다.

 

2. 선교적이지 않은 교회론들

 

선교적 교회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교적이지 못한 교회론들 즉 ‘제도적 교회’(Institutional Church)와 ‘자발적 교회’(Corporate Church)란 무엇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그 이유는 선교적 교회는 이 둘과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며, 그 차이는 선교적 교회를 더 확실하게 특징지워 주기 때문이다.

 

크리스텐덤적, 콘스탄틴적, 제도적 교회

선교적 교회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는 좋은 책은 프로스트와 허쉬(Michael Frost & Alan Hirsch) 공저의 The Shaping of Things to Come: Innovation and Mission for the 21st Century Church (2003, Hendrickson)이다. 여기서 저자들은  ‘크리스텐덤’(Christendom)적 혹은 ‘콘스탄틴적’(Constantinian)6)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제도화된 교회’(Institutional Church)는 세상과 이방으로 가는 선교의 역동성을 갖기 힘든 교회라고 정의하는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 때문이라고 한다.

    

첫째, 제도화된 콘스탄틴적 교회는 ‘매력을 끄는 교회’(attractional church)가 되어 사람들을 교회로 모으는(gathering) 것에 힘을 쏟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건물을 리모델링하거나 새로 짓고, 수준있는 음악과 다양한 프로그램 들을 제공하는 데 사명을 다한다. 그래서 ‘초콜렛 가게’(chocolate shop)같은 교회가 되려고 한다.

    

둘째, 제도화된 크리스텐덤적 교회는 성과 속, 교회와 세상, 성직과 세상의 직업 등을 구분하는이원론적(Dualistic) 사상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교회는 교인들을 더 교회로 모으려는 경향을 가속화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셋째, 제도화된 교회는 교회중심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그 리더십 구조도 사제 혹은 성직자를 중심으로 계급적이며 관료적(Hierarchical)인 성향을 띄게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선교적 교회 모드가 되려면 ‘hier-archycal'이 변하여 ’heir-archical'

이 되어야 한다. 즉 ‘모두가 하나님의 기업을 상속받을 자’라는 동등한 개념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크리스텐덤적인 제도적 교회 형태를 가지고 현실에 적응해 있는 기성 교회들은 선교적 교회론과는 거리가 멀다.

 

자발적 교회론(The Corporate Church)

제도적 교회를 극복하려는 노력은 <자발적 교회론>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교회의 ‘공공단체적’(corporate) 기능에 충실하려는 교회를 말하는데, 교회의 회원인 신자들의 신앙 생활의 목적에 부합하는 조직으로서의 기능을 잘 감당하려는 교회이다. 신자들의 개인적인 영적 필요를 더 효과적으로 채워주는 교회가 건강하고 좋은 교회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성적 예배, 치유와 상담, 제자훈련, 다양한 성경공부반들 등을 구비하여 종교적인 봉사에 충실하려는 종합백화점 같은 교회를 말한다. 

    

제도적 교회보다는 더 발전한 교회이지만 복음(Gospel)을 교회가 모두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축소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기 어렵다. 왜냐하면, 복음이 개인의 구원에 초점을 맞춘 메시지로 축소되고, 제자화나 전도는 이런 구원을 다루는 과정에 필요한 종교적인 연습 프로그램 정도로 그 의미가 축소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구원도 하나님 나라에 참여하고 증인이 되는 삶보다는 죄사함과 천국이라는 개념으로 축소되며, 선교는 교회의 여러 기능중 하나로써 멀리 해외에 나가서 복음 전하는 사역(foreign missions)으로 이해할 뿐 아니라, 그것은 곧 교회가 선교의 주체(missiones ecclesiae)라고 생각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선교는 교회의 결단에 의해 되어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 선교적 교회론

 

성경적 기초

선교적이지 못한 교회론은 지상의 교회사(earthly church's history)가 만든 것이지만 선교적 교회론은 성경적 교회론이다. 우리는 그 근거를 요한복음 17:18-23에서 찾을 수 있다.

    

18 아버지께서 나를 세상에 보내신 것 같이 나도 그들을 세상에 보내었고 

19 또 그들을 위하여 내가 나를 거룩하게 하오니 이는 그들도 진리로 거룩함을 얻게 하려 함이니이다. 

20 내가 비옵는 것은 이 사람들만 위함이 아니요 또 그들의 말로 말미암아 나를 믿는 사람들도 위함이니 

21 아버지여,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 같이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사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옵소서 

22 내게 주신 영광을 내가 그들에게 주었사오니 이는 우리가 하나가 된 것 같이 그들도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이니이다. 

23 곧 내가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어 그들로 온전함을 이루어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은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과 또 나를 사랑하심 같이 그들도 사랑하신 것을 세상으로 알게 하려 함이로소이다 

 

 1) '파송하시는 하나님'(Sending God)

18절(“아버지께서 나를 세상에 보내신 것 같이 나도 저희를 세상에 보내었고”)과 23절(“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과”)에 의하면, 세상으로 보냄받은 사도들(즉 교회공동체)은 주님으로부터 보냄을 받았는데, 주님이 그들을 세상으로 보낸 것은 하나님이 주님을 세상으로 보낸 사실에 근거한다. 결국, 세상으로 보냄받은 사도들과 교회는 ‘파송하시는 하나님’(sending God)에 의한 것이었다. 여기서 선교의 주체자는 하나님이시며, 모든 선교는 ‘하나님의 선교’(the mission of God)임을 알게 해 준다.

 

2) ‘세상(world)으로’ 보내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세상’으로 보내셨고, 예수님도 사도들을 ‘세상’으로 보내었다. 즉, 교회공동체가 보냄받은 선교지는 구원받을 백성이 있는 ‘세상’ (18, 21, 23절)이다. 하나님은 이 ‘세상’을 그토록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다. 이것은 ‘지리적’ (geographical,행.1:8), 인종적(ethnic,마28:19-20), 세대적(generational,눅.23:28) 세상을 다 포함한다고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이 ‘세상’은 ‘복음’을 필요로 하는 모든 지역, 모든 백성과 모든 세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21세기 선교적 교회론은 국내와 국외를 가리지 않고 복음이 필요한 ‘세상’이면 어디든지(wherever), 누구에게든지(whomever) 사명을 가지고 나아가는 교회이다.

 

3) 궁극적인 목표는 ‘영혼 구원’

20절(“내가 비옵는 것은 이 사람들만 위함이 아니요 또 그들의 말로 말미암아 나를

믿는 사람들도 위함이니“)에 의하면, 주님의 중보 기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제자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차 그들의 거룩한 말과 행실을 통해 주를 믿게 될 사람들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즉,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이 교회를 세상에 파송하는 목적은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우리 안으로 들어오게 하는 데 있는 것이다(cf. 요.10:16).

 

4) 삼위 하나님의 하나됨을 경험하는 공동체

21, 22, 23절에는 ‘하나됨’(being one) 즉 ‘온전한 연합’(complete unity)에 관한 비밀한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 본문에서 예수님의 중보기도의 핵심은 그들의 ‘거룩’과 ‘하나됨’인데, 그 둘의 목적은 제자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장차 그들의 말을 듣게 될 세상 사람들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즉, 선교적 목적이었다.

    

또한, 그들이 온전함을 이루어 하나가 되려면 주님 안에 하나님이 계신 것처럼 그들 안에 주님이 계셔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23절), 이러한 하나됨의 모델은 ‘아버지와 아들의 하나됨’(21절)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삼위 하나님의 하나된 공동체성은 세상으로 보내어지는 사도들에게까지 확장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속사를 위한 비밀한 경륜이다.

    

삼위 하나님의 하나됨에 대하여 신학적으로 우리는 이것을 ‘페리코레틱’ 관계('perichoretic' relationship)라고 부르는데,7)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

1)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선교의 주체는 지금도 행동하시는(actio Dei) 삼위 하나님이시다. 그 분의 모든 행하심은 ‘구속적’(redemptive)이기 때문에 그것은 결국 ‘선교적’인 것이다. 선교는 하나님의 본질적 사역이고, 그분의 존재의 심장박동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선교의 하나님’(missionary God)이시고, '파송하는 하나님' (sending God)이신 것이다. 

 

2) 선교적 교회론에 있어서 교회의 선교는 ‘파송하고 후원하는 사역적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존재의 목적과 삶의 방식에 있다. 선교적 교회론에 있어서 교회는 선교사들을 세상으로 ‘파송하는’(sending) 기관이 아니라, 교회 그 자체가 복음과 함께 세상에 참여하고 세상을 변혁하기 위하여 세상으로 ‘파송받은’(being sent) ‘사도적 공동체’(Apostolic Community)인 것이다. 즉, 선교적 교회는 ‘보냄받은 교회’(a sent church)이며 그래서 ‘가는’(Going) 교회이고, ‘가야만 하는’ 교회인 것이다. 선교적 교회는 이 ‘보내짐’(sent-ness)의 요소를 회복한 교회인 것이다.

 

3) 그러므로 선교는 교회의 한 활동이 아니다. 교회는 오직 성령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 선교를 감당하는 한시적 대행기관이다.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은 교회는 '하나님의 선교'(the mission of God)의 산물이며, ‘하나님의 선교’가 교회를 생성하게 하는 근원이다.

 

4)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와 성도들의 선교적 활동들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에 의해 부름받아 세상으로 보내어진 사명을 본질적으로 더 강조하는 것이다.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한 선행 과제(Tasks)

록스버러(Alan J. Roxburgh)는 세상으로 나아가는 선교적 교회가 되려면 우선 몇 가지 과제들을 통과해야 한다고 한다. 그것은 전통적인 교회들로 하여금 중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것인데, 교회가 그 동안 중요하게 생각하고 지키고자 하였던 여러 ‘영역들을 깨뜨리는’(boundary breaking)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하였다.8)

    

사도행전의 무게 중심은 13장을 기점으로 전통적, 제도적 교회의 모델격인 예루살렘 교회 중심에서 선교적 교회의 모델격인 안디옥 교회 중심으로 이동한다. 누가(Luke)는 그 변화의 중간인 9-11장에서 큰 변화의 이야기들을 기록하고 있다. 첫째는 박해자 사울의 변화에 관한 이야기요(9장), 둘째는 유대주의자 베드로의 변화에 관한 이야기이며(10:1-11:18), 셋째는 흩어진 성도들의 변화에 관한 이야기였다(11:19-26).

 

리더들의 변화

9장과 10장에서 주님은 사울과 베드로를 변화시킨다. 이것이 주는 교훈은 선교적 교회가 되려면 우선 전통적 교회의 ‘리더들의 의식’이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땅에 선교사로 오신 예수님(missionary Jesus)을 새롭게 경험하고 인식하는 변화가 필요하며, 성과 속, 거룩한 것과 불결한 것, 교회와 세상을 구분하는 이원론적 사상의 담을 허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평신도들의 변화

11장에서 누가는 박해로 흩어진 성도들이 유대인에게만 전도하다가 이방인들에게도 예수를 전하기 시작한 것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사울과 베드로의 세계관의 변화와 동일한 놀라운 변화이다. 신약 교회가 ‘구원은 유대인의 것’이라는 유대적 특수주의(Jewish particularism)를 넘어 복음의 우주성(universalism)을 선포하고 실천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기점으로 사도행전의 선교는 교회가 공적으로 이방인 속으로 침투하여 확산하는 분기점이 되었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 안에서 우리의 예배를 받으시고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시는 주님 뿐 만 아니라, 세상으로 파송되어져 오셔서 세상을 위하여 십자가를 지심으로 철저한 희생(radical sacrifice)을 감당하신 ‘선교사 예수님’을 철저히, 새롭게 알기를 요구한다. 뿐 만 아니라, 모든 성도들은 예배하며 복을 비는 자의 자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부름받은 백성들’(God's missionary people)임을 깨닫는 정체성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 두 변화의 과제를 이루지 않고는 결코 선교적 교회로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선교적 교회로의 변화 과정과 리더의 역할

이미 앞에서 보았듯이, 선교적 교회론은 북미와 서구가 처한 문화적 상황에서 강조된 것이기 때문에 <복음, 교회, 문화>의 3중 대화를 중요시한다. 그래서 선교적 교회론의 전략적 핵심 단어는 교회와 세상의 ‘문화적 개입’(cultural engagement)이다.9) 그것은 단순한 ‘접촉’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피묻은 생명의 복음을 가진 교회가 세상의 문화를 변혁하기 위해 만나는 ‘대항문화적’(counter-cultural) 개입이다.10)11)

    

첫째로, 생명의 복음을 가진 교회의 리더들은 그가 처해 있는 사회의 ‘문화적 상황’(cultural context)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교회는 그가 처한 사회의 문화적 변화에 둔감할수록 세상과 멀어지게 되고, 교회 안에서의 문화에 젖어 세상으로부터 단절되어 ‘게토화’(ghettoizing) 될 수 있다. 선교적 교회는 그 문화를 분석, 평가하여 효과적인 접촉점을 찾고, 그 사회로 스며들어 하나되면서 영향력을 미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 교회의 리더들은 자기 교회의 성도들이 크리스찬으로써 그 시대를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꼭 가져야 할 핵심적 정체성(a core identity)을 다시 형성시킬 수 있는 환경들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교회의 리더들은 기본적으로 신자들로 하여금 교회 안에서 그들의 영혼이 평안을 느끼게 하며, 하나님을 경청하는 법을 배우려는 의지를 가지게 하고, 그 뜻에 따라 바르게 사는 법을 배우려는 자세를 가지고 싶어하는 환경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하지 않으면 그들과 함께 아무런 선교적 시도들도 할 수 없게 된다.

    

셋째로, 복음을 가진 교회의 리더들은 그 교회가 처한 사회-문화적 상황 속에서 신자들이 이웃들과 함께 살면서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평행 문화’(a parallel culture)를 만드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과거 켈틱(Celtic) 수도사들이 스코틀랜드와 영국에 상륙하여 그 토착 사회에 스며들어 선교에 성공한 예에서 볼 수 있는데, 그것은 교회가 그 속한 사회와 ‘함께 가는’ 공동체가 되고, 교회의 멤버들이 이웃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삶으로 ‘다시 사회화’(re-socialization)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와 신자들은 그들의 이웃을 진정한 마음으로 환영하고(welcoming) 환대해야(hospitable) 하며, 가난한 자를 진심으로 돌보고, 그들의 필요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풀뿌리 사회’(the grassroot society)로 스며들어 자리를 잡는 풀뿌리 복음 운동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넷째로, 교회와 이웃 사회가 함께 넘나드는 ‘평행 문화’(a parallel culture)가 형성이 되면 이웃들은 교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귀를 기울여보려는 자세를 가지게 된다. 그럴 때에 교회는 그 이웃 사회와 함께 ‘파트너십’(partnership)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되면 점증하는 관심 속에서 교회와 이웃 사회는 서로의 이야기들과 관심사들을 공유하고 서로 배우면서 함께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데, 그 때 교회는 선교적 방향으로 그들을 안내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적 과정들을 통해 교회는 지역 사회의 문화적 상황으로부터 소외되지 않고 그들 속에 들어가서 그들과 더불어 삶을 나누며 선교적 사명을 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선교적 교회의 핵심요소(DNA)

이제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어 세상에 영향력을 가지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선교적 교회가 본지적으로 갗추어야 하는 핵심 요소들이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자. 이 요소들은 선교적 교회의 유전인자(DNA)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프로스트(Michael Frost)와 허쉬(Alan Hirsch)는 다음의 세 가지 핵심요소를 강조하였다.12)

 

첫째는, ‘성육신적 교회론’(Incarnational ecclesiology)이다.

선교적 교회론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유전인자는 ‘성육신 원리’에 있다.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은 주님은 이 땅에 우리의 모습으로 ‘성육’(Incarnation)하셨다(요1:14; 빌2:5-8). 세상으로 보내어진 교회는 주님의 몸으로써 예수님의 제2의 성육신과 같다. 그러므로 지상의 교회는 세상과 눈높이를 함께하는 낮아진 교회여야 한다. 세상적 매력을 끌어서 교회로 오게 만드는 교회가 아니라 소금이 녹고 빛이 스며들 듯이 세상 속으로 들어가서 불신자들과 함께 뒹구는 교회, 세상으로 나아가서 세상과 동일시하고, 성육하는 방식으로 소통하며 영향을 끼치는 교회여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될 때 교회가 가진 복음은 죄인들과 가난한 자들, 고아와 과부를 살리는 ‘풀뿌리 복음’(the grassroot gospel)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성육신 원리(the Incarnational principle)는 요.1:14과 13장 및 빌.2:5-11에 잘 나타나고 있는데, 몇 가지로 요약하면, 1) ‘낮아지심’(전략), 2) '자기를 비우심'(kenosis, 낮아짐의 비결)), 3) 배움(준비), 4) 문화를 넘어감(cross-cultural, 상황화), 5) 수용자 중심(receptor-oriented, 성육의 이유), 6) 예수님의 성육의 완성은  '십자가'(the Cross)인데, 그것의 핵심은 ‘섬김’(servant leadership)이다. 그리고 세례 요한이 예수님에게,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한 것 같이 자기 몫을 다 한 후 다음 세대에게 모든 것을 맡기며 사라지는 7) 리더십 이양(leadership succession)이 선교적 교회의 성육신 원리가 지향하는 클라이맥스이다. 

 

둘째는 ‘메시야적 영성’(Messianic Spirituality)이다.

선교적 교회는 세상을 향한 ‘메시아적’ 영성으로 무장되어야 한다. 교회 안에서의 영성이 아니라, 세상에서의 영성 즉, 예수님이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서 보여주었던 사역과 삶에 나타난 그 메시아적인 영성이 필요하다. 물질주의나 세속주의가 자리잡을 곳이 없는 단순하고 경건하며 희생적인 삶의 영성이었다. 그분의 제2의 성육하신 몸인 교회는 그러한 ‘메시아적 정체성’을 가지고 세상의 유일한 희망으로써 세상의 ‘메시아’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교회의 존재와 활동은 모두 구속적(redemptive)인 것이어야 한다. 선교적 교회는 구속적인 케리그마와 메시지를 그 안에 가지고 있는 종교적 기관 정도가 아니라, 그 자체의 존재 양식이 케리그마적이고 구속적이며 세상의 소망이어야 한다.

 

셋째는, ‘사도적 리더십’(Apostolic Leadership)이다.

선교적 교회의 리더십은 크리스텐덤적-제도적 교회가 가지는 계급적/관료적 리더십 구조가 아니라, 세상으로 보냄받았기에 세상으로 나아가는 ‘사도적 리더십’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현재적 필요에 머무르지 아니하고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완성을 향한 미래적 가치를 추구한다.

 

나가면서

우리는 지금까지 선교적 교회론이 오늘날 왜 중요한 선교적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는지 그 이유와 역사적 배경에 대해 생각하였으며, 선교적이지 않은 콘스탄틴적, 크리스텐덤적, 제도적 교회론과 자발적 교회론을 성경적 기초 위에 서있는 선교적 교회론을 비교하면서 그 진정한 의미를 정리하였다. 나아가 선교적 교회로의 변화를 위한 필수 요건과 리더의 역할들에 대해 논하면서 선교적 교회론의 DNA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이제 글을 마무리하면서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첫째로, 요.17:21절에서의 주님의 대제사장적 기도의 핵심이 가르치고 있는 것처럼, 선교적 교회는 주님의 비전을 이어받아 세상으로 보냄받은 하나의 거룩한 ‘사명공동체’(missional community)로써 삼위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perichoresis = circle dance) 즉 ‘축제적 친교’에 참여하여 날마다 그 놀라운 교제를 경험하고 누리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게 되지 않으면 세상은 교회를 신뢰하지 않으며 결국 영향력을 끼치는 선교적 교회가 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둘째로, 교회는 세상의 문화적 현상들 앞에서 무관심하거나 무력해서는 안 되며, ‘대항문화적’일 뿐 아니라, 나아가 세상과의 ‘평행문화’를 창조하여 그 안에서 창조와 구속, 예수와 교회의 이야기를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끝으로, 오늘날 교회는 그 속에 있는 크리스텐덤 구조(Christendom mode)를 버리고, 지하교회 운동(underground church movement), 카타콤 기독교 정신, 풀뿌리 복음 운동을 회복해야만 한다. 그것은 불이 다시 밑에서부터 타올라야 새로운 부흥을 맛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아버지여,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 같이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사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옵소서.”(요.17:21)

 

신성주 선교사 | 선교학박사, KPM 연구훈련원 부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