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창 625

[스크랩] 침례교 신학(Baptist Theology)

침례교 신학(Baptist Theology) 1부 신학적 특징 개관 1. 우선해야 될 질문들 1) 침례교의 기원에 대한 역사적-신학적 논쟁 A. 역사에 대한 침례교인의 태도 a. 대체로 역사에 무관심 b. 역사가 자신과 그리고 과거가 현재와 아무 상관이 없는 듯한 태도를 지님. 오직 현재에만 관심을 기울이는 듯한 태도. [Walter B. Shudden, Not a Silent People: Controversies That Had Shaped Southern Baptists (Macon: Smyth & Helwys, 1995); 침례교 신학논쟁, 김용복 김태식 공역(대전: 침례회 출판사, 2000), 29] B. 역사에 대한 무관심한 이유들 * 역사에 대해 무지: 침례교인들은 그들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스크랩] 가정회복을 위한 교육 목회적 접근

가정회복을 위한 교육 목회적 접근/ 고용수 가정을 위한 목회적 관심이 오늘의 목회자들에게 크게 요청되고 있다. 그 이유는 “가정 부재”라는 오늘의 문화위기 현상을 보면서 하나는 하나님 나라의 문화형성의 대행기관으로서 교회가 지닌 문화창조라는 역사적 소명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성숙의 필요성에 부응해서 이를 위한 교육전략상 기독교 가정의 정체성 회복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기 때문이다. 1. 가정의 기초가 흔들리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0년도 통계분석자료에 의하면, 하루 평균 915쌍이 혼인 했고 329쌍의 부부가 이혼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2000년 연간 이혼이 12만 건으로 1999년 (11만 8천건)에 비해 2천 건이 늘어났고, 1991년 (4만9천 2백건)에 비해 이혼율이 2.6배 증가한 ..

[스크랩]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는 바야흐로 전환기에 서있다. 한국교회는 지금 안팎으로 근본적인 변화와 지속적인 갱신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개혁교회는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된다”(Ecclesia semper reformands)는 종교개혁 운동의 정신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동안 교회가 시름시름 앓고 있었던 병적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렀으며 그 현상들이 조금씩 추하고 일그러진 몰골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라 자처하는 목회자들에게 일차적인 책임을 물을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죄와 욕심..

[스크랩] 성직론

성직론 대한예수교장로회 교역자양성원 청주개혁신학연구원 “네가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멸하며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인정된 자로 자신을 하나님 앞에 드리기를 힘쓰라”(딤후 2:15) 서 론 한국교회는 바야흐로 전환기에 서있다. 한국교회는 지금 안팎으로 근본적인 변화와 지속적인 갱신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개혁교회는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된다”(Ecclesia semper reformands)는 종교개혁 운동의 정신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동안 교회가 시름시름 앓고 있었던 병적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렀으며 그 현상들이 조금씩 추하고 일그러진 몰골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어..

[스크랩]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직론』

Ⅰ. 크리소스톰의 생애와 사상 A. 생 애 크리소스톰이란“황금의 입”이란 뜻을 가진 6세기 명칭인‘크리소스토모스’(chrysostomos)에서 기인한다. 그는 콘스탄티노플의 주교이자 안디옥의 위대한 설교자로서, 그의 탁월한 웅변술로 인하여 후대 사람들로부터 부여받은 요한의 별명이기도 하다.경건한 기독교 가문, 헌신적인 어머니, 학문의 중심지에서 쌓은 우수한 교육으로 단단히 뒷받침된 그는 하나님의 강한 인도의 손길에 이끌림 받는 한평생을 보냈다. 믿음의 고향 안디옥이 경박한 생활과 성적문란으로 물들어 갔을때 매우 솔직하고 설득력 있는 신앙운동을 펼쳤고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의 대주교로서의 정치적 타락과 불의와 압제에 과감히 맞섰던 대설교자 크리소스톰. 그는 정의를 외치다가 고통당하고 생명까지 빼앗겼지만..

[스크랩]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 신학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 신학 1. 이방인의 사도 바울에 대하여 1) 예수님을 만나기 전의 바울 상업과 교육의 중심지이며 정치적, 지적으로 이름난 길리기아 지방 다소 출신이다. 사울의 아버지는 베냐민(Benjamin)지파였고(빌3:5) 바리새파에 속했다.(행23:6) 그는 다소의 시민(행21:39)이었고 나면서부터 로마의 시민이었다(행22:28). 스데반 순교 당시 “그의 죽임 당함을 마땅히 여긴”(행8:1) 사실이나 “대제사장들에게 권세를 얻어가지고 많은 성도를 옥에 가두며 또 죽일 때에 내가 가편 투표를 하였다”(행26:10)고 한 구절을 볼 때 교회 핍박의 제 일인 자로서 성도들을 정죄한 청년이었다. 그는 가장 위대한 유대인 율법학자 가말리엘 밑에서 교육을 받았음으로(행22:3, 5:33 이하) 구약..

[스크랩] 하나님의 병법 (兵法) 10가지

1. 사랑의 힘으로 싸우라. 사람에게는 가장 듣고 싶은 말이 사랑이다. 오직 사랑만이 승리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나를 이기고 세상을 이기고 사단 마귀를 이길 수 있다. 2. 기도하며 행동하라. 인생을 승리로 이끄는 지침은 오직 기도 외에는 방법이 없다. 또한 하나님의 보좌을 움직이는 방법도 기도 뿐이다. 그러나 기도하고 움직이는 것은 하나님의 능력을 갑절로 얻어낼 수 있다. 3. 순종을 무기로 삼으라. 순종이 제사보다 낫다는 말을 상기하라. 하나님은 순종하는 자를 사용하신다. 4. 실패를 디딤돌로 바꾸라. 실패를 두려워하면 아무 일도 이룰 수 없다. 실패를 하되 일어서라. 5. 위기를 기회로 만들라. 위기가 곧 기회이다. 위기를 통해 사람은 성장하고 비로서 인간이 된다. 6. 약한..

[스크랩] 청교도 인물 연구

청교도 인물 연구 1.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 청교도 가운데 윌리엄 퍼킨스 만큼 강한 영향력을 미친 사람은 없다. 16세기 그의 저서는 불어, 이태리어,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출판하였으며 수많은 독자들에게 읽혀졌다. 또한 그의 영향을 받았던 청교도들은 존 프레스톤(John Preston), 윌리엄 에임즈(William Ames), 존 카튼(John Cotton), 윌리엄 가우지(William Gouge), 토마스 굿윈(Thomas Goodwin)등이 있다. 1558년 워익샤이어(Warwickshire)에서 태어나 1557년 케임브리지(Cambridge)의 그리스도 대학(Christ's College)에 입학했다. 그는 로렌스 채더턴(Laurence Chaderton..

[스크랩] 성령세례 받는 법

성령세례 받는 법 R. A. 토레이 성령님이 내가 구원을 확신한 그 순간부터 내 안에 계심을 믿는다. 하지만, 과연 내가 매순간 성령님과 동행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나는 확신있게 ‘예’라고 답할 수 없다. 그렇다면 내안에 살아계시는 성령님은 대체 나랑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는 의문이 들었다. 마침 작년 10월에 우리 교회에 오셔서 ‘성령충만’를 받으라는 멧세지를 전하신 김원태 목사님의 말씀을 접하고는 구원 혹은 성령의 내주를 넘어서 ‘성령세례’ 내지는 ‘성령충만’을 받아야내 안에 살아계시는 성령께서 그 능력을 드러내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때부터 여러 성령에 대한 책들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중 R.A. 토레이의 “성령세례 받는법”은 나의 의문점들에 대해서 시원한 답을 주는 책이었다. 우리 교회 목사..

[스크랩] 성직론

성직론 “네가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멸하며 부끄러울 것이 없는 일꾼으로 인정된 자로 자신을 하나님 앞에 드리기를 힘쓰라”(딤후 2:15) 서 론 한국교회는 바야흐로 전환기에 서있다. 한국교회는 지금 안팎으로 근본적인 변화와 지속적인 갱신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개혁교회는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된다”(Ecclesia semper reformands)는 종교개혁 운동의 정신을 다시금 기억해야 할 중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동안 교회가 시름시름 앓고 있었던 병적 현상들이 이제는 심각한 정도에 이르렀으며 그 현상들이 조금씩 추하고 일그러진 몰골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가 이러한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