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의 시간/- 가정 예배 34

추석의 유래

추석의 유래 우리 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8월 15일로 중추절(仲秋節), 가위, 한가위라고도 한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 시대부터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유리왕 때에 왕녀 두 사람이 6부의 여자들을 두 패로 나누어 7월 15일부터 한 달 동안 매일 일찍 모여서 길쌈을 하였다. 8월 15일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살펴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내놓아 승자를 축하하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하였는데 이것을 가배(嘉俳)라 하였다. 그 말이 변하여 가위가 되었다. 가배라는 말은‘가운데’라는 뜻으로 보이는데, 곧 음력 8월 15일은 만월이므로 이것을 뜻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진 편에서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게 되므로 ‘갚는다’는 뜻에서 나왔을 것으로도 유추된다. 가배라는 말은..

[도움자료] 추석의 의미

추석의 의미 공동체의식 - 이스라엘 민족이 지켜온 초막절은 추수가 끝나고 곡식을 곳간에 저장하고 지키는 절기이므로 수장절 이라고도 합니다. 이절기에는 모든 가족과 종들 그리고 레위인, 외국인 고아와 과부등 모두가 함께 모여 잔치를 엽니다 (신 16:14) 빈부의 차이나 계층의 차이가 없이 모두가 하나님 앞에서 하나되는 의식입니다. 신약의 추대교회는 애찬을 통하여 서로 하나되는 좋은 전통이 있었습니다. 추석의 큰 의미는 흩어졌던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가족 공동체를 확인하는 기회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교육적 의미 - 초막절은 출애굽후 40년간의 광야 생활을 기념하며 후대들을 교육하는 절기입니다. 그들은 매년 7월 15일이 되면 집을 떠나 들에 나와 나무를 엮어 초막을 짓고 칠일간 머므르면서 조상들이 광야..

추석 추도예배순서

추도예배순서 사회 : 가족 중에서 묵 도 ………………………………………………………………… 다같이 사도신경 …………………………………………………………… 다같이 찬 송 ……… 이 몸의 소망 무엔가 (539장) ………………… 다같이 기 도 ……………………………………………………………… 가족중에서 성경말씀 ……………… 신명기 31:7~8 ……………………… 다같이 말씀묵상 ……… 약속의 땅을 향해 가는 사람 ……………… 가족 중에서 1. 돌아가신 분(고인)의 교훈을 기억하자. 본문에 보면 모세가 죽기 전에 온 이스라엘의 목전에서 여호수아에게 이르기를 ‘너는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히 하라’고 당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7절 상반절) 이와 같이 모세가 죽기 전에 여호수아에게 이른 말이 있었던 것처럼 고인(○○○)..

한가위 가정 예배순서

한가위 가정 예배순서 * 인사말 오늘 서로 멀리 떨어져 있던 우리 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서 서로 사랑을 나누며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기쁜 만남을 갖게 되었음이 너무 감사합니다. 우리 이 시간에 이러한 축복의 자리를 허락해주신 하나님 앞에 예배드리도록 합시다. * 다같이 기도 드리겠습니다. (사회자가 가정의 형편에 따라 적절한 개회기도를 드리도록 합니다. 할 수 있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다음의 기도문을 예문으로 드려서 읽게 함으로 기도 드리도록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감사드립니다. 2005년 한해도 우리를 지켜 주셔서 모든 가족들이 건강하게 하시고 우리들의 삶을 복 주셔서 잘 지내게 하셨음을 감사합니다. 오늘은 우리 민족의 큰 명절인 추석입니다. 우리 모두가 감사하는 마음으로 서로 만나서..

추석 가정 감사예배 순서

추석 가정 감사예배 순서 1) 지금까지 지켜주신 하나님의 은혜를 생각하며 감사의 예배를 드립시다. 2) 신앙고백 ------------------ 사도신경 --------------------- 다같이 3) 찬 송 ------------------- 304장(구,404) ------------------ 다같이 4) 기 도 ------------------------------------------------- 맡은이 5) 성경봉독 ---------------- 빌립보서4:4-7 ----------------- 맡은이 6) 말 씀 ------------- 주 안에서 기뻐하고 감사합시다. ------------ 맡은이 오늘도 온 가족이 함께 예배드릴 수 있게 되어서 감사드립니다. 결실의 계절에 농부들은 자..

추석 가정 예배

추석 가정 예배 개식사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만물을 우리에게 선물로 주신 하나님의 크신 은혜를 감사드립니다. 명절 아침에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게 하심을 감사드리며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겠습니다. 신앙고백 (사도신경으로 ) ----------- 다같이 ​ 찬 송 복의 근원 강림하사 (28장) 1. 복의 근원 강림하사 찬송하게 하소서 한량없이 자비하심 측량 할 길 없도다 천사들의 찬송가로 내게 가르치소서 구속하신 그 사랑을 항상 찬송합니다. 2. 주의 크신 도움 받아 이 때까지 왔으니 이와 같이 천국에도 이르기를 바라네 하나님의 품을 떠나 죄에 빠진 우리를 예수 구원하시려고 보혈 흘려 주셨네 3. 주의 귀한 은혜 받고 일생 빚진 자 되네 주의 은혜 사슬되사 나를 주께 메소서 우리 맘은 연약하여 범죄 하기 쉬..

성경 제사와 한국인 제사 비교

성경 제사와 한국인 제사 비교 목차 1.이스라엘과 한국의 문화인류학적 연관성 2. 제사제도의 발전 3. 한국사회에서 천신 제사의 흔적 4. 결론: 이스라엘과 한국인의 제사와 하나님 내용 Korean 1.이스라엘과 한국의 문화인류학적 연관성 1)지역과 기후 유라시아 대륙 최후의 빙하기 약1만 년 전부터 형성된 4개의 기후밴드 1) 년 강우량 150mm이하 사막 지대(사우디아라비아네푸드 사막, 이란 대시티키피트, 카라쿰, 다클라마칸 사막과 몽고의 고비사막, 그리고 히말라야, 티베트고원으로 연결된 지역) 2) 한냉한 북방지대의 남부지대(동쪽은 알타이지방을 중심으로 북만주, 연해주, 한반도북부 서쪽은 발트해안 지대까지) 북방 삼림지대의 남부와 중앙아시아 사막지대를 변경으로 하는 강수량이 년 250mm를 넘지만 ..

전통제사와 기독교

전통제사와 기독교 -조상제사 문제를 중심으로- 현요한 (목사, 장신대 교수) Ⅰ. 머리말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을 때, 그것은 진공 속에 들어 온 것이 아니었다. 이 땅에는 이미 여러 가지 종교들이 있었고, 그 영향 속에서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기독교는 그러한 환경 속에서 전파되고 성장하면서, 갈등과 우여곡절을 많이 겪어 왔다. 그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는 바로 조상 제사에 관한 문제이다. 이로 인하여 초창기 천주교인들은 심함 핍박을 받았고, 순교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개신교의 경우도 많은 신자들이 이 문제로 어려움을 당하여 왔다. 개신교 선교 초기 기독교는 대체로 조상 제사 중지를 입교 필수 조건으로 삼았다(백락준, [한국개신교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3), p. 231)..

추석명절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추석명절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할렐루야, 오늘도 성삼위 우리 하나님께 예배하는 날인 줄 알고 나오신 여러분 모두에게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가 충만하게 임하기를 진심으로 축원해마지 않습니다. ‘우리 같이 은혜 받읍시다.’ 하고 인사 나누겠습니다. 오늘은 추석명절,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라는 제목으로 하나님 말씀 전하겠습니다. 금년 추석은 태풍으로 인해 비도 오고 다른 해보다 쉬는 날이 짧아 인구이동이 적을 것이라고 하는데도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부모님을 찾아 고향을 찾는 떠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나라마다 민족마다 명절이 되면 부모님을 찾고 고향을 찾는 것은 다 같은가 봅니다. 일본은 오쇼-가츠라는 설 명절에는 우리나라처럼 은 아니지만 그래도 고향을 찾는 명절이 있고, 중국이란 나라도 우리나라 추석..

제사와 추도예배

제사와 추도예배 제사제도와 추도예배 화목해야 할 가정이 제사문제로 인해서 기독교인과 불신자 가족간에 적지않은 마찰을 빚는다. 의례것 해오던 풍습이기에 하지 않으면 마치 불효인양, 기독교인을 질책하며 갈등을 하게된다. 본 칼럼에서는 이러한 제사문제의 폐단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시비가 엇갈리는 추도예배에 대해서 간략히 생각해 보기로 하겠다. 1. 제사의 유래 중국 송(宋) 나라 때 유교 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처음으로 '조상에게 제사를 드려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것이 유교 철학의 한 덕목으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제사는 유교의 기본적인 덕목 가운데 하나인 '효'(孝)에서 비롯된 것인데 '효'는 '예'(禮)와 '제사 제도'를 통하여 실천되는 덕목이었다. 중국의 왕들과 제상들이 자기 가문을 자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