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초대 교회사

[스크랩] 교회사 년도표 (고대 교회사 제외)

에반젤(복음) 2021. 7. 14. 02:58

교회사 년도표 (고대 교회사 제외)

 

B.C 04 예수님 시대 (A.D.4-B.C.30년) 예수 탄생(마1:25), 헤롯의 유아학살(마2:16-18)

A.D. 08 아기 예수의 예루살렘 방문(눅2:40-51)

10 바울의 출생

12 디베료 가이사의 로마황제 즉위

26 침례 요한의 사역 시작(막1:4), 본디오 빌라도의 유다 총독 부임

27 예수의 공생애 시작(마3:13-17;막1:14;눅1:36), 예수의 제1차 갈릴리 사역, 가나안의 첫 이적

(요2:1-11), 니고데모의 전도(요3:1-21)

28 12제자를 세우심(마10:1-4;막3:13-19), 예수의 제2차 갈릴리 사역

29 오천 명을 먹이심 (마14:13-21;요6:1-15), 물위를 걸으심( 6:16-21)

베드로의 신앙 고백 (눅9:18-22), 예수의 제3차 갈릴리 사역

30 초대교회시대(30-100년) 예루살렘 입성(마21:1-11), 성전 숙정(눅19:18-22),

주의 만찬(막14:22-25). 예수님의 고난과 죽으심과 부활 (마27,28장; 막15:24-16:8; 눅23:26- 24:12; 요19:17-20:10) 그리스도의 승천(행1:9-11), 오순절의 성령강림(행2:1-4), 스데반의 순교(행7:60)

32 사울의 다마스커스(다메섹) 회심(행9:1-9)

35 바울의 예루살렘 1차 방문(행9:26;갈1:18,19)

44 요한의 형제 야고보의 순교(행12:12), 베드로의 투옥(행12:4)

45 팔레스타인의 대 기근(글라우디오 치하), 예루살렘 구제헌금 전달

47 바울의 1차 전도여행(행13:1-14:28)

49 예루살렘 공회(갈2:1), 로마로부터 유대인 축출

50 바울의 2차 전도여행(행15:36-18:23;살전1:56,3:1-6)

52 데살로니가 전. 후서 기록

53 바울의 3차 전도여행(행18:23-21:16), 로마서 기록, 고린도전. 후서 기록

54 네로의 로마황제 즉위

56 갈라디아서 기록

58 바울 체포됨(행21:27-39)

59 베스도의 유다 총독 부임, 바울의 로마여행(행27:1-28:15)

60 히브리서 기록

61 바울의 로마 투옥(행28:16;엡3:16:20;엡1:12)

62 야고보서 기록, 주의 형제 야고보의 순교,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기록

63 바울 석방, 디모데를 권고하여 에베소 교회에 머물게 함(딤전1:3), 디모데전서 기록

64 로마 대화재, 네로의 1차 박해, 베드로전서 기록

66 유대인의 반란, 디모데후서 기록, 디도서 기록, 베드로후서 기록

67 바울의 순교

68 베드로의 순교

70 예루살렘 멸망, 성전 파괴, 산헤드린 공회 폐지

70 유다서 기록(70-80)

81 도미티아누스의 기독교 2차 박해(81-96)

90 얌니아 회의에 구약 정경 39권 결정

95 요한의 밧모섬 유배(계1:6), 요한계시록 기록

96 도미티아누스의 죽음

 

100 사도 요한의 죽음. 속(후)사도의 시대(100-313년)

140경<로마신경> 제정됨

144 마르시안 출교

150 순교자 저스틴(Justine Martyr 100-165)이 로마에 ‘예수제자훈련학교’설립

156 폴리갑의 순교

170 콥틱(Coptic)어로 쪽 복음 번역

197 터둘리안(Turtullian 160-222)의 세계 선교운동 촉구

220 오리겐(Origen 185-254)의 세계 선교운동 촉구

250경 데키우스 황제, 황제숭배를 강요해서 그리스도 교도를 전국적으로 박해함

287 그레고리(Gregory 240-332)에 의한 알메니안인들의 집단적 개종,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

303 디오클레시안 황제 박해시작 - 최후, 최악의 박해

313 콘스탄틴 황제의 회심과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의 합법화

325 니케아 회의 : 교회융합→제국통합

392 테오도시우스 1세,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정함

397 카르다코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신구약 66권을 정경으로 결정함

400 이집트의 수도사들이 에티오피아어로 성경번역

430 아우구스티누스 죽음

440 교황 레오 1 세 등위(~461). 교황권, 서로마제국을 지배함

451 칼케돈공의회, 동서교회의 대립이 깊어짐

496 프랑크왕 클로비스(클로비스 1세 466?-511), 그리스도교로 개종 4세까지 있슴

498 기독교 복음이 중앙아시아 전역에 전파되기 시작

570 이슬람교의 창시자 마호메트(571년경~632년 6월 8일) 메카에서 출생

 

 

기독교 장로교 기준으로 작성된 것으로 성경기록년대에 있어 약간의 오차는 있을 수있슴.

 



※ 신약 정경

예루살렘의 시릴(AD313-386):요한계시록을 제외한 26권의 책을 정경으로 받아들임.

어거스틴(AD354-430) - 27권을 모두 수용함.

아타나시우스(AD367) - 27권을 모두 수용함.

 

제롬(AD394) - 27권을 모두 수용함.

 

구 시리아 역본(AD150) - 야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한 일, 이, 삼서, 유다서 요한

계시록을 제외한 모든 책을 수용함.

 

구 라틴역본(AD150) - 히브리서, 야고보서,베드로후서를 제외한 모든책을 수용함.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 후서, 요한 일, 이, 삼서, 유다서, 요한 계시록을 “논란 있었던 책들”을 반대경(Antilegomena)라 부른다.

 

파피아스(AD130-140) - 그의 정경에서 요한 계시록을 수용함.

이레내우스(AD180) - 히브리서, 야고보서, 요한이서, 요한 계시록을 수용함.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AD180-200) - 히브리서, 유다서, 요한 계시록을 수용함.

베드로후서를 제외한 “논란있었던 책들(disputed boohs)”시릴(Cyril) 이전의 정경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심지어 오리겐(Origen203-250)도 베드로 후서를 인용했다.

 

히포 공회(Councils as Hippo AD390)와 카르타 공회(Carthage AD397,419)는 27권 모두를 정경으로 확증했다. (성경66권 확정)

 



카톨릭의 비 성경적 교리 역사

 

1. 루시안이 장로를 사제라고 처음으로 부름 --- 2세기

2. 시프리안이 사제가 집전하는 미사를 만들어 냄 --- 3세기

3. 죽은 자를 위한 기도(바빌론 종교의 풍습) --- A.D. 300

4. 십자가 형상을 만듦 --- A.D. 300

5. 촛 불 --- A.D. 320

6. 천사, 죽은 성인들, 형상 숭배 --- A.D. 375

7. 미사가 매일 드리는 예식이 됨 --- A.D. 394

8. 에베소 공회를 통해 마리아를 높이기 시작하고 "하나님의 어머니"라는

칭호로 부르기 시작 --- A.D. 431

9. 사제들이 특별한 옷을 입기 시작 --- A.D. 500

10. 최후의 도유(치유를 위한 의식) --- A.D. 526

11. 그레고리 1세가 연옥의 교리 확립 --- A.D. 593

12. 예배 때 라틴어 사용 --- A.D. 600

13. 마리아, 죽은 성인들, 천사들에게 기도 --- A.D. 600

14. 최초의 교황 (보니파 3세) --- A.D. 610

15. 교황의 발에 입 맞춤 --- A.D. 709

16. 프랑크 왕 페핀이 교황에게 세속 권력을 넘겨줌 --- A.D. 750

17. 십자가, 형상, 유물 숭배 인정 --- A.D. 786

18. 소금, 기름을 섞은 물에 사제가 축성해서 성수로 만듦 --- A.D. 850

19. 성 요셉 숭배 --- A.D. 890

20. 추기경 대학 숭배 --- A.D. 927

21. 교황 요한 13세가 종(鐘)에 세례를 베품 --- A.D. 965

22. 교황 요한 15세가 죽은 사람들을 성인으로 선언함 --- A.D. 995

23. 금요일과 시순절 금식 --- A.D. ?998

24. 미사가 점차 희생제사로 발전하고, 참석이 강요됨 --- A.D. 11세기

25. 사제들의 독신생활 --- A.D. 1079

26. 은둔자 베드로가 묵주 사용(이교도 관행)도입 --- A.D. 1090

27. 베로나 공회 떼 종교재판소 제정 --- A.D. 1184

28. 면죄부 판매 --- A.D. 1190

29. 피터 롬바르트가 일곱가지 성사 확정 --- A.D. 12세기

30. 이노센트 3세가 화체설 확립 --- A.D. 1215

31. 이노센트 3세가 죄를 하나님이 아닌 사제의 귀에 들리게 고백하는 의식(화해의 의식)제정 --- A.D. 1215

32. 교황 호노리우스 3세가 성병 숭배 제정 --- A.D. 1220

33. 발렌시아 공회 때 성경이 평신도들에게 금지되고 금서 목록에 포함됨

--- A.D. 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