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성경강해***/- 마태복음 강해

[스크랩] 마태복음 족보의 비밀

에반젤(복음) 2021. 4. 17. 01:08

마태복음 족보의 비

본문: 마태복음1:1~17

<1년 1독 성경읽기>로 신년 초부터 구약 '모세5경'(창, 출, 레, 민, 신)과 '여호수아'를 읽으며 구약 율법 이야기에 좀 어렵기도하고 딱딱해서 포기하는 분들도 있었을 텐데, 이제 신약 복음서가 시작되어 좀 다행이다 생각됩니다.

그런데 막상 '마태복음'을 열었는데 첫 장부터 "족보"가 등장해 이건 또 뭔가 당황스러운 분들도 있었을 것입니다. 성경에는 "족보"가 여러 곳에 등장합니다.

창세기에 가인의 족보(창4:16~24), 셋 이후의 아담의 계보(창5장) 등도 있고, 노아의 족보(창10장) 등도 등장하고, 역대기서의 족보(1장), 다윗 왕가의 족보(대상2장), 에스라가 기록한 포로 귀환자들의 족보(스8장) 등도 있습니다.

우리가 볼 때 "족보"는 읽기도 의미를 파악하기도 쉽지 않고, 솔직히 우리의 직접적 조상도 아니기 때문에 따분하고 재미없지만, 이스라엘 자손들은 여호수아가 나눈 땅도 그렇고, 지금도 구약에 언급된 족보들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며 살펴보고 있습니다. 자기들의 직접 조상들 이야기이니 왜 안 그러겠습니까?

신약성경에는 예수님과 관련해 2개의 대표적인 "족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오늘 읽은 마태복음의 족보이고, 또 다른 하나는 누가복음에 기록된 족보(눅3:23~38)입니다. 이 두 족보 사이에는 공통점도 있고 또 차이점도 있습니다. 그것은 마태와 누가 두 복음서 기록자를 통해 복음서를 기록한 목적과 배경 등의 차이에서 오는 일종의 강조점 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과 다윗으로 시작되는 마태의 족보

오늘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족보를 살펴보며 이 족보에 담긴 의미를 통해 우리 신앙생활을 방향과 태도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먼저 마태복음의 족보는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라"(마1:1)로 시작합니다. 이때 "계보"는 "족보"라는 말입니다. 즉, 이하 기록된 "족보"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족보로, 그가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이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에 대해 설명할 때 예수님의 조상도 많고, 하나님으로부터 설명할 수 있을 텐데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이라 말하는 점이 특이합니다. 실제 “누가”는 하나님까지 족보를 거슬러 올라갑니다.

마태가 복음서를 쓰면서 첫 글로 "아브라함과 다윗"을 거론하는 것은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글을 쓰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은 지금도 그렇지만 예수님 시대 이스라엘은 "다윗 왕가"의 회복을 꿈꾸며 삽니다. 다윗 시대가 그들 역사상 가장 번성하고 강대했던 국가였기 때문입니다.

바벨론 포로 잡혀갔다 70년 만에 돌아와 새롭게 국가를 재건할 때 에스라 등 포로 귀환 시기 지도자들이 회복할 국가 이상으로 제시하던 시기도 바로 "다윗 시대"였습니다. 그래서 역대기는 다윗왕가에 초점을 맞추어 기록된 것입니다.

"14", 다윗 왕가의 부활을 꿈꾸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다윗 왕가 때가 그들이 회복하고자 한 시대라면, "아브라함"은 이스라엘에 있어 민족적 조상입니다. BC2,000여 년 전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택해서 큰 민족을 삼고, 제사장 나라를 삼아 복의 근원이 되게 하겠다 말씀하셨고 그 후손들이 바로 자신들이기 때문입니다. 유대인들에게 있어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민족적 긍지이고 자부심입니다.

마태는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예수님이 바로 구약에서 예언하고 있는 "메시아"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복음서를 기록했습니다. "선민의식"이 강해서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하고, 이방인과 피가 섞었다는 이유로 "사마리아" 지역 동족들을 천시하던 이스라엘에 있어 혈연적 정통성을 대단히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이에 마태는 그 시작을 유대인들이 가장 존경하고 존중하는 아브라함과 다윗으로 출발하며, 예수 그리스도는 바로 그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으로 하나님이 약속하신 바로 그 메시아라고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태는 예수께서 다윗의 자손으로 다윗 왕가의 적통을 있는 이스라엘의 왕, 메시아라는 것을 족보 가운데 설명합니다. 이를 위해 "다윗"이 태어나게 된 배경(1:1~5)을 설명하고, 다윗으로부터 바벨론에 사로잡혀 가기까지 다윗 왕가의 계보를 기록합니다.(1:6~11) 이를 통해 마리아의 남편 "요셉"이 다윗의 후손임을 설명하고 있는 것입니다.(1:16a)

17절은 "그런즉 모든 대 수가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요,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갈 때까지 열네 대요, 바벨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더라"고 기록하며 족보를 정리합니다. 다윗을 중심으로 14대씩 3번으로 족보를 정리하면서 이 족보의 기록 목적이 "다윗"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 이를 통해 그리스도께서 다윗의 자손이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마태가 족보를 14대로 3번에 걸쳐 정리한 것은 좀 억지스럽습니다. 족보 중에 보면 "요람이 웃시야"를 낳았다.(1:8)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는 요람과 웃시야 사이에 아하시야, 요아스, 아마샤가 있습니다. 일부를 생략하고 있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11절에 "요시야가 여고냐와 그 형제들"을 낳았다고 하는 것도, 실제 요시야의 아들은 "여호야김"이고 그 아들들이 여고냐(여호야긴)와 시드기야 등입니다.(대하36:1~9) 이외에도 이 족보는 아브라함으로부터 요셉까지 모든 것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14대로 인위적으로 맞추어져 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14"라고 하는 숫자에 비밀이 있습니다. 히브리어는 총 22개의 알파벳으로 히브리어는 숫자가 따로 없고 알파벳 순서가 곧 숫자를 의미합니다. "다윗"의 히브리어 알파벳 숫자를 보두 더하면 14가 됩니다. 인위적으로 다윗을 강조하기 위한 배치입니다.

14라고 하는 수는 7의 배수인데, 성경에서 "7"은 완전수입니다. 완전수의 7을 2개 표시하고, 14대로 3번 나눈 족보 배열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함을 드러내고자 한 것입니다.

 

불경한 여인들의 등장

 

그런데 이렇게 완전한 왕 "다윗", 가장 강성했던 "다윗 시대"에 대해 열망을 담아놓고, 그래서 완전한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를 증명하는 이 족보를 다시 자세히 들여다보면 뭔가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어찌 보면 완전함, 강성함과는 거리가 먼, 불경하고 허술한 치부를 드러내는 내용들이 들어있는 것입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이 족보에는 5명의 "여자"들이 등장합니다. "다말, 라합, 룻, 우리야의 아내(밧세바), 마리아"입니다. 유대인들은 이방인 못지않게 여자들에 대한 차별이 심했습니다. 이는 유대인만이 아니라 고대 근동의 문화이며 풍습입니다. 여자를 천시하여 숫자에도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여자가 5명이나 가장 완전하고 정의로워야 할 메시아의 족보에 기록되어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 이 여자들은 좋은 가문의 정결한 여인들도 아닙니다. "다말"은 시아버지인 유다를 속여 시아버지와 동침해 자녀를 낳은 여인입니다. 더구나 그녀는 가나안 땅의 이방인이었습니다. 이방인 여자는 또 있다. "라합"은 가나안 여리고성 여자로 창녀였고, "룻"은 모압 여인이었다. 모압은 아브라함의 조카 "롯"과 그의 딸 사이에 태어난 족속으로 이스라엘의 심한 멸시를 받았습니다. 우리야의 아내 "밧세바"는 다윗과의 관계 가운데 남편을 죽게 했던 여인으로 우리야는 가나안 헷족속 사람이었습니다.

어떻게 거룩한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그것도 위대한 왕 "다윗"의 자손임을 입증하는 족보에 여자들, 그것도 부정하고 이방인인 여자들을 넣었을까요? 여자들이 필요했다면 사라, 리브가 등 내세울 만한 여자들도 많은데 마태는 일부로 이들을 넣고 있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

 

이유는 바로 예수께서 다윗의 자손이면서 동시에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데 있습니다. 다윗이 강성한 제국, 위대한 왕의 대표적 상징 인물이라면, 아브라함은 믿음과 은혜의 대표적 인물입니다. 아무런 세력도 힘도 없었던 평범한 사람 아브라함은 택해서 큰 민족, 제사장 나라, 복의 근원을 삼았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주었던 믿음과 은혜의 방식대로 이스라엘 민족을 그리고 인류를 구원하실 것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아브라함과 맺었던 그 약속의 성취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는 것입니다.

천대받는 이방인이며, 죄인인 여자들이 자신들이 그렇게 추앙하는 다윗 왕의 족보에 있다는 사실은 다윗 왕의 개인의 능력이나 어떠함이 아니라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하나님의 방식으로 이루어가시며 돌이라도 들어 사용하실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시는 것입니다.

메시아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는 많이 배우고, 고결하고 높은 신분 사람, 혈통적으로 유대인인 사람들만을 위해 오신 것이 아닙니다. 어린아이, 여자, 고아, 과부, 세리, 창녀, 이방인 등 힘없고 빽없고 지지리 궁상같이, 어중이떠중이로 살아가는 우리네 보통사람, 평범한 사람, 그렇고 그런 사람들도 구원하시기 위해 기꺼이 십자가를 지신 진정한 메시아 인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예수를 낳으니라

 

 

이 위대한 역설은 16절에서 절정을 선언합니다. "야곱은 마리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위에 모든 족보는 "누가 누구를 낳았다"고 표현하며 "아버지 00이 아들00을 낳았다"이야기 합니다. 그런데 이 마지막 절은 요셉이 예수를 낳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야곱이 요셉을 낳았고,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요셉이 아니라 마리아에게서 낳았다. 남성 중심적 사고를 가진 유대인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어법입니다. 그런데 이 구절에는 생략된 말이 있습니다. 바로 "하나님"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유대인들은 하나님을 존귀히 여겨 "하나님"이란 단어를 부르거나 쓰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마태도 유대인을 의식해 또 자신도 유대인이기에 하나님이란 단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문법적 방법이 “"신적 수동태"라는 기법입니다. 수동태는 누구에 의해서 행위를 수동적으로 하게 된 것을 표기할 때 사용하는데, 특별히 하나님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진 것을 암시하는 표현을 ”신적 수동태“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위 문장을 ”신적 수동태“를 고려해 다시 표현하면 "마리아에게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를 낳으니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아브라함과 다윗의 완벽한 자손이면서 동시에 완벽하게 하나님께서 낳으신 하나님의 아들이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가 진정한 메시아입니다. 인간의 자손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손 즉, 하나님이 자신으로 오셨다는 것입니다. 18절부터 마태는 이에 대해 본격적으로 설명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은 이러하니라... 성령으로 잉태된 것이 나타났더니.."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마태가 기록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족보를 살펴보았습니다. 물론 예수님은 가장 강성했던 다윗 왕의 자손으로 완전한 왕이십니다. 그래서 우리의 삶을 성령으로 이끌어주시며, 우리 개인과 전 인류 모든 삶의 완전한 구원자가 되십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아브라함의 자손입니다. 오직 하나님의 긍휼과 은혜를 덧입어 믿음의 조상이 되었던 아브라함처럼, 우리의 연약함, 부끄럼에도 불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랑을 덧입어 우리도 믿음의 자녀 되고, 구원의 백성이 되는 것입니다.

이방인이며 죄인인 여자들이 거룩한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그의 나심에 사용되었던 것처럼 비록 죄가운데 있고, 연약한 우리들이지만 믿음으로 순종함으로 하나님께 나아갈 때 우리도 또한 하나님의 나라의 그 거룩한 역사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이 믿음으로 사시는 성도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 드립니다. 아멘!

 

출처: 창골산 봉서방 원문보기 글쓴이: 봉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