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성경강해***/- 호세아 강해

호세아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에반젤(복음) 2019. 9. 25. 17:19




호세아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이스라엘의 구원은 누구에게나 궁금한 주제입니다.

로마에 보낸 편지에서 사도 바울은 분명 이스라엘의 구원을 말합니다.

그것도 강력하게 말합니다.

이방인의 수효가 채워질 때까지 그들을 질투의 눈이 멀게 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때가되면 그들은 조상들 -

구체적으로 족장들을 비롯한 선조들의 공로에 의존하여 회복의 역사가 펼쳐진다는 것입니다.

긍정의 해석이랄 수 있는 이스라엘의 회복과 구원의 문은 언제나 문자적 해석이라는 제일의 원리를 앞세우곤 합니다.

바울이 말한 이스라엘의 구원이 오늘의 이스라엘을 의미하는가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차이점을 누누이 지적해도 여전히 변할 수 없는 핵심이 하나 있습니다.

오늘의 이스라엘도 여전히 구약의 말씀을 생명처럼 여긴다는 점입니다.

그들은 이스라엘의 선조들이 그랬듯이 하나님의 말씀을 파수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보존한다는 것은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그러니 하나님의 은혜를 일정 부분 간직한 이들인데 구원의 문이 열리는 것 역시 지당하다는 논리입니다.

 

바울에 의해 이스라엘이 과연 구원받을 수 있는가의 문제제기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러나 알고 보면 그리 간단하지 않은 문제임을 우리는 압니다.

바울은 그 문제제기를 호세아서의 말씀을 인용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호세아의 외침에 이스라엘의 구원을 담고 있습니다.

호세아의 예언을 인용하여 이스라엘의 구원, 그 정당성을 확보합니다.

과연 이스라엘의 회복과 구원은 가능한 것입니까?

신약의 내용을 다룰 때, 이 문제에 대한 답을 해야 되겠지요?

호세아서는 신약에 3~4회 밖엔 언급되지 않은 짧은 성경입니다.

그러나 그 인용의 의미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호세아서부터 말라기서까지를 소선지서라 부릅니다.

히브리어 성경의 편집자들은 예언자들의 메시지 중 일부를 엮어 소선지서라 했습니다.

그러므로 사실 소선지서를 시작하면서 몇 가지 질문을 해야 합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소선지서의 통일성 문제입니다.

소선지서는 선지자 열두 명의 메시지를 묶은 것입니다.

하나로 묶을 주제가 있는가를 물어야 합니다.

모든 메시지는 나름의 주제가 있습니다.

그런데 각각의 메시지를 하나로 묶을 통일된 주제가 있는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것은 소선지서만 아니라 선지서 전체의 문제입니다.

필자는 선지서의 통일된 주제로 “남은 자” 사상을 염두에 둡니다.

곧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메시야와 구원의 백성 이야기입니다.

호세아서는 그 남은 자 사상을 가장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헤세드”는 호세아서에서 가장 강렬하게 뿜어져 나오는 주제입니다.

 

호세아서를 읽으면 알게 됩니다만 그는 고대 역사에 해박한 인물입니다.

이제는 고전처럼 여겨지는 하나님의 언약들을 하나하나 들추어냅니다.

아담의 언약과 야곱의 언약이 나오는 근거이지요.

그저 옛날의 사건을 언급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사건을 엄격하게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호세아 선지자의 학습능력이 새롭게 관심꺼리가 됩니다.

어떤 의미에서 호세아는 다른 문서선지자와는 다른 색깔의 선지자라 말할 수 있습니다.

분명 문서 선지자인데 그의 메시지는 심판 선지자의 이미지가 풍깁니다.

그러나 그는 분명 문서 선지자입니다.

그의 예언도 역시 남 유다의 소망을 깔고 있습니다.

북 이스라엘을 향한 질타이지만 돌아보면 남 유다에 대한 질책이며 경고입니다.

북 이스라엘의 죄악상을 들추어내며 남 유다만은 그러지 말라고 닦달합니다.

아마도 이 주제를 깊이 헤아렸기에 소선지서의 하나로 편집했을 것입니다.

 

호세아 선지자는 탁월한 말 재주꾼입니다.

흔히 “언어유희”(Word play)라 부르는 풍성한 이미지 암시 기법을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같은 듯 다른 뜻을 지니고, 그래서 곱씹어 묵상하지 않으면 안 되는 고차원의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엘리야나 엘리사와 같은 북 이스라엘 선지자 그룹에서 발견되는 언어습관이 드러납니다.

그래서 호세아는 고전적 선지자와 문서 선지자를 연결하는 징검다리로 볼 수도 있습니다.

 

호세아가 선지자로 부름을 받은 때는 언제입니까?

호세아는 당시의 표현기법을 그대로 사용하여 왕들의 통치에 기대어 자신의 예언시대를 알립니다.

그는 비록 북 이스라엘의 선지자이지만 왕조는 남 유다를 앞세웁니다.

이는 암묵적으로 호세아 예언의 궁극적 대상이 남 유다임을 드러냅니다.

호세아가 왕성하게 선지자의 사명을 감당하던 시기를 보십시오.

그 시대는 놀랍게도 북 이스라엘 역사상 가장 왕성한 경제부흥기였습니다.

북 이스라엘을 억압하던 한 세력인 시리아가 급격하게 쇠퇴의 길을 걷습니다.

여로보암 2세는 40년에 걸친 통치를 통해 국력을 강화합니다.

물질만능주의와 긍정적 사고가 팽배한 북 이스라엘의 한 복판에서 호세아는 외칩니다.

호세아의 예언은 혼합주의에 대한 경고입니다.

호세아는 북 이스라엘이 안고 있는 혼합주의 예배 양상을 이렇게 질책합니다.

“에브라임이 여러 민족 가운데에 혼합되니 그는 곧 뒤집지 않은 전병이로다.”(호 7:8)

 

뒤집지 않은 전병,

그래서 한 쪽은 새카맣게 타버리고 한 쪽은 익지도 않은 전병을 상상해 보십시오.

호세아는 잘 되는 북 이스라엘 앞에서 혼합주의의 피폐를 정확하게 찔러댑니다.

유감스럽게도 호세아의 이 메시지는 오늘날에도 그대로 적용이 됩니다.

한국교회는 벌써부터 혼합주의 예배로 뒤범벅이 된지 오래입니다.

좋은 것이 좋다고 손을 놓아버린 개혁으로 교회는 세속의 오물을 뒤집어쓰고 있습니다.

호세아의 가슴앓이는 오늘에도 계속되는 셈이지요.

 

그 호세아가 어떻게 하나님의 사람으로 부름을 받았는지 분명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다른 선지자들에 비해 알 수 있는 가족관계가 있다는 것이 다행입니다.

호세아란 이름은 귀족들 가운데 비교적 익숙한 이름이었습니다.

대표적 인물이 여호수아로 알고 있는 호세아이지요.

공교롭게도 북 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의 이름도 호세아입니다.

호세아가 호세아의 말을 듣지 않아 망한 꼴이지요.

호세아의 신약 이름은 예수입니다.

그러므로 그 이름 자체가 “구원”의 이미지를 깔고 간다고 말할 수 있겠지요.

 

비극도 이런 비극이 없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으로 부름을 받습니다.

얼마나 신나는 일이겠습니까?

그런데 그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소문난 바람둥이요 창녀인 더러운 여인과 혼인하는 일입니다.

저라면 하나님께 항의했을 것입니다.

명색이 하나님의 사람인데 어떻게 부정한 여인과 결혼하란 말씀입니까?

아마도 당당하게 따지고 하나님의 부당한 명령에 거칠게 저항했을지 모릅니다.

그런데 이 분은 달랐습니다.

하나님의 모든 말씀을 순순하게 받아드립니다.

고멜이라는 잘 알려진 부정한 여인을 찾아 그와 혼인을 합니다.

그리고 자녀를 낳습니다.

아들 둘과 딸 하나입니다.

이스르엘, 로루하마, 로암미라는 비교적 저주스런 이름들이 자녀들의 이름입니다.

이 모두가 하나님께서 지어주신 이름들이지요.

자녀들의 이름은 이스라엘의 장래를 예견하게 합니다.

아예 온 몸으로 이스라엘의 앞날을 예표하고 있는 셈입니다.

그러니 단란하고 행복해야 할 가정의 입장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선지자의 집안입니다.

집안이 이 꼴인데 그의 예언을 백성들이 곧이곧대로 받아주겠습니까?

정말 하나님의 말씀이구나 하면서 회개의 자세를 보이겠습니까?

오히려 집안 단속이나 잘 하라고 손가락질 하고 온갖 구박을 일삼지 않았겠습니까?

하나님께서 너 같은 부정한 집안의 사람을 선지자로 세웠겠냐며 천대했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명령에 그저 순종한 것뿐인데 나타나는 현상은 공격적 비난뿐입니다.

온갖 멸시와 천대와 조롱을 견디며 자그마치 40년이 넘는 긴 세월 예언의 말씀을 증언합니다.

그러니 그 모든 시간이 선지자에겐 통과하기 버거운 고난의 가시밭길입니다.

그래서 그는 선지자이신 예수님의 모습을 옮겨놓은 듯합니다.

그 분은 선지자 호세아입니다.

 

말뿐인 개혁을 아십니까?

선동에 이골이 난 백성들은 아예 들은 체도 하지 않습니다.

이래저래 참된 하나님의 말씀은 또 다시 잊어져 갑니다.

냄비근성의 이스라엘은 위기가 사라지면 또 다시 죄의 자리로 되돌아가곤 합니다.

아무리 풍요롭고 넘쳐나는 것이 돈이라고 해도 위기는 언제나 있는 법입니다.

한번 물러난 적국이 그저 가만히 있는 것도 아닙니다.

위기는 돌고 돕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위기 때마다 지도자들은 상투적인 회개를 외친다는 사실입니다.

호세아가 볼 때에 얼마나 가슴 아픈 일입니까?

그들의 거짓된 구호에 놀아나는 어리석은 백성들이 얼마나 불쌍합니까?

호세아는 한 소리 외칩니다.

 

호세아는 끊임없이 회개를 외칩니다.

회개만이 하나님의 자비를 얻을 수 있는 유일의 방편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헛된 회개에 호세아의 외침이 묻혀갑니다.

거짓 때문에 참이 질식을 당합니다.

 

호세아서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많은 선지서입니다.

특히 6장의 해석이 그 정점에 있습니다.

6장은 잘 알려진 회심의 예언입니다.

“삼일”이라는 구체적 날수가 있어서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부활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두가 그렇게 해석하는 것은 아닙니다.

6장의 예언을 호세아의 예언으로 보지 않는 입장도 있다는 것이지요.

호세아는 빈정거림으로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의 저급한 해결방법을 소개합니다.

즉 위기가 닥칠 때면 상투적으로 하나님께 회개하자고 수작을 부린다는 것이지요.

회개와 회복은 그들의 상투적인 구호에 불과할 뿐입니다.

볼프(H. W. Wolff ; Die Hochzeit der Hure)와

반 게메렌(W. A. VanGemeren ; Interpreting the Prophetic Word) 이 이런 입장을 취한 대표적 학자들이지요.

사실상 호세아서의 대가들이라 할 수 있는 분들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