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성경강해***/- 이사야 강해

이사야 서론

에반젤(복음) 2019. 12. 29. 16:16



이사야 서론

 

위치.

본서는 히브리어 원전에서 제 2부인 “선지서”(느비임)의 “후선지서 4권”(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소선지서)의 첫번째이다. 예언자는 “고하는 자, 또는 보는 자”의 뜻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보고 고하는 자를 가리켰다. 그것은 반드시 미래에 대한 예언만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사에 대해 그 뜻을 밝히는 사명이 있는 것이다.

 

이사야.

아모스의 아들 이사야(1:1)는 웃시야왕에서 히스기야왕에 이르는 동안(주전 750-695년) 활약한 궁정 선지자로 유대 전설에 의하면 그 자신 왕족으로, 요아스왕의 손자였다고 한다. 그는 모든 선지자 중에서도 “대선지자” 또는 “선지자들의 왕”으로 불리운다. 그의 최후는 므낫세왕(주전 696-642년)의 우상숭배를 경계하다가 톱으로 켜임을 당해 순교했다고 한다(히 11:37).

 

시대적 배경.

이사야의 장구한 선지자 활동은 3기로 나눌 수 있다. 제 1기는 그의 활동개시로부터 북조 이스라엘이 앗수르로 포로될 때까지(주전 750-722년)로, 열렬한 호교의 왕 웃시야가 죽고(6:1), 유다 왕국의 종교상태도 북조의 그것을 따라 우상숭배로 타락해 가는 풍조를 이사야는 가로막으며 경계하였다. 제 2기는 북조가 멸망한 후 앗수르의 사르곤의 통치 기간으로(주전 722-705년), 앗수르의 패권이 애굽까지 미쳤을 때 이사야는 현명한 신앙의 왕 히스기야를 보좌하여 종교개혁을 이룩하고, 전적으로 하나님을 의지하여 앗수르의 침략에서 구원받았다. 제 3기는 사르곤이 죽은 이후로(주전 705-695년) 사방에서 일어난 반앗수르 동맹에서 중립하여 오직 하나님께만 의지하도록 이사야는 격려했으나 히스기야는 애굽과 동맹을 맺게 되고, 그의 아들 므낫세 때에 이르러 이사야는 순교로 그의 선지자 활동을 끝맺는다.

 

본서의 통일성 문제.

본서의 통일성은 18세기 말경(1780년경)부터 의심하기 시작하여, 40장 이하를 제 2이사야(Deutero-Isaiah)라 하며, 고레스가 메대 바사의 왕이 될 때부터 바벨론을 멸망시킨 때까지(주전 550-538년)의 기간에 저작되고, 다시 56-66장을 제 3 이사야(Tnto-Isaiah)라 하며 에스라의 종교개혁(주전 444년) 이전에 기록되었다는 학설이 강력히 일어나고 있다. 그 이유로는 1-39장과 40장 이하와는 (1)문제가 다르고,(2)사상적인 면에서도 전자는 이스라엘과 이방제국의 현상에 대한 책망인데, 후자는 미래에 대한 소망인 것, (3)역사적 배경에서 고레스같은 인물이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것(45:1), (4)36-39장은 역사적 부분으로 제 1 이사야서의 결론적 형태라는 것 등이다.

이에 반대하고, 본서의 통일성을 유지하려는 근거로는, (1)위의 양자간에 언어적 공통점이 40-50개에 이르고, (2)신약의 인용은 위의 두 부분을 차별없이 이사야의 예언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마 3:3;12:17-21; 눅 3:4-6; 행 8:28; 롬 10:16,20, 요 12:38-41 등), (3)주전 2세기의 저작인 “시라(Sira)의 아들들의 지혜문”이나, 역시 주전 2세기의 기록으로 보며 1948년에 발견된 사해사본 등에 본서가 통일되어 있는 점 등이다. 대체로 반대설은 내적 증거에만 의존하고 외적 증거가 없는 것이 약점이다. 그러나 본서의 분리설이라 해도 그것이 본서의 계시성 또는 영감설을 부정하는 것과는 별 문제로 본다.

 

특징.

이사야의 이름의 뜻은 “여호와의 구원”이며, 그것이 그의 예언서의 주제이기도 하다. 첫째, 이 여호와의 구원을 성취하실 그리스도에게 그의 예언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그는 “메시야적 또는 복음적 선지자”, “구속의 선지자” 그리고 그의 예언서는 “제 5복음” 또는 “이사야복음” 등으로 불리운다. 둘째, 그의 그리스도전적 예언이다. 즉 탄생(7:14;9:6), 족보(11:1), 기름부음 받음(11:1;61:1), 성격(7:15;11:3,4), 온유성(42:1-4), 죽음(52:13-53:12), 부활(25:8), 재림(11:3-16:22장) 등이다. 더구나 그의 죽음과 관련된 고난의 종의 사상은 본서의 사상적 백미(白眉)에 속한다. 세째, 유일신의 개념과(44:6,8;45:14,18), 그 하나님의 거룩성과 영광은 히브리 사상의 근저가 되나 본서에서 더욱 뚜렷하다(6:3 등). 그리고 하나님의 거룩성이 인간의 윤리면과 직결되는 것도 본서의 심오한 의미에 속한다(6:5-7). 네째, 남은 자의 구원이다(6:13). 그것은 바벨론 포로 이후의 이스라엘의 재건에 대한 예언인 동시에 이스라엘의 종말적 구원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롬 9:27).

 

내용.

이사야서는 심판과(1-35장) 구원으로(40-66장) 양대분되고, 그 중간에 역사적 사실이 삽입된다(36-39장). 그리고 제 1부 심판은 다시 이스라엘과 유다의 심판(1-12장), 만국의 심판(13-27장) 및 화와 축복의 노래로(28-35장) 나누어지고, 제 3부인 구원은 구원과(40-48장), 구원자(49-57장) 및 구원받은 자(58-66장)로 나누어진다.

 

내용분해

1. 심판(1-35장)

1) 이스라엘과 유다의 심판(1-12장)

(1) 유다의 심판(1-5장)

(가)하나님의 고발(1장)

(나)유다의 죄(2:1-4:1)

(다)회복의 소망(4:2-6)

(라)포도원의 노래(5장)

(2) 이사야의 부르심(6장)

(3) 메시야 왕국(7-12장)

(가)임마누엘(7장)

(나)마헬살랄하스바스(8장)

(다)메시야 왕국(9:1-7)

(라)이스라엘의 죄(9:8-10:4)

(마)앗수르의 죄(10:5-34)

(바)이새의 줄기(11장)

(사)감사의 찬양(12장)

2) 만국의 심판(13-27장)

(1) 만국의 심판(13-23장)

(가)바벨론의 심판(13:1-14:23)

(나)앗수르의 심판(14:24-27)

(다)블레셋의 심판(14:28-32)

(라)모압의 심판(15-16장)

(마)다메섹과 이스라엘의 심판(17장)

(바)에디오피아의 심판(18장)

(사)애굽의 심판(19-20장)

(아)바벨론의 심판(21:1-10)

(자)에돔의 심판(21:11,12)

(차)아라비아의 심판(21:13-17)

(카)예루살렘의 심판(22장)

(타)두로의 심판(23장)

(2) 하나님의 최후심판과 승리(24-27장)

(가)최후의 심판(24장)

(나)구원의 찬미(25-26장)

(다)하나님의 백성(27장)

3) 화와 축복의 노래(28-35장)

(1) 이스라엘의 화(28장)

(2) 유다의 화(29-31장)

(3) 메시야 왕국의 축복(32장)

(4) 외적격퇴의 축복(33장)

(5) 열국의 심판(34장)

(6) 이스라엘의 축복(35장)

2. 역사적 기록(36-39장)

1) 앗수르군의 침공(36장)

2) 앗수르군의 격퇴(37장)

3) 히스기야의 병(38장)

4) 히스기야의 실수(39장)

3. 구원(40-66장)

1) 구원(40-48장)

(1) 구원의 소망(40장)

(2) 우상의 허무성(41장)

(3) 구원자 여호와의 종(42장)

(4) 이스라엘의 회복(43-44장)

(5) 고레스를 통한 구원(45장)

(6) 바벨론의 심판(46-47장)

(7) 이스라엘의 구원(48장)

2) 구원자(49-57장)

(1) 구원자 여호와의 종(49장)

(2) 여호와의 종의 충성(50장)

(3) 이스라엘을 격려하심(51:1-52:12)

(4) 고난의 종(52:13-53:12)

(5) 구원의 약속(54-55장)

(6) 회개자를 구원하심(56-57장)

3) 구원받은 자(58-66장)

(1) 회개와 용서(58-59장)

(2) 회복된 이스라엘의 영광(60장)

(3) 기쁜 소식(61-62장)

(4) 회고와 기원(63-64장)

(5) 신천신지(65-66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