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성경강해***/- 이사야 강해

이사야서에서 무엇을 설교할 것인가?

에반젤(복음) 2019. 12. 29. 16:24


             이사야서에서 무엇을 설교할 것인가?

 

I. 들어가는 말

굳이 통계를 들먹이지 않아도 한국 교회가 지금까지 예언서 설교에 인색해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예언서 설교를 의도적으로 회피한 것인지, 아니면 못한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예언서도 설교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예언서 설교를 위해서 먼저는 예언, 예언자, 예언서에 대한 간략한 이해와 대선지서(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스겔서)의 역사적 배경과 전체 구조를 살펴보고, 각 예언자의 핵심 메시지를 간추려서 오늘의 상황에 대한 예언자의 설교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II. 선지서 이해하기 위한 기초 지식

1. 성서의 예언은 예언(豫言)이 아니라 예언(預言)이다

우리는 보통 예언이라 하면 앞날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미리 말하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이 때문에 예언을 예언(豫言)으로, 다시 말해서 '장래 일을 미리(豫) 말하는 일(言)’로 여기게 된 것이다. 그래서 영어의 '예언'(prophecy)이라는 말은 ‘미래의 일을 미리 알리기’(a declaration of something to come)로 뜻풀이가 되고, 흔히 ‘내일 일을 미리 말하기’(예측, 예고, foretelling/prediction)와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물론 구약 성서의 예언에서도 이러한 뜻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구약 성서의 예언은 물론 신약 성서도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는 '장래 일을 미리 말하기' 라기 보다는 '(하나님이) 맡겨주신 말씀을 전하기' 라는 뜻이다. 즉 성경의 예언은 한자말로 ‘맡길 예(預)’와 ‘말씀 언(言)’의 결합으로 말 그대로 '맡겨준신 말씀' 이라는 것이다. 예언자는 ‘하나님이 맡기신 말씀을 전달하는 자’이다.

2. 예언자는 저술가가 아니라 선포자이다

구약 성서에는 많은 예언자들이 등장한다. 이 예언자들은 전기 예언서에 등장하는 주전 8세기 이전에 활동한 문서 이전 예언자들과 후기 예언서에 나타나는 주전 8세기 이후의 문서 예언자들로 나뉜다. 문서 이전의 대표적인 예언자들로는 사무엘(삼상 3:2), 나단(삼하 12장), 미가야(왕상22장), 엘리야(왕상 17-19장, 21장; 왕하 1-2장), 엘리사(왕하 1-2장) 등을 들 수 있다. 문서 예언자들로는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이라는 세 명의 대예언자와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다. 요나, 미가, 나출,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라는 열두 명의 소예언자들이 있다. 주전 8세기 이전에 활동한 예언자들이 남긴 신탁(예언)은 독지적인 문헌으로 남아 있지 않고 그들의 활동에 대해서만 기록으로 남겨져 있기에, 그들은 문서 이전의 예언자로 불리운다. 이에 반해 문서 예언자란 명칭은 그들의 신탁이 글로써 정리되어 그들의 이름으로 묶여져 남게 된 예언자란 뜻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를 들면 예레미야서는 예레미야가 저술한 것이라기 보다는 예레미야가 선포한 말씀이 상당시간 흐른 뒤에 수집 기록 정리된 것이다. 즉 예레미야의 신박이 모아진 것이 오늘의 예레미야서인 것이다. 예언자들은 원래 저술가가 아니다. 그들은 말씀의 선포자이다. 그들은 특정한 상황에 처한 구체적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선포하는 사람들이다.

3. 예언서는 인간의 자서전도 위인전도 아니며, 역사적인 하나님의 말씀이다

예언서에는 예언자의 경험, 행동, 또는 고난에 관하여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자서전이나 위인전의 주요구성 요소들이기도 하다. 그러나 예언서의 중심 주제는 예언자의 운명이나 생애가 아니다 .만약 예언서가 예언자들의 삶을 그린 글들의 모음이라면 예연서는 예언자의 말이나 행적을 연대순으로 배열해놓았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예언서들은 연대순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또한 예언자의 출생과 죽음에 대하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예언서는 인간 아무개에는 관심이 없고 하나님에게 붙잡힌 예언자 아무개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즉 예언서는 인간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심부름꾼인 예언자의 말씀이, 정확히 말하면 예언자를 통한 하나님의 말씀이 기록된 것이다. 예언자는 하나님의 구속사에 있어서 하나님의 심부름꾼이지 주인공이 아니다. 그러므로 예언서는 한 예언자의 자서전도 아니며, 위인전도 아니다. 예언서는 예언자들을 통한, 그 시대에 필요한 하나님의 말씀이 모아진 것이다.

III. 대선지자들의 삶과 메시지

1. 이사야(주전 740-701년경)

1) 활동 시기와 출신

이사야는, 6장의 소명 기사에 의하면, '웃시야의 죽던 해' 에 소명을 받는다. 웃시야의 죽던 해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략 주전 740년경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이사야의 최후의 선포였을 것으로 보는 본문들이(사 1:4-8, 22:1-14, 32:9-14) 앗수르의 왕 산헤립이 유다를 침공하여 유다의 모든 성읍들을 황폐케 하고 홀로 남은 예루살렘을 포위한 주전 701년의 사건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사야의 활동 시기는 대략 주전 740년경부터 701년까지로 추산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앗수르의 위협이 점점 더 거세지면서 유다는 정치적으로 불안한 때였다.
약간 앞선 시대에 활동한 예언자인 아모스와 호세아가 북 왕국에서 활동한 반면 이사야는 남왕국에서 활동한 첫 번째 문서 예언자였다. 이사야가 왕과 고위 관리집단과 가깝고(7:3, 8:2, 22:15이하), 수도 예루살렘의 정치적 사회적 제의적인 상황에 대해서 충분히 알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는 신분이 높은 귀족 가문 출신으로 예루살렘에서 성장하고 활동한 듯하다. 이러한 출신 배경으로 인해 그는 왕 및 조정과 논쟁을 벌이고 그들이 내세우는 종교, 사회, 외교 등에 관한 정책을 하나님의 뜻에 비추어 논박하고 있다. 아무튼 이사야는 격조 높은 문체를 구사할 뿐더러 지금도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막강한 웅변력을 발휘한다.

2) 전체 구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이사야서는 제 1부(1-39장), 제 2부(40-55장), 그리고 제 3부(56-66장)로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제 1부에 해당되는 이사야 1-39장으로 국한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 부분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1-12장: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의 말(초기)
13-23장:이방 민족들에 대한 심판의 말
24--27장:소위 이사야 묵시록
28-32장:예루살렘에 대한 심판의 말(후기)
33-35장:희망의 말
36-39장:역사적 부록
(왕하 18-20장에서 유래)

3) 이사야의 핵심 메시지-한국 교회를 향한 이사야의 설교

① 예배비판:“내 마당만 밟을 뿐이니라”(1:12)

이사야 1장 10절로부터 17절까지는 유다 백성들이 성전에서 예배드리는 것을 비판하는 내용이다. 이사야는 자기 민족을, 이미 오래 전에 벌을 받아 이 세상에서 사라져버린 도시 ‘소돔과 고모라’(창 19장)라고 부른다. 하나님의 백성의 현실은 소돔과 고모라처럼 절망적이다.
이 백성들은 그들이 바친 제물(수양, 살진 짐승, 수송아지, 어린양, 수염소)로 인하여 자신들이 경건하며 하나님께 복종하는 사람들로 입증되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들은 규정된 모든 예배를 엄격하게 지켰다. 그들은 월삭과 안식일과 대회와 성회들을 모든 규정된 의식에 따라 성실하게 준행하였다. 그런데 하나님은 자기 백성의 이처럼 '경건하고' ‘거룩한’ 행위들에 대하여 오히려 경멸하신다.

“나는 정말로 너희의 초하루 행사와 정한 절기들이 싫다. 그것들은 오히려 나에게 짐이 될 뿐이다. 그것들을 짊어지기에는 내가 너무 지쳤다”(1:14, 표준새번역).

하나님의 이러한 혐오감은 종교의 기본, 곧 종교의 시작이자 마지막이라 할 수 있는 기도까지도 거부하심으로써 그 정점에 다다른다.

'너희가 팔을 벌리고 기도한다 하더라도, 나는 거들떠보지도 않겠다. 너희가 아무리 많이 기도를 한다 하여도 나는 듣지않겠다'(1:15, 표준새번역).

하나님은 왜 이토록 진노하시는가? 예배자들의 손에 피가 가득하였기 때문이다. 즉 예배드리기 이전의 삶이 하나님이 받으시는 예배에 합당한 예배자의 삶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예배하기 전에 먼저 선행되어야 할 일이 있다.

“너희는 씻어라. 스스로 정결하게 하여라. 내가 보는 앞에서 너희의 악한 행실을 버려라. 악한 일을 그치고, 옳은 일을 하는 것을 배워라. 정의를 찾아라. 억압받는 사람을 도와주어라. 고아의 송사를 변호하여
주고 과부의 송사를 변론하여 주어라”(1:16-17, 표준새번역),

악한 행실을 버리고 불쌍한 사람들을 돕는 일이 예배 전에 선행되어야 할 일이다. 일상적인 삶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의 윤리적인 요구를 실천하는 사람만이 하나님의 거룩한 산에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주님, 누가 주님 계신 곳에서 살 수 있는 사람입니까? 주의 거룩한 산에 머무를 사람은 누굽니까? 깨끗한 삶을 사는 사람, 정의를 실천하는 사람, 마음으로 진실을 말하는 사람(입니다)'(시 15:1-2, 표준새번역).

예배드리기 전의 삶이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윤리적이고 진실한 삶이 아니라면 제물(헌금)은 자기를 의롭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고, 예배는 감정을 고양시키는 기회에 지나지 않고, 기도는 의미없는 외침이거나 위선적인 고함소리가 되어버릴 것이다. 윤리(삶)가 없는 예배(신앙)는 무익한 습관에 지나지 않으며, 오히려 하나님을 화나게 하는 악행(?)이 된다. 이는 성전의 마당만 밟는 습관적인 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그동안 한국 교회는 신앙적인 면만을 많이 강조해온 것 같다. 기름진 제물만을 교회에 많이 바치면 된다는 식으로 가르쳐오지 않았는가? 그 제물이 정한 것인지, 부정한 것인지는 더이상 묻지도 않고, 또한 정한 제물을 만드는 방법(경제 윤리)도 가르쳐오지 못했다. 이점에 있어서 한국 교회의 지도자들은 반성하고 회개하여야 한다. 하나님이 열납하시는 예배가 성전 안에서의 태도만이 아니고, 예매 드리기 이전 성전 밖에서의 삶의 태도에 의해서도 결정된다는 사실을 이사야에게서 들어야 한다. 이제는 신앙(예배시의 태도)뿐만 아니라 생활(예배 전의 태도)적인 면도 많이 강조하며 가르쳐야 한다. 성도들이 더이상 성전 뜰만 밟고 가게 해서는 안된다.

② 인간의 계산을 뛰어넘는 믿음:“너희가 믿지 아니하면 정녕히 굳게 서지 못하리라”(7:9)

이사야7장은 시리아와 에브라임 두 나라가 동맹을 맺고 남유다를 침공한 사건을 배경으로하고 있다. 이스라엘 역사가들은 이를 '시리아-에브라임 전쟁'(주전 733년경)이라고 일컫는다. 시리아와 에브라임은 앗수르에게 과중한 조공을 바쳐야만 했다. 그래서 이 두 나라는 앗수르의 왕 디글랏빌레셀이 다른 나라를 공략하고 있는 기회를 틈타 반(反)앗수르 연합전선을 조직하고 유다도 이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당시 유다 왕 아하스는 이 요구를 거절한다. 그러자 그들은 자기들의 정책에 동조하는 왕을 세우기 위해서(7:6) 시리아와 에브라임 연합군을 조직하여 유다왕국을 침공하기에 이른다. 막강한 연합군이 쳐들어온다는 소식이 예루살렘에 전해지자 “왕의 마음과 그 백성의 마음이 삼림이 바람에 흔들림같이 흔들렸다”(7:2).
이 연합군에 대항하기에는 역부족임을 느낀 아하스는 막대한 조공을 바치고 속국의 지위를 수락하는 조건으로 앗수르에게 도움을 청하려고 한다. 하나님의 백성에게 엄청난 결과를 불러오게 되는 이 결정적이고 역사적인 순간에 이사야는 정치 &8228; 군사적 상식을 뛰어넘는 메시지를 전한다.

“너는 삼가며 종용하라 아람 왕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이 심히 노할지라도 연기나는 두 부지깽이 그루터기에 불과하니 두려워 말며 낙심치 말라”(7:4).

여기서 “두려워 말며 낙심치 말라”는 말씀은 거룩한 전쟁(聖戰)에 사용된 구호였다. 고대의 거룩한 전쟁에서는 적들을 이스라엘의 손에 넘겨주셨던 야웨를 신뢰하도록, 싸움에 앞서 이스라엘에게 설교가 행해졌다(참조 출 14:13-14). 이제 이사야 예언자는 왕 앞에 나아가 도움을 베풀어주시는 유일한 분을 신뢰하도록 왕에게 촉구한다. 유다를 쳐들어오는 두 나라의 왕들은 '타고 남아 연기만 나는 장작 끄트머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실제 현실과는 동떨어지고 반대되는 진단이다. 사실상 그들의 군대는 강력하였고, 유다의 군사력은 그들에 비해 보잘 것 없어서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야는 '주 야웨의 말씀에 이 도모(시리아-에브라임 동맹국들이 유다의 아하스 왕을 제거하려는 계획)가 서지 못하며 이루지 못하리라'(7:7)고 확언한다.
이제 왕에게 요구된 결단은 하나님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냐 아니면 불신으로 인한 배신이냐 하는 양자택일이었다. 중립적인 입장은 없다. 예언자는 정치 무대 한가운데 서 있으면서도 단순한 정치가가 아니었다. 예언자의 시간과 판단은 다른 사람들의 그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왕과 유다 백성들은 눈 앞에 펼쳐진 상황만을 보고 판단한다. 그러나 예언자는 역사적인 현상을 하나님과의 관계 아래에서 보고 판단한다. 왕과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활활 타오르는 커다란 장작으로 보이는 이 연합군이, 예언자에게는 다 타고 연기만 피우는 장작 쪼가리일 따름이다. 가시적인 현상과 비가시적인 진정한 현실이 대조가 된다. 가시적인 현상만으로 보면 연합군은 막강한 군대이다.
그러나 보통사람의 눈에는 잘 파악되지 않는, 믿음의 눈에만 보이는 그들의 진정한 실체는 허세요 곧 무너질 세력인 것이다. 이런 면에 있어서 믿음은 하나의 시험이다. 눈에 보이는 현실을 뛰어넘거나 도외시하고, 그 너머의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현실에 자신을 온통 내맡기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사람에게 어려움과 시련을 준다. 아하스는 정치 군사상의 가시적인 국제 정세 앞에서 갈등한다. 이때 이사야는 아하스에게 눈에 보이는 현상 뒤에 있는 하나님의 현실을 믿으라고 설교한 것이다. 예언자는 세속 역사(歷史)에서 하나님의 역사(役事)를 꿰뚫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심지어 교회의 지도자들조차도 하나님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알려고 하지 않고, 세속적인 의미만을 따지며 왈가왈부한다.
한국 교회의 사명은 바로 일상의 사건 속에서 정치 경제 사회적인 분석만으로 그 실체가 다 드러나지 않는 하나님의 현실을 해석해내는 일이다. 그리고 그것을 알리고 가르쳐야 한다. 이사야는 국제 정치사 속에도 관여하시는 하나님의 행동을 파악하였다. 이 세상의 모든 일은 하나님과 무판한 일이 없기 때문에 그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파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그동안 한국교회가 교회와 사회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복음적이라는 이름 하에 교회의 영역만으로만 기독교의 역할을 제한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것은 '세계의 하나님을 '교회의 하나님'으로만 제한시킨 격이다. 하나님의 활동하심을 교회와 종교라는 비좁은 울타리 안에만 가둘 수 없는 것이다. 하나님의 활동 영역은 전 세계와 전 우주를 포괄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는 세속사도 하나님의 구원사와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하나님이 활동하시는 이 세상은 심판의 대상만은 아니다. 하나님이 독생자 예수님을 십자가에 죽게 하시면서까지도 구원하기를 원하시는, 사랑하시는 대상인 것이다. 교회 밖에서도 활동하시는 하나님을 만날 수 있도록 기독교인들을 훈련시키고 무장시키는 것이 한국 교회의 또 하나의 과제요 사명인 것이다. 

 

/출처ⓒ†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