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Hebrews)
1. 배경
히브리서는 바울 서신에도, 일반서신에도 들지 않는 특이한 성격을 가진 서신이다.
저자에 대해서는 누군지 알지 못하며 오리겐이 말한 대로 누기 히브리서를 기록했는 지 하나님만 아신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답이다.
이 서신은 어떤 개인이나 개 교회로 보낸 편지가 아니라 어떤 그룹의 교회들에게 보낸 것으로 유대인 그리스도인인 것만은 틀림없다.
팔레스틴에 사는 사람들인지 로마에 사는 사람 들인지는 알 수 없다.
기록한 연대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다.
대략 주후 70년 예루살렘 성전이 파멸 되기 전의 것이라고 본다.
이 서신의 독자들은 믿기 시작한 사람들이 아니고 얼마동안 믿어 오다가 핍박을 받아 낙심하기 시작한 사람 들이다.
옛 종교로 돌아가는 것이 낫 지 않을까 흔들리는 사람이 있었다.
2. 내용과 주요 사상
이 서신의 전체 주제는 그리스도 안에서 나타내신 하나님의 계시가 율법을 통하여 온 계시보다 뛰어 나다는 것을 계속 비교 하면서 더 좋은 이라는 낱말을 중심하고 전개 시키고 있다.
천사들의 손으로 모세에게 율법을 주신 하나님이 그 아들을 천사들 보다 잠시동안 못하게 하신 것은 완전한 인간 세계에 들어오시기 때문이었다(히2:9, 히2:10, 히2:14-18). 그는 영원히 계시기 때문에 그 제사 직분도 갈리지 아니하고(히7:24), 그의 봉사 하시 는 곳도 하나님의 보좌 앞, 하늘의 성소이다(히9:11,12). 더우기 그가 드린 제사는 다시 반복할 필요가 없는 것은 제사장으로서 그 자신을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완전한 제물을 단번에 드려서 율법아래서 범한 죄를 옮기셨다(히9:15, 히10:10, 19). 그리스도가 마련 하신 이 영원한 구원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달성할수 있으며 이 믿음 은 또한 구약 시대의 영적 지도자들이 가졌었다.
이 믿음이 저들로 하여금 흔들리지 않는 영원한 나라에 들어갈수 있는 보증과 인내를 가져다 주는 것이다.
그러나 신자 들에게는 붙어 다니는 위험이 있다.
첫째는 무관심 이라고 하는 본문에 흘러떠내려 간다고 표현한 태만이다(히2:1). 둘째는 불신앙의 위험으로 가나안에 들어 가지 못한 이스라엘의 태도 였다(히3:7-12). 세째는 불순종의 위험이다.
다음은 미숙과 짐짓의 위험이다.
마지막으로는 아들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솔 직하게 거역하는 것이다(히12:25). 이것이 아벨의 피보다 더 낫게 말하는(히12:24) 예수 의 피로서 구원에 이르게 한다.
'***신구약 성경강해*** > - 야고보서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서는 누가 썼는가? (0) | 2019.11.29 |
---|---|
[스크랩] 히브히서 --- [핵심성경연구-위어스비] (0) | 2019.11.29 |
히브리서의 기독론 (0) | 2019.11.29 |
히브리서가 증거하는 그리스도 (0) | 2019.11.29 |
야고보서 연구 (0) | 2019.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