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구약신학

[스크랩] 구약 언어학

에반젤(복음) 2021. 8. 28. 08:45
구약 언어학
 



1.1. 히브리 말이나 아람 말로 쓰인 구약 성경

유대인이나 기독교인이 아니더라도 세계 문화사에 약간의 지식을 지녔으면, 구약 성경이 히브리 말과 글자로 적힌 책이라는 정도는 안다. 그렇지만 조금 더 정확히 말한다면, 구약 성경의 원어는 히브리 말과 아람 말이다. 다니엘서 2장4절 후반절-7장28절과 에스라 4장8절-6장18절과 7장12-26절과 예레미야 10장11절, 또 창세기 31장47절의 <여갈사하두다>(eAaA?×AaAaaIuAa)은 아람말로 되어 있고 구약 성경의 나머지 부분은 모두 히브리말로 적혀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은 번역된 형태의 구약 성경을 읽고 있는 셈인데, 구약 성경의 본 뜻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우선 구약 성경에 쓰인 히브리어와 아람어를 배워야 한 것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구약 언어학의 일차적인 연구 대상은 구약 성경 히브리어와 아람어이다. 그렇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칠십인경의 헬라어 연구도 구약 언어학에 속한다. 그뿐만 아니라, 히브리어와 아람어와 뿌리가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셈어 연구도 넓은 의미의 구약 언어학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먼저 기독교회 안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히브리 낱말이나 아람 낱말을 몇 가지 알아본 뒤에, 구약 성경 본문 이해에 원어를 아는 것이 어떤 면에서 도움이 되는지를 히브리어의 경우를 보기로 하여 살펴 보겠다. 마지막으로 구약 성경 아람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1.2. 교회에서 널리 쓰이는 히브리 낱말 또는 아람 낱말 몇 가지

1.2.1. 기독교인들의 입에서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히브리어 표현은 할렐루야(aAiAia?eAaI)(시111:1; 112:1 등)일 것이다. 이 낱말의 본디 발음은 <할를루 야흐>이고, 문자적인 뜻은 "너희는 야흐를 찬양하라" 인데, 여기서 <야흐>는 <야훼>(개역 한글판에서는 '여호와'라고 쓰지만, '야훼'가 '여호와'보다 더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의 짧은 꼴이므로, 결국 할렐루야는 "너희는 야훼를 찬양하라"는 뜻을 지닌다. 히브리어 문법을 따라 설명한다면, 할렐루야는 남성 복수에 대한 명령형과 그 목적어가 한데 어우러진 꼴이다.

1.2.2. 마태복음 1장23절에서 이사야 7장14절을 인용하여 예수님의 별명으로 소개하는 임마누엘(oEiIAðaI?aCi)도 히브리어이다. <임마누 엘>의 뜻은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인데, 히브리어 문법상으로 이는 낱말 둘로 이루어진 하나의 문장, 그것도 동사 없이 이루어진 명사 문장이다. 그런데, 이 문장에서 전치사구로 된 보어 <임마누>('우리와 함께 계신다')가 주어 <엘>('하나님') 앞에 나와 있다. 히브리어 명사 문장에서는 보통 주어가 먼저 나오지만 강조할 때나 특별한 경우에는 그 순서가 바뀌기도 한다. 이리하여 <임마누-엘>을 직역하면 "우리와 함께 하나님이 계신다"가 된다. 마태복음 1장23절의 헬라어 본문도 그렇게 옮기고 있다. 곧 <메타 휘몬 호 테오스>(meq j hjmw'n oJ qeov")라고 함으로써 '우리와 함께'를 강조하고 있다.

1.2.3. 예수님을 가리켜 메시야라고 하는 것은 비기독교인들도 아는데, 이 말은 요한복음 1장41절과 4장25절에 나오는 헬라말 <메시아스>(Messiva")에서 온 것이고, 이 헬라말은 다시 아람말 <므쉬하>(iAOEecAa)로 거슬러 올라 간다. 히브리말로는 <마쉬아흐>(iAOEec?가 되는데, 이는 '기름붓다'를 뜻하는 동사 <마샤흐>(iAOA?에서 비롯된 명사로 '기름부음 받은 자'를 가리킨다. 결국 메시야는 헬라말 <크리스토스>(Cristov")에서 온 그리스도와 같은 뜻을 지닌다.

1.2.4. 예수라는 이름이 신약 성경에서는 마태복음 1장21절에 맨처음으로 나오는데, 이는 헬라말 <예수스>( jIhsou'")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헬라말은 히브리말 <여슈아>(eCOaIo? 또는 <여호슈아>(eAaaEOaIoA)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호슈아>는 <여호>와 <슈아>가 어우러져 명사 문장 형식을 이룬 것으로, "여호는 도움/구원이시다"를 뜻하는데, <여호>는 '야훼', 여호와의 줄인 꼴 가운데 하나이다.

1.2.5. 아멘(aAiC?은 구약 성경에서 민수기 5장22절에 맨처음으로 나오는데, 이 경우에 <아멘>은 제사장이 말하는 저주가 타당하다는 것을 그 저주를 듣는 사람이 확증하는 응답의 말이어서, "그렇게 되기를!"이란 뜻이다. 예배와 관련하여 "정말 그렇습니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아멘>은 시편 41장13절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1.3. 히브리어 지식이 구약 본문 이해에 도움이 되는 보기

1.3.1. 같은 표현이 서로 관련된 다른 기능을 지니는 경우

호세아 1장9절에서 하나님은 호세아에게 고멜이 둘째 아들을 낳거든 "그 이름을 로암미(iE?oAiIEe)라 하라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요'(iE?oAiIEe)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지 아니할 것임이니라"고 하신다. 이 때 <로 암미>는 본디 '내 백성이 아니라'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고유 명사, 곧 호세아가 고멜에게서 얻은 둘째 아들의 이름으로도 쓰이고 있다. 달리 말하면, <로 암미>라는 히브리어 표현으로, 새로 태어난 사내 아이의 이름과 그런 이름을 주시는 까닭을 같이 표현함으로써, 이스라엘 백성을 하나님이 심판하시리라는 뜻을 드러내신 것이다. 앞의 문장을 문자 그대로 옮긴다면, "그 이름을 '내 백성이 아니요'라고 하라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요' 나는 너희 하나님이 되지 아니할 것임이니라"가 된다. 이런 점을 번역 성경에서는 제대로 살릴 수가 없다.

1.3.2. 뿌리가 같은 두 낱말을 함께 써서 둘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표현하는 경우

(1) 창세기 2장7절에서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라고 할 때, '흙'은 본디 '땅의 티끌'인데, 이 때 히브리어로 땅은 <아다마>(aAaAiA?이고, 사람은 <아담>(aAaA?이다. 그러니까, '하나님이 <아다마>의 티끌로 <아담>을 지으'셨다는 것이어서, 사람을 창조하신 이는 하나님이시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의 근본이 땅이라는 점, 따라서 땅과 사람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뚜렷이 드러내고 있다. 이런 점도 번역에서는 살리기가 힘들다.

그런데, 명사 <아담>은 또한 동사 <아담>(aAaA?'붉다')에서 온 듯하다(애4:7의 '붉어' 참고).

(2) 창세기 25장30절에서 에서가 야곱에게 "'그 붉은 것'(<하아돔>, aAaAaEi )을 나로 먹게 하라 한지라"고 말했다고 한 다음에, "그러므로 에서의 별명이 에돔(aAaaEi)이더라"는 설명을 덧붙인 것도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뿌리가 같은 두 낱말을 함께 써서 둘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잘 표현한 경우이다. 이 문장을 히브리어로 읽는 사람에게 우선 떠오르는 것은, 아마 에서는 살갗에 붉은 색이 많이 돌았나 보다 하는 생각일 것이다.

(3) 가나안 땅에 들어간 이스라엘이 여리고성을 점령한 다음에 아간이 하나님의 명령을 거스려 온 이스라엘에 재앙이 닥쳤을 때,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백성이 취한 조치가 여호수아 7장25-26절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여호수아가 가로되 '네가' 어찌하여 '우리를 괴롭게 하였느뇨'여호와께서 오늘날 '너를 괴롭게 하시리라'하니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치고 그것들도 돌로 치고 불사르고 그 위에 돌 무더기를 크게 쌓았더니 오늘날까지 있더라 여호와께서 그 극렬한 분노를 그치시니 그러므로 그곳 이름을 오늘날까지 '아골' 골짜기라 부르더라

여기서 '네가 우리를 괴롭게 하였다', '(여호와께서) 너를 괴롭게 하시리라', '아골'이 히브리말로 각각 <아카르타누>(oAeAøAuIAðaI ), <야아코르카>(eAoAeIAøAe?, <아코르>(oAeaEø)이어서 같은 뿌리 <ㅇㅋㄹ>(oe?('괴롭히다', '불행에 빠뜨리다', '혼란에 빠뜨리다')에서 비롯된 것을 알 수 있다. 곧 '아골 골짜기'란 '괴로움 골짜기'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이 골짜기를 아골 골짜기라고 부른 까닭을 히브리어 본문에서는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4) 창세기 2장23절에서 "... 이것을 남자에게서 취하였은즉 여자라 칭하리라..."고 할 때, 히브리말로 남자와 여자가 각각 <이쉬>(aEeO)와 <잇샤>(aEOIAa)이어서 서로 관련되어 있다. 곧 남자를 뜻하는 히브리말에 여성을 가리키는 접미소(iEU­aE)인 <아>(토 )를 덧붙이고 둘째 어근 <쉰>(?을 중복시켜 여자를 뜻하는 히브리말을 만든 것이다. 루터는 이 점을 고려하여 남자를 뜻하는 독일말 <만>(Mann)에 여성 지시 접미소인 <인>(in, 이 경우에는 모음 변화도 생긴다)를 붙여서 여자를 <맨닌>(M둵nin)이라고 옮겼다. 영어에서는 남자를 뜻하는 man 앞에 wo를 붙여 여자를 woman이라 한다. 우리말로는 어떻게 이런 점을 살려 옮길 수 있을까? '가시버시'라는 말에서, '가시'가 '버시'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5) 이사야 7장9절에서 하나님은 이사야를 통해서 아하스 임금에게 "너희가 믿지 아니하면 정녕히 굳게 서지 못하리라"라는 경고의 말씀을 전하신다. 이를 히브리어로 읽으면, <임 로 타아미누 키 로 테아메누>(aE?iE?uAaAiEeðaI?eIE?iE?uCaAiCðaI )가 되는데, 여기서 '믿다'는 히브리 동사 <아만>(ai?의 사역능동형(<히필>이고, '굳게 서다'는 같은 동사의 단순수동형 또는 재귀형(<니팔>)이어서 '믿는 것'과 '굳게 서는 것'이 밀접하게 연관시켜 표현하고 있다. <아만>이 본디 '굳다, 믿을만하다, 안전하다'를 뜻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동번역에서는 "너희가 굳게 믿지 아니하면 결코 굳건히 서지 못하리라"로, 표준새번역에서는 "너희가 믿음 안에서 굳게 서지 못한다면, 너희는 절대로 굳게 서지 못한다"고 풀어서 옮기고 있다. NIV에서는 "If you do not stand firm in your faith, you will not stand at all"로, JB에서는 "But if you do not stand by me, you will not stand at all"로, 루터 번역 독일어 성경에서는 "Glaubt ihr nicht, so bleibt ihr nicht"("너희가 믿지 아니하면, 머물지 못하리라")로 옮겼다.

1.3.3. 발음이 비슷한 낱말들을 맞세워 말하려는 바를 인상 깊게 표현한 경우

이사야 5장7절에서 이사야는 유다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실망을 "공평을 바라셨더니 도리어 포학이요 ... 의로움을 바라셨더니 도리어 부르짖음이었도다"라고 표현한다. 여기서 '공평'과 '포학'은 각각 히브리 낱말 <미슈파트>(iEOAoIAe)와 <미스파흐>(iE×AoIAc)이어서 두 낱말의 발음이 비슷하고, '의로움'과 '부르짖음'도 각각 <츠다카>(oAaA÷A?와 <츠아카>(oAoA÷A?여서 마찬가지로 그러하다. 이런 점을 번역에서 어떻게 살릴 수 있겠는가?

1.3.4. 한 낱말이 두 가지 뜻을 지닐 수 있게 표현한 경우

(1) 예레미야 23장33절에서 "이 백성이나 선지자나 제사장이 네게 물어 이르기를 여호와의 '엄중한 말씀'이 무엇이뇨 하거든..."이라고 할 때, '엄중한 말씀'이라고 옮긴 히브리말 <맛사>(iA×IAa)는 '짐'을 뜻할 수도 있고 '말씀'을 뜻할 수도 있다. 이 한 낱말로써 이 단락(렘23:33-40)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짐스럽게 여기는 잘못을 나무라고 심판을 선언한다.

(2) 호세아 2장16절[히브리어 본문에서는 18절]에서 하나님은 " ... 그 날에 네가 나를 '내 남편'이라 일컫고 '내 바알'이라 일컫지 아니하리라"고 말씀하시는데, 여기서 '내 남편'과 '내 바알'이 히브리말로는 각각 <잇쉬>(aEeOEe)와 <바을리>(aIAoAiEe)이다. <바알>(aIAoAi)은 '소유주', '임자'를 뜻하지만 '남편'을 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알리>도 사실은 '내 남편'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잇쉬>('내 남자', '내 남편')가 사랑에 가득 찬 호칭인 반면(앞에서 본 창2:23을 생각해 보라!), <바알리>는 남편이 법적으로 자기의 소유주인 점을 드러내는 딱딱한 호칭이다. 곧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가 단순히 법적인 소유 관계가 아니라 인격적이고 사랑에 기반을 둔 관계가 되리라는 뜻을 이런 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1.3.5. 어순을 바꾸어 문장의 한 요소를 강조하는 경우

(1) 밧세바를 범하고 그 남편 우리야를 죽게 한 다윗에게 예언자 나단은 사무엘하 12장에서 가난한 사람이 자식처럼 키우던 암양 새끼를 빼앗아 손님을 대접한 부자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다윗이 그 이야기를 듣고 "이 일을 행한 사람은 마땅히 죽을 자라..."(5-6절)고 할 때, 나단은 7절에서 다윗에게 "당신이 그 사람이라"고 한다. 이 문장이 히브리어로는 <앗타 하잇쉬>(aAuIAa?aAaEeO )인데, 이는 히브리어 명사 문장에서 주어(<하잇쉬>, '그 사람')와 술어(<앗타>, '당신')의 순서를 바꾸어 술어를 강조하는 식으로 표현한 것이어서 글의 흐름에 잘 들어맞는다. 곧, 이는 '그 사람은 다른 사람 아닌 바로 당신이요'라는 뜻이 된다.

(2) 이사야 50장4절의 첫 문장이 우리 개역 한글판에서는 그냥 "주 여호와께서 ... 주사"로 번역되어 있지만, 그 히브리어 문장 <아도나이 야훼 나탄>(aAaEðA?e?eAaEaEa?ðAuAi)에서는, 동사가 먼저 나오고 주어가 뒤따르는 보통 히브리어 문장과는 달리 주어가 앞에 나와서 강조되어 있다. 이리함으로써, '다른 이 아닌 주 야훼께서 주셨다'는 뜻을 두드러지게 나타낸 것이다.

1.3.6. 인칭대명사를 통해 주어를 강조하는 경우

(1) 갈멜 산 위에서 엘리야가 드린 제물에 하늘로부터 불이 내려 응답이 있자, 이를 본 백성이 열왕기상 18장39절에서 "여호와 그는 하나님이시라"고 부르짖는다. 그 히브리어 문장 <야훼 후 하엘로힘>(eaaa?aaI?aAaAiEaEei )에서, 남성 단수 삼인칭대명사 <후>가 없더라도 글을 이해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는데, 이것이 들어가서 주어(<야훼>)를 강조한다. 그리하여 이 문장은 '야훼 바로 그 분이시야말로 참 하나님이시다'라는 뜻을 띠게 된다.

(2) 아모스 2장9절에서 하나님이 "그러나 나는 ... 멸하였나니"(<워아노키 히쉬마드티>, aAaAðEeE?aEOAiAaAuIEe)라고 말씀하실 때, 여기서 정동사 <히쉬마드티>('내가 멸하였다')만으로도 주어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데 굳이 단수 일인칭 대명사 <아노키>('나')를 정동사 앞에 내세움으로써, 주어를 강조한다. 그뿐만 아니라 주어가 정동사 앞에 나옴으로써 더욱더 주어를 강조한다. 더 나아가서 글의 흐름을 보아 역접(æ½iE) 접속사로 이해할 수 있는 <워>(aA, '그러나')까지 덧붙여서 앞 6-8절에서 지적된 이스라엘의 범죄 행위와는 대조되는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행위를 매우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런 대비 상황을 개역한글판 번역은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그냥 "내가... 멸하였나니" 정도로 밋밋하게 옮겼다. 표준새번역은 이런 점들을 비교적 잘 고려하여 "그런데도 나는.... 멸하였다"로 옮겼다.

1.3.7. 히브리 낱말의 독특한 뜻을 우리말로 제대로 옮길 수 없는 경우

대표적인 보기로 동사 <하야>(aAeA?를 들 수 있다. 이는 본디 어떤 사건이 벌어지는 것을 표현하는 동사이다. <하야> 동사의 사건성은 예언서에 자주 나오는 어구인 "(그 때에) 여호와의 말씀이 임하였다"(<와여히 드바르 야훼>, aAeAaE?aAaA?eaaa)에서 잘 드러난다. 이는 야훼의 말씀이 아무개에게 계시되는 사건, 그를 전폭적으로 사로잡는 사건이 일어난 것을 뜻한다.

그런데 이 <하야> 동사가 영어의 be동사 같은 역할을 하는 수도 있기는 하지만, 그런 경우는 오히려 드물다. 그런데도 그런 식으로 옮김으로써 히브리어 본문의 뜻을 어그러지게 하는 수가 적지 않다. 이를테면, 출애굽기 3장14절에 나오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에히예 아쉐르 에히예>, aÆaAeÆ?aAOÆ?aÆaAeÆ?는 번역은 자칫 잘못하면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그저 존재론적으로만 이해하게 할 위험성이 있다. 이 문장은 오히려, 아주 풀어서 말해 본다면, '나는 내가 하고자 할 때 (이스라엘을) 위해 사건을 일으킬 수 있다', '나는 내가 함께 하여 도우려는 자와 함께 하여 돕느니라'는 정도로까지 이해할 수 있어서 하나님의 역동적인 구원의 의지를 드러내는 문장이다. 물론 이 문장을 바르게 이해하려면 히브리어의 동사 미완료형이 지니는 뜻과 문법적으로 이와 비슷한 꼴을 보여 주는 출애굽기 33장19절("나는 은혜줄 자에게 은혜를 주고 긍휼히 여길 자에게 긍휼을 베푸느니라", <워한노티 엣 아쉐르 아혼 워리함티 엣 아쉐르 아라헴> aAcAðIEuEe?aÆuÐaAOÆø?aAcEiaAøEcAiAuIEe?aÆu?aAOÆø?aAøAcCi)"도 참고하고 출애굽 사건 전체의 맥락도 고려해야 한다.

 
1.4. 구약 성경의 아람어 부분

1.4.1. 다니엘 2장4절을보면, 상반절에서 "갈대아 술사들이 아람 방언으로 왕에게 말하되 / 왕이여 만세수를 하옵소서"라고 한 다음 하반절부터 갈대아 술사들이 아람 방언으로 한 말이 인용되는데, 이 인용 부분이 아람말로 나온다. 오늘 형편에서 비슷한 보기를 만들어 본다면, 어떤 작가가 글을 쓸 때 "그 때 죤이 나타나서 내게 영어로 말하기를 'Hi, Chulsoo, how are you? ...'"라는 식으로 써 나가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1.4.2. 에스라 4장7-8절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히브리말에서 아람말로 넘어간다. 7절에서 "아닥사스다 때에 비슬람과 미드르닷과 다브엘과 그 동료들이 바사 왕 아닥사스다에게 글을 올렸으니 그 글은 아람 문자와 아람 방언으로 써서 진술하였더라"고 한 다음 8절부터는 아람말로 된 글의 내용이 나온다. 다시 오늘 형편에서 이와 비슷한 보기를 생각해 본다면, "그 때 죤이 백악관으로 영어로 쓴 글을 보내기를 'Dear Clinton, I'd like to inform you of ...'"라는 식이다.

1.4.3. 창세기 31장47절에서는 라반과 야곱이 언약의 표로(44절) 만든 돌 무더기를 아람말(<여갈 사하두다>)과 히브리말(<갈르엣>, aIAiAoCa)의 두 가지로 적고 있다. 뜻은 둘 다 마찬가지로 '증거의 무더기'이다. 라반은 아람 사람이었고(31:24), 야곱은 히브리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1.5. 히브리어와 아람어가 셈어족과 기독교 신학에서 차지하는 자리

1.5.1. 아람어는 아래 분류도에서 보듯이 북서부 셈어 가운데서 그 증거자료가 가장 뚜렷하고 가장 긴 기간동안 보존되어 온 말이다. 아람어는 주전 600년 경부터 주후 700년에 이르기까지 중동세계 전역에 주된 국제언어로 문헌과 의사전달에 사용되어 온 말이다.

원셈어(Proto-Semitic)
동부 셈어 에블라어 앗수르어
악카드어 옛 악카드 방언
바빌로니아 방언
서부 셈어 남부 셈어 남부 아랍어
에티오피아어
중앙 셈어 수리아 팔레스티나어(북서부 셈어)
아람어
가나안어
모압어
히브리어
에돔어
암몬어
아마르나
페니키아어
우가릿어
아랍어 고전 이전의 북부 아랍 방언들

1.5.2. 기독교 신학에서 아람어가 중요한 까닭은 앞서 말한 대로 구약 일부가 아람말로 씌어졌을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모국어가 아람어였고 신약 성경에 아람어 표현이 적지 않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 앞서 말한 <므쉬하>('메시야') 말고도 몇 가지 보기를 더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 '아바'(ajbbav, aAaIAa)(막14:36; 롬8:15; 갈4:6): '아버지'라는 호격.
- '아겔다마'( JAkeldamac, cA÷C?aIAiAa)(행1:19): '피의 밭'.
- '바라바'(Barabba'", aIAø?aAaIA?(막15:7): '아바(=아비야?)의 아들'
- '바요나'(Bariwna', aIAø?eaEðA?(마16:17):' 요나(<요하난>의 짧은꼴)의 아들'
-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ejlwiv ejlwiv lama; sabacqajni, aAiAaE?aAiAaE?iAiA?졪잠퀄저羔朝e )(막15:34):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왜 나를 버리셨습니까?'
- '에바다'(ejffaqav, aÆuAoIAuAc)(막7:34): '네 자신을 열어라!'
- '도마'(Qwma'", uIAaaEiA?(막3:18): '쌍둥이'.
- '가나안인 (시몬)'(Kananai'o", ÷AðAaA?(막3:18 등): '열심당원, 셀롯당원'.
- '게바'(Khfa'", eICeoA?(요1:42 등): '그 바위'.
- '고르반'(korba'n, ÷AøAaIAi)(막7:11)/(korbana'", ÷AøAaIAðAa)(마27:6): '제물'/'바침'.
- '재물'(mamwna'"[<마몬>], iAiaEðAa)(마6:24 등): '소유'.
- '마라나다'(maranaqav, iAøA?aAuAa 또는 瑄評晁?uA?(고전16:22): '(우리) 주께서 오셨다' 또는 '(우리) 주여, 오소서!'.
- '라가'(rjakav, øCe÷Aa/øCe÷Aa)(마5:22): '빈 사람', '천박한 자', '바보'
- '달리다굼'(taliqa; koum(i), ÷aIiEe eAiAeAuA?eAiEeuAa)(막5:41): '소녀야, 일어나라!'

 
1.6. 몇가지 보기를 통해 본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비교

아람어는 히브리어와 아주 비슷하다. 그리하여 구약 성경 히브리어를 잘 읽을 수 있으면 구약 성경 아람어도 어렵지 않게 배울 수 있다. 우리 학교 신대원 선택과목에 구약아람어 과목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냥 몇 가지 맛만 보기로 한다.

1.6.1. 낱말의 꼴이 같거나 비슷한 경우

(1) 꼴이 같은 경우

'돌'(<에벤>, aÆaÆ?, '임금'(<멜렉>, iÆiÆeA), '모든'(<콜>, eIEi), '...와 같이'(<임>, oE?, '영'(<루아흐>, øaIc? 등은 히브리어나 아람어나 마찬가지이다. 다만, 이런 낱말에 어미변화가 있을 때는 모음이 달라진다.

(2) 꼴이 비슷한 경우

'좋은'을 뜻하는 히브리어 형용사 <토브>(eaEa)에 상응하는 아람어 낱말은 <타브>(eA?이다. 히브리어 <로>(iE?와 아람어 <라>(iA?는 '아니다'를, 히브리어 <벤>(aICi)과 아람어 <바르>(aIAø)는 '아들'을 뜻한다(바로 위 1.5.2에 나오는 이름 '바요나' 참고). 히브리어 동사 <카타브>(eIAuAa)('쓰다, 적다')에 해당하는 아람어 동사는 <크타브>(eIAuAa)이고, '돌아가다, 돌아오다'는 뜻의 히브리어 동사 <슈브>(OaIa)가 아람어에서는 <투브>(uIaI?로 나타난다.

 
1.6.2. 낱말의 활용 변화가 같거나 비슷한 경우

(1) 명사와 형용사의 변화

아람어 명사 또는 형용사의 여성 단수의 절대형과 연계형의 어미는 히브리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아>(토 )와 <아트>(퀭 )이다. 남성 단수의 절대형과 연계형의 경우에는 아람어가 각각 <인>(흗i )과 <애>(헙 )이고 히브리어는 <임>(흗i )과 <애>(헙 )이어서 거의 비슷하다. 그렇지만, 아람어에는 명사 또는 형용사 뒤에 어미가 붙은 한정형이라는 것이 있는데, 의미상으로는 히브리어 명사 또는 형용사 앞에 정관사가 붙은 경우와 같다. 그리하여 아람어 <말카>(iAiAeIAa)와 히브리어 <함멜렉>(aAiIÆiÆe?은 다 같이 '그 왕'을 뜻한다.

(2) 동사 변화

아람어 강동사 단순능동형 미완료형 변화를 단수 남성 3인칭, 여성 3인칭, 남성 2인칭, 여성 2인칭, 공성 1인칭, 복수 남성 3인칭, 여성 3인칭, 남성 2인칭, 여성 2인칭, 공성 1인칭의 순서로 적어보면 다음과 같다.

eEeAuIIa?uIEeAuIIa?uIEeuII?uIEeAuIAaEei?aÆeuIIa?eEeAuIAaaIi?eEeAuIAaA?uIEeAuIAaaIi?uIEeAuIAaAi?ðEeAuIIa
<이크투브, 티크투브, 티크투브, 티크트빈, 애크투브, 이크트분, 이크트반, 티크트분, 티크트반, 니크투브>

이를 히브리어의 경우와 한번 견주어 보라.

eEeAuIEa?uIEeAuIEa?uIEeAuIEa?uIEeAuIAaEe?aÆeAuIE?eEeAuIAaaI?uIEeAuIEaAðAa?uIEeAuIAaaI?uIEeAuIEaAðAa?ðEeAuIEa
<이크토브, 티크토브, 티크토브, 티크트비, 애크토브, 이크트부, 티크토브나, 티크트부, 티크토브나, 니크토브>

 
[참고 문헌 목록]

1. 구약 언어학

1.1. 히브리어와 아람어 일반

1. "구약의 언어", 성서백과대사전(위 0.2.2.3의 사전) 제1권(1979) 750-755.
2. "아람어", 성서백과대사전 제7권 (1981) 395-404
3. 아비 후르비츠 외 다수 지음. 박미섭 옮김. 성서 시대와 성서 이후 시대의 히브리어 연구. 서울: 도서출판 한들, 1999.
4. "히브리어", 성서백과대사전 제12권(1982) 681-713.
5. Bodine, W.R. Linguistics and Biblical Hebrew. Winona Lake, IN: Eisenbrauns, 1992.
6. Degen, Rainer. "Aram둰sch I. Altes Testament", TRE (위 0.2.1.10의 사전) III (1978) 599-602.
7. Huehnergard, John. "Language(Introductory Survey)", ABD (위 0.2.2.10의 사전) IV (1992) 155-170 (157쪽에 셈어계보도가 있음!).
8. Kaufman, Stephan A. "Language(Aramaic)", ABD IV(1992) 173-178.
9. Michel, Diethelm. "Hebr둰sch I. Altes Testament", TRE XIV (1985) 505-510.
10. Schramm, Gene M./ Schmitz, Philip C. "Language(Hebrew)", ABD IV (1992) 203-214.
11. Waldman, N.M. The Recent Study of Hebrew. A Survey of the Literature with Selected Bibliography. Winona Lake, IN: Eisenbrauns, 1989.

 
1.2. 성서 히브리어 문법

1.2.1. 초급 문법

1. 고영민. 알기 쉬운 히브리어 문법. 서울: 기독교문사, 1971.
2. 배제민. 새로운 형태의 히브리어 연구.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86.
3. 변조은(John Brown). 히브리말 배우자. 서울: 장로회신학대학, 1972.
4. 서한원, 이양묵 지음. 알기 쉬운 새 히브리어 교본. 서울: 성지출판사, 1995.
5. 안영복. 구약히브리어 연구의 정도. 비교셈족어학에 기초한 히브리어 문법. 서울: 성광문화사, 1979.
6. 유재원. 성서히브리어 문법연구. 서울: 성광문화사, 1977.
7. 이순한. 성서히브리어. 서울: 성광문화사, 1977.
8. 이순한. 성서히브리어 자습서. 서울: 백합출판사, 1977.
9. 홍반식. 속성해독 히브리어 교본. 영음사, 1973.
10. Davidson, A.B. Introductory Hebrew Grammar. Edinburgh: T.& T.Clark, 11874-181913; Davidson, A.B. / McFayden, J.E., 191914/15-241960; Davidson, A.B. /Mauchline, J., 251962-261966. > A.B.데이빗슨 지음. 존 모클린 개정. 이 영근 옮김. 히브리어 문법(제26판).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11. A.B.데이빗슨 지음. 이영근 엮음. 히브리어 문법. 해답 및 해설. 서울: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1998(13-35쪽의 '히브리어에 대한 개관'은 엮은이의 글임)
12. Lambdin, Thomas O.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New York: Scribner, 1971.> 토마스 O. 렘딘 지음. 이기락 옮김. 성서 히브리어. 서울: 카톨릭 출판사, 1995.
13. Vasholz, Robert I. 저. 김영철 역. 히브리어 연습. 계단식. 평화사, 1985.
14. Yates, K.M.졓? 김찬국 역. 성서히브리어 문법.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3.
15. Weingreen, Jacob. A practical Grammar for Classical Hebrew. Oxford: Clarendon Press, 1939, 21959.> J.와인그린 지음. 김재관 옮김. 구약성서 히브리어 완성.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1995; J.와인그린 지음. 원용국, 김해연 함께 옮김. 히브리어 교본. 서울: 도서출판 한글, 61997.
16. Martin, James D. Davidson's Introductory Hebrew Grammar. Edinburgh/Oxford: T.& T. Clark/Clarendon Press, 271993(위 1.2.1.10 참고).

  
1.2.2. 중고급 문법

1. 이기락 엮음. 성서 히브리어 문장론. 서울: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99.
2. Bartelmus, R웓iger. Einf웘rung in das Biblische Hebr둰sch. Z웦ich: Theologischer Verlag, 1994 (Anhang: Biblisches Aram둰sch f웦 Kenner und K쉗ner des Biblischen Hebr둰sch).
3. Gesenius, Wilhelm/ Kautzsch, E. Hebr둺iche Grammatik. Leipzig, 281909(=GK).> tr. by Cowley, A.E. Gesenius' Hebrew Grammar. Oxford: Clarendon, 1910, 1985.
4. Gibson J.C.L. Davidson's introductiory Hebrew Grammar. Syntax. Edinburgh: T.& T. Clark, 41994.
5. Jenni, Ernst. Lehrbuch der Hebr둰schen Sprache des Alten Testaments. Basel/Stuttgart: Verlag Helbing/Lichtenbahn, 1978.
6. Jo웣n, Paul. Grammaire de l'Hebreu Biblique. Rom: Institut Biblique Pontifical, 1923. > tr. by Muraoka, T.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2 vols (subsidia biblica 14/I,II). Roma: Pontificio Instituto Biblico, 1991.
7. Meyer, R. Hebr둰sche Grammatik. Berlin. I/II/III/IV. Berlin, 31966/31969/31972/1972.
= Mit dem Nachwort von U.R웪ersw쉜den. Berlin/New York, 1992.

 
1.2.3. 역사적 문법이나 문장론

1. Bauer, H./ Leander, P. Historische Grammatik der hebr둰schen Sprache des Alten Testaments. Bd.1. Halle, 1922.
2. Brockelman, Carl. Hebr둰sche Syntax. Neukirchen: Neukirchener Verlag, 1956.
3. Kutscher, E.Y. A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Leiden: E.J.Brill, 1982.
4. Michel, Diethelm. Grundlegung einer hebr둰schen Syntax. I. Sprachwissenschaftliche Methodik Genus und Numerus des Nomens. Neukirchen-Vluyn: Neukirchener Verlag, 1977.
5. Waltke, B./ O'Connor, M. An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Winona Lake, IN: Eisenbrauns, 1990.

 
1.3. 성서 아람어 문법

1. Rosenthal, Franz. A Grammar of Biblical Aramaic. Wiesbaden: Harrasowitz, 1961.> 프란츠 로젠탈 저. 안영복 역. 성경 아람어 문법.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4.
2. Bauer, Hans/Leander, Pontus. Grammatik des Biblisch-Aram둰schen. 1927. Nachdruck - Hildesheim: Georg Olms Verlagsbuchhandlung,
3. Bauer, Hans/Leander, Pontus. Kurzgefasste Biblisch-Aram둰sche Grammatik mit Texten und Glossar. Halle/Saale: Max Niemeyer Verlag, 1929 = Hildesheim/Z웦ich/New York: Georg Olms Verlag, 1990.
4. Segert, Stanislav. Altaram둰sche Grammatik mit Bibliographie, Chrestomathie und Glossar. Leipzig: VEB Verlag Enzyklop둪ie Leipzig, 41990.

 
1.4. 성서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

1. 고영민 편저. 구약성서 히브리어 사전. 서울: 기독교문사, 1973.
2. Feyerabend, Karl. Langenscheidt's Pocket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Berlin/M웢chen, 161967.> 랑겐솨이트 원저. 칼 페어러벤드 편저. 김진홍 편역. 히브리어-한국어 사전.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7.
3. Holladay, William L. (ed.)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based upon the lexical work of Ludwig Koehler and Walter Baumgartner. Leiden: E.J.Brill, 1971.> 윌리암 L. 할러데이 편집. 손석태, 이병덕 공역. 구약성경의 간추린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4.
4. Brown, Francis/ Driver ,S.R./Briggs,Charles A. (ed.).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with an Apendix containing the Biblical Aramaic, based on the Lexicon of William Gesenius as translated by Edward Robinson(=BDB). Oxford: Clarendon Press, 1907.
5. Clines, D.J.A.(ed.). The Dictionary of Classical Hebrew. Vol.1,2,3,4.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3,1995,1996,1998(아직 미완성임).
6. Koehler, Ludwig/ Baumgartner , Walter(hg.), Walter. 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KB). Leiden: E.J.Brill, 1953; with Supplementum, 1958.
7. K쉎ler, Ludwig/ Baumgartner, Walter (hg.). Hebr둰sches und Aram둰sches Lexicon zum Alten Testament (=HAL). Bd.I/II/III/IV/V(아람어 부분)/Supplementenband. Leiden/New York/London: E.J.Brill, 1967/74/83/90/95/96; I쬥 in 2B둵de,1995.> Tr. & ed. under the supervision of M.E.J.Richardson. The Hebrew and Aramaia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Vol.1-4. New York/K쉕n: E.J.Brill, 1994-1999(히브리어 부분은 완역됨).
8. Dalman, Gustav H. Aram둰sch-Neuhebr둰sches Handw쉜terbuch zu Targum, Talmud und Midrasch. G쉞tingen: Verlag von Eduard Pfeiffer, 3.Nachdruck der 3.Auflge von 1938 = Hildesheim/Z웦ich/New York: Georg Olms Verlag, 1997.

1.5. 칠십인경 헬라어 문법

1. Conybeare, F.C./ Stock, st. George. A Grammar of Septuaginata Greek.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05.
2. Thackery, H.St. A Grammar of the Old Testament in Greek according to the Septuagint. Vol.1. Cambridge, 1909(Reprint: 1978).
출처: 창골산 봉서방 원문보기 글쓴이: 봉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