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절 종합

스크랩 "대림절"(대강절)의 의식과 관습들

에반젤(복음) 2020. 12. 15. 17:57

"대림절"(대강절)의 의식과 관습들

 

1. 대림절의 의식과 관습들

대림절에 행해지는 의식과 관습들 - 대림절 색, 크리스마스 나무, 크리스마스 크레케, 대림절 화환, 향 크리스마스 성가, 캐롤,...- 은 자칫 사소한 것으로 소홀히 취급되기 쉽다. 그러나 교회력에 따른 크리스마스 절기의 영성과 신학은 이 문제 대한 부분에 대한 언급하지 않고서는 적절히 밝혀질 수 없다.

1) 대림절 색(Color)
교회는 전통적으로 대림절기의 색을 보라색으로 해왔다. 사실 보라색은 회개와 속죄의 의미가 있는 색이다. 그래서 보라색은 사순절 기간의 색이기도 한데, 이러한 공통점이 대림절과 사순절을 연결하는 고리역할을 하기도 한다.

2) 대림절 화환(Advent wreath)
대림절 화환은 지교회들에서 대림절 기간에 흔히 하는 장식이다. 화환은 상록수 입사귀로 둘러싸인 4개의 초(보통 4개 모두 보라색이나 청색이거나, 3개는 보라 하나는 붉은색)로 구성된다. 이 화환이 만들어지면 그 안에 네 개의 초를 꽂아 놓는다. 종종 '그리스도의 초'(Christ Candle)라고 하여 화환 중앙에 하나 더 꽂기도 한다. 네 개란 숫자는 강림절기의 4주일(主日)을 뜻하는 것이며 촛불은 그리스도의 빛을 상징한다. 그리고 대림절의 매 주일날마다 각각 다른 초를 켠다. 가정에서는 보통 화환이 탁자 위에 놓여진다. 그러나 교회에서는 천장에 매달아 놓을 수도 있다. 이 화환을 단순한 장식으로 여기지 않고 경건한 마음으로 대한다면 대림절 동안의 예배에 큰 도움이 되며, 또 그리스도에 대한 간절한 기대를 항상 일깨워 줄 수 있다. 이 전통은 16세기 독일의 루터교에서 유래하였으며, 청교도들과 천주교에 의해 확산되었고, 미국에 이민 온 독일인들에 의해 보급되었다. 처음에는 가정에서만 이 장식을 사용했는데, 점차 교회로 확대되었다. 이 관습들의 중요성은 기독교인의 경건성을 나타냄에 있지 않고, 하나님께서 과거에 하신 일들과 지금도 역사하고 계시는 일들을 증거에 있다.

3) 크리스마스 크레케(Christmas Creche)
이것은 집안이나 교회에 아기 예수가 탄생하신 말구유를 만들어 놓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크리스마스를 시각적으로 준비하게 하는 크리스마스의 좋은 상징적 장식이다. 크레케를 구상한 사람은 아시 지방의 성 프랜시스(St. Francis of Assisi)로 알려져 있다. 크레케는 사람들로 하여금 베들레헴에 나신 어린 구세주의 탄생에만 집중시킨다거나, 크리스마스 이브나 크리스마스 당일까지 빈구유로 방치하는 것은 신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4) 크리스마스 나무(성탄목, Christmas Tree)
대림절 기간이 되면 크리스마스 나무가 많은 가정이나 지역, 교회에서 흔히 발견된다. 크리스마스 나무장식의 관습은 11세기 교회에서 행해졌던 에덴동산의 나무를 연상하여 고안된 '낙원 놀이'(Paradise Play)에서 유래한다. 이 나무는 에덴의 생명나무를 상징하면서 동시에 인간을 구속한 매개체인 그리스도를 매단 나무 십자가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것은 낙원의 나무가 왜 사과, 오렌지, 맛있게 .구워진 빵, 케익, 사탕 등으로 장식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크리스몬 나무(Chrismon Tree)에 대한 관습은 너무나 유명한데, 이 나무는 그리스도의 가계(家系) 및 그의 삶과 죽음 그리고 부활의 다양한 삶을 상징한다. 이 나무는 대림절 기간에 장식되고 세워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그리스도의 전 삶을 회상하게 한다. 또 하나 이새의 나무(Jesse Tree)가 있는데, 이는 그리스도의 가계(家系)를 나타내는 나무이다. 이사야 11:1의 말씀인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구절은 이 나무의 기원을 짐작하게 한다. 크리스몬 나무와 같이 이새의 나무도 이 땅에 오신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갖가지 상징으로 장식된다.
가톨릭의 '축복의 책'(Book of Blessing)에서는 '크리스마스 나무의 복을 비는 순서'(Order for the Blessing of a Christmas Tree)가 포함되어 있다. 이 순서가 가지는 두 가지 의의는 첫째 그리스도의 빛 되심과 이 땅에 오심에 대한 기쁨의 상징으로서의 장식과 점등, 둘째,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부활을 상징하는 예전적이고 교리적 내용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5) 크리스마스 향(Scent)
많은 교회들은 크리스마스 향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교회와 성도들은 코를 포함한 온 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경배한다는 의미는 지닌다.

2. 대림절의 신학적 의의

먼저, 전체 크리스마스 절기, 즉 대림절 - 성탄절 - 주현절로 이어지는 기간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고난, 죽음 그리고 부활의 거대한 서사시의 한 부분으로 경험되며 그 중심에 종말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 기간을 대표할 수 있는 단어는 '오심'(coming)이라 하겠다. 대림절 기간은 종말적이다. 또한 크리스마스 절기가 종말사상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은 전체 교회력이 그 핵심에 종말 사상을 내포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이 기간은 모순과 긴장이 감도는 기간이기도 하다. 베들레헴에 그리스도의 나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오심에 대한 사건이 일어나는 한편, 종말에 다시 오실 그리스도를 기대하고자 하는 기대가 이 기간에 존재한다. 성육신의 신비는 하나님의 현존을 상기시키는 반면, 재림에 대한 신비는 하나님의 부재(absence)에 대하여 상기시킨다. 우리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미래를 기대하고 하나님 안에서 우리의 미래를 기다린다. 대림절은 단지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는 것에만 그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크리스마스를 기쁨으로 기다리는 것 보다 종말론적 의미가 더 크다. 그러므로 대림절은 주님을 선물로 주신 것에 대한 감사와 다시 오실 그리스도를 기다리는 두 가지를 다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은 징조와 약속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대림절은 주님의 절기이다. 부활을 통해서 주님은 하나님의 권능으로서의 주님임을 나타내셨고 이 영적 절기 동안 그는 공동체 안에서 경험되어지고 사람의 재통합을 모으는 것이다. 대림절 기간동안 주님은 다시 오실 주님으로서 상징화되며 종말론적 틀에 위해서 보여지게 된다.

둘째로, 크리스마스 절기는 성육신의 신비를 축하하는 기간이다. 성육신의 신비- 즉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육신이 되신 사건 -는 전체 교회 절기들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최종적이고 절대적인 이해를 초월하는 신비이다.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임마누엘(Immanuel,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이라 부른다. 우리는 하나님의 신비가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보여지고 들려지고 만져짐을 경험하게 된다. 하나님은 어디에나 계신다. 그러면서도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인 사람이 거하는 바로 여기에 존재하시기도 하다. 이것이 바로 복음이다. 주님으로서 예수님에 대한 주요 개념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그는 부활을 통하여 동일한 신성을 받았다. 지금 우리는 "우리 아버지" 하나님 안에 그가 참여하고 있는 것을 본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예전적 공동체로서의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우리는 사람의 신성화에 참여한다. 사람은 그리스도의 유형 안에 충만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예수님에게 우리는 가장 높은 충성을 바쳐야 한다. 그리스도에 대한 우리의 충성의 맹세는 우리의 자유를 선포하는 것이다. 그리스도께 순종하는 삶은 루터가 경이롭게 생각했던 기독교인들의 역설적인 삶, 즉 "기독교인은 어떤 의무도 없이 모든 것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 또한 기독교인은 모든 것에 의무가 있는 노예"인 삶의 자유를 발견하게 된다. 셋째, 주님으로서 예수님은 하나님과 사람을 완전하게 결합하게 하는 중보자(mediator)이다. 이제 예수님은 사람들을 사랑과 용서와 세상으로부터 소외를 극복하는 하나님의 공동체를 이루는 중보자이시다. 십자가와 부활로 인해서 우리는 이러한 삶에 참여하며 대림절 절기 동안 우리는 새로운 삶을 살게 됨을 선포한다.

셋째로, 크리스마스 주기가 갖는 의의 가운데 다른 한 가지는, 하나님의 사람들과 하나님의 세계를 섬기는 밖으로의 진출, 즉 선교이다. 이 부분은 크리스마스의 감격에 도취되어 흔히 간과되어 왔던 크리스마스 잔치 기간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다. 우리는 가난, 고난, 소외, 억압을 통해 우리에게 다가오신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현존을 체험할 수 있다. 가난하고 억압받는 식민지 땅에 말씀이 육신이 되어 오셨음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초대교회 교인들이 재림의 주로 오실 그리스도를 기다리며 사용한 말이 바로 '마라나타'(maranatha)이다. 마라나타라는 말은 고린도전서 16장 22절에서 아람어로부터 온 헬라어역인데, 시리아 역에서처럼 아람어 역에서도 '마라타나'(maranatha)는 각각 다르게 번역되는 두 개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즉, 'marana tha'라고 쓰면 이는 '미래를 향하여 규정된 형태'로서, 이를 번역하면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라는 의미가 된다. 이에 반해 'maran atha'라고 쓰면 이는 '이미 과거에 이루어진 사건으로써의 형태'로서 이를 번역하면 "우리 주님께서 오셨습니다."라는 뜻이 된다. 즉, 이렇게 나타나는 두 개의 상반된 번역은 대림절 신학에 두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maranatha라는 외침 속에 내재되어 있는 대림절의 신학적 의미는 사람들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회상, 그리고 다가올 미래의 소망을 모두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대림절에서 시간의 시작과 끝이 만난다. 결국 하나님의 백성들은 'marana tha' 즉, 미래에 우리들에게 오시는 그리스도와 'maran atha', 역사 속에 이미 우리에게 오신 주님 사이에 살고 있는 셈이다.
그리스도는 이미 과거에 이 땅에 오셨다. 그리스도는 부활하셨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다시 오실 것이다. 대림절에 우리는 주님의 초림과 재림사이에 놓여있다. maranatha의 이러한 변증 적인 긴장, 이는 우리들을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희망사이에 놓는다.

 

다음검색

출처: 창골산 봉서방 원문보기 글쓴이: 둥근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