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서 I: 시편
I. 시편의 특징
1. 이름
Tehillim (히브리어): 찬양들.
70인역 (Septuagint) – Psalmoi (악기의 반주에 따라 불려지는 노래들)
2. 역사적 배경: 파악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예배에 더욱 적절히 사용되었다.
3. 시편의 개괄적 특징:
삶에 관한 많은 교훈을 주는 실천적인 내용
예배에 사용되었음 (시 24:1, 5:7; 66:13-15). 할렐시 (113-118) – 월삭,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낙성식 때 불려졌음. 7편 (부림절), 12편 (초막절 8째날), 30편 (낙성식), 98/104편 (월삭)
4. 구조:
제 1권 (1-41편) 1-2편 서론
3-41편 다윗시편
제 2권 (42-72편) 42-49편 고라 시편 (아삽시 50편으로 결론맺음)
51-72편 다윗 시편 (솔로몬의 72편으로 결론 맺음)
제 3권 (73-89편) 73-83편 아삽 시편
84-89편 고라 자손들의 시 (86편 제외 - 다윗 시편)
제 4권 (90-106편) 90-107편 서로 이어진 시 (105-107편)
제 5권 (107-150편) 108-111편 다윗의 시
111-118편 할렐루야 시들 첨가
119편 알파멧 토라 시편
120-134편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135-7편 첨가)
138-145 다윗의 시편
146-150편 할렐루야 시편으로 마침
II. 시편의 신학
1. 시편의 구조
■ 1-2편: 서론
■ 1-3권 – 역사적 해석 (다윗 왕조 역사 중심)
1권 -- 3-41편: 다윗의 사울과의 갈등 / God who instructs, elects, and delivers
2권 -- 42-72편: 다윗의 통치와 다윗 왕조의 다스림 / God who establishes and protects
3권 -- 73-89편: 앗수르와 바벨론의 침임, 다윗 왕조의 멸망 / God who rebukes and rejects
■ 4-5권 – 초역사적 해석 (여호와 역사 중심)
4권 -- 90-106편: 여호와의 다스리심 / God who remembers and sustains
5권 -- 107-145편: 하나님의 회복과 지키심/ God who renews and restores
■ 146-150편: 송영
2. 시편의 중심사상 - 어떻게 예수님을 발견할 것인가?
1) 특징: 인간의 관점에서 본 신앙의 이해
a.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b. 인류의 대표로서의 다윗과 다윗왕조
c. 창조주께서 다윗언약을 주셨다: 다윗왕조의 영원성
d. 참 구원자는 누구인가?
e. 다윗언약의 실패, 성취 및 발전
2) 율법 – 1, 19, 119편. 율법 (word)와 축복의 상관성
3) 왕권 – 2, 110편. 인간 왕과 전능왕 여호와의 이중적 구조 / 96-99편 및 찬양시들- 하나님의 다스리심에 대한 고백
4) 시온 – 48, 122 편. 시온에 관한 올바른 이해가 요구됨 (하나님의 임재. 다중적 조망)
5) 신약으로의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