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해설교이론>>>/- 이론과 작성법

강해설교 준비 10단계 방법론

에반젤(복음) 2020. 2. 9. 23:33



강해설교 준비 10단계 방법론

The 10-Stage Methodology for Preparation of Biblical Preaching



임  태  우 교수

(한국개혁신학연구원)



여는 말

  설교자는 성경 말씀을 실제 삶과 관련시켜 올바르게 전해야겠다는 끊임없는 열정을 가져야 한다. 설교단으로부터 은혜롭고 의미 있는 말씀이 넘쳐흐르려면 먼저 설교학의 원리들과 말씀을 전하려는 이 열정이 하나로 결합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글에서는 효과적인 강해설교 준비 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성경적 강해설교는 “통찰력과 상상력과 영적 감수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원숙한 강해를 위해서는 성경과 더불어 사람들과 일생을 보내야 한다. 그리고 설교자 자신은 사고하는 힘든 훈련을 계속하면서 연습을 반복함으로써 자기 나름의 방법을 발전시켜야 한다.1)



효과적인 강해 설교 준비 10단계



  1. 설교할 본문을 잡아라


  1) 생각의 단위(Thought Units)

  2) 설교의 길이

  3) 주제 강해(Topical Exposition)



  2. 본문을 연구하고 초고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라


  1) 문맥(context)2)

  2) 원어사전(lexicon)

  3) 성구사전(concordance)

  4) 문법

  5) 어휘 연구서들

  6) 성경 사전(Bible dictionary; encyclopedia)

  7) 주석류

  8) 다른 도구들



  3. 본문을 연구할 때 그 주석적 관념(exegetical idea)과 그것의 발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을 서로 관련시켜라


  1) 주제 : 5W1H


  2) 보어 : 주제를 완전하게 해주며 그 주제를 하나의 관념으로 만들어준다.


     <예> 약 1:5-8, 엡 4:11-16


  3) 다른 문학적 형식들


  설교자는 자신의 연구 결과로 두 가지 일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로, 자신의 주제와 보어를 한 문장으로 결합시켜 주는 본문의 관념을 진술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로, 본문으로부터 그 관념의 발전을 개관할 수 있어야 한다.



  4. 세 가지 발전적 질문(three developmental questions)을 통해 주석적 관념을 내어 놓으라


  1)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성경과 청중 (설명이 요구된다!)


  2) 그것은 사실인가? 그것은 진실한가? 나는 그것을 믿고 있는가? ⇨ 정당성(validity) /


  강해자는 주석의 개관에 나타난 관념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은 다음 질문에 정직하게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발전될 수 있다.

  첫째로, 나의 청중은 이 말을 진실한 것으로 받아들일까?

  둘째로, 만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그것이 무슨 변화를 가져오는가? 그래서 어떤가? 그것은 무슨 중요성이 있는가?


   ⇨ 적용과 함의(含意, implication)


  사실의 분석과 신앙의 해석 ⇨ 설교학적 관념 형성3)



  5. 청중의 지식과 경험에 비추어서 석의적 관념을 충분히 고찰하라. 그리고 그것을 가능한 한 가장 정확하고 쉬운 문장으로 만들어라


  1) 보편적인 원리 제시

  2) 정확하고 개인적으로 직접적인 의미부여

  3) 현대적 관념 제시

  4) 선동적이 아닌 매력적 언어 구사


  설교적 관념(homiletical idea)이란 성경적 개념의 진술로서 그것이 성경을 정확히 반영하고 의미 있게 회중들에게 관련되도록 진술된 것이다.



  6. 설교의 목적을 결정하라


  “신학적 진리는 그것을 순종하지 않는 한 아무 소용이 없다. 모든 교리의 배후에 있는 목적은 도덕적 행위를 하게 하는 것이다.”4)


  관념은 진리를 진술하고, 목적은 그 진리가 무엇을 성취시켜야 하는지 규정해 준다.


  설교자는 설교본문의 배후에 있는 목적을 찾아냄으로써 설교의 목적을 결정한다.


  1. 왜 이 본문을 기록 했는가?


  2. 처음 독자들에게 그가 기대했던 것은 어떤 것이었을까?


  측정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는 목적 설정은 설교자로 하여금 어떻게 태도나 행위가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반성 할 수 있게 해준다.


  “설교는 행동으로 결론지어지는 말이다.”  -데이비드 스미스(David Smith) -



  7. 설교적 관념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설교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이 관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지 자신에게 물어보라


  근본적으로 관념은 설교의 광범한 목적에 따라 전개된다. 설교의 관념도 역시 설명이나 확인(validation)이나 적용을 요구한다.


  1. 관념 설명형(idea explained) 설교

   

  관념이 서론에서 제시되고 설교의 각 대지는 그것을 설명해 나가는 단계가 된다. 즉 성경 본문에 대한 분명한 설명이 설교자의 최대의 사명인 것이다. 일단 설교의 전체를 개관하고 각 단계마다 구체적인 설명을 해 나아가는 것이다.


<골 1:15-18>


  2. 명제 증명형(proposition proved) 설교


  관념은 어떤 토론회의 명제처럼 서론에서 제시된다. 그리고 각 대지는 그 명제의 증명이 된다. 이런 형태의 설교를 위한 발전적 질문은 정당성을 묻는다.


  설교자의 자세는 토론가의 자세를 닮아서 그의 관념에 대한 추리(reasons)나 증명(proofs)이 설교의 중심이 된다.


<고전 15:12-19>


  위의 두 가지 설교가 같은 것처럼 보이나 서로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5)


  3. 원리 적용형(principle applied) 설교


  관념은 서론이나 첫 대지에서 신앙이나 생활의 원리로 제시된다. 설교의 남은 부분은 그 원리를 일상의 경험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형태의 설교에서 강해자는 성경적 원리를 서론에 넣거나 첫 대지 또는 그 원리의 의미를 밝혀나가는 설교의 다른 부분에 가서 넣을 수도 있다.


<벧전 2:11-3:9>


  4. 주제 완성형(subject completed) 설교


  서론에서 주제만을 제시하고 전체 관념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대지들이 그 주제를 완성시켜 나간다. 이러한 주제 완성형이 가장 일반적인 설교의 형태이다.


<히 12:22-25>


  5. 이야기 진술형(story fold) 설교


  관념이 직접적으로 암시적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성경 이야기를 진술하는 형태이다. “강해자가 성경 이야기를 통찰력과 상상력을 가지고 해줄 때에도 설교는 관념을 전달한다.”6)


  6. 연역적 배열법(deductive arrangement)


  관념이 서론에서 제시되어 본론에서 설명되거나 증명되거나 적용되는 방법이다.


  7. 귀납적 배열법(inductive arrangement)


  서론에서는 단지 설교의 첫 요점만 제시되고 강력한 연결어를 통하여 새로운 요점이나 대지가 앞부분과 연결되게 하며 결론에 가서 관념이 드러나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형식을 선택하기 전에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


  첫째로, 이러한 발전은 본문이 가르치는 바를 전달하고 있는가?

  둘째로, 그것은 이 청중들에게서 나의 목적을 성취시켜 줄 것인가?


  만일 어떤 형식이 그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면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그 형식을 이용하라. 만일 그것이 방해가 된다면 그 관념과 성경 말씀의 목적과 조화되는 좀 더 나은 형식을 생각해 보라.



  8. 당신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그 관념을 발전시켜야 할지를 결정했다면 설교의 개요를 만들어라


  내용은 형식 없이도 존재할 수는 있으나 구조는 설교에 질서와 통일성과 진행감을 준다. 분명히 훌륭한 개요(outline)를 가지고 있었기에 실패하는 설교는 없다.7)


  개요는 적어도 네 가지 목적에 기여한다.


  1. 설교의 각 부분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를 설교자의 눈과 마음에 분명하게 해준다.


  2. 설교자는 자기 설교를 하나의 전체로서 볼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통일성에 대한 감각을 높일 수 있다.


  3. 개요는 관념의 순서를 정연하게 해줌으로써 듣는 사람들에게 적절한 순서로 그것을 전해줄 수 있다.


  4. 설교자는 개요에서 설교의 각 대지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보충 자료를 더 필요로 하는 곳이 어디인지를 알 수 있다.


  개요는 때대로 본문에 나타난 관념의 순서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해야 할 대가 있다. 이것은 본문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주제에 맞춰서 개요를 작성해야 한다.


  논문의 개요와 설교의 개요가 비슷하지만 설교의 개요는 보다 더 단순하고 명확하고 비교적 항목이 적어야 한다. 그리고 개관에 나오는 각 대지나 항목은 하나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것은 반드시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이어야 한다.8)


  “설교단에 올라갈 때는 요약된 개관만을 들고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서재에서 그렇게 준비한다면 그것은 실패작을 낳을 것이다.”


  각 대지는 의문문이 아닌 서술문이어야 한다. 개관에 나온 각 대지나 요점은 질문의 제기가 아니고 질문에 대한 대답이어야 한다.


  질문은 설교를 할 때 다른 대지로 넘어갈 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런 과도적 질문(transition)은 다음 항목으로 넘어가기 전에 넣되 괄호로 묶어둔다. 다음 대지나 항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내는 말은 즉석에서 쉽게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질문은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매우 신중하고 적절하게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즉 이러한 말은 논리적 혹은 심리적 교량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기록되어야 하고 또 개관에 들어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설교할 때에는 그것이 확대되어 훨씬 길어질 수도 있다.9)



  9. 요점을 설명해 주거나 증명하거나 적용하거나 확대시켜 주는 보충자료로 개관을 채우라


  개관은 사고의 골격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설교에서의 골격은 대부분 감추어져 있다. 설교의 뼈대를 감추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은 골격을 들추어내는 것이 아니라 살로 덮는 것이다.


  청중은 추상적 관념에 대해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도 개관을 읽어주고서 그것을 행동으로 옮긴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호소력 있는 설교가 되도록 하기 위한 보충자료를 사용한다.


  1. 재 진술(restatement) : 어떤 관념을 다른 말로 바꾸어 진술하는 것이다.


  첫째로, 재 진술은 명확성을 얻어준다.

  둘째로, 재 진술은 듣는 사람에게 진리를 심어준다.

  셋째로, 재 진술은 반복과는 다르다.


         반복(repetition)은 똑같은 것을 똑같은 말로 하는 것이고,

         재 진술은 똑같은 것을 다른 말로 하는 것이다.


  2. 설명(explanation)과 정의(definition) : 정의는 한계를 설정한다. 포함되어야 할 것과 배제되어야 할 것을 구분해 준다.


  정의는 어떤 개념이나 진술이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과 배제해야 하는 것을 규정한다. 그리고 설명은 어떤 관념이 다른 관념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또는 어떤 관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설교자는 분류, 동의어, 비교와 대조, 보기 등을 통하여 모든 중요한 개념을 청중이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해 주어야 한다.


  3. 사실적 자료(factual information) : 관찰, 실례, 통계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진술의 진실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설교자와 상관없이 확인될 수 있는 조사 보고, 보기, 통계 등의 자료가 사실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4. 인용(quotation) : 강한 인상과 권위를 주기 위하여 우리는 다른 사람의 효과적이고 탁월한 표현을 인용한다.


  권위는 인정할 만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


  (1) 경험이나 훈련을 통하여 이 주제에 관해 권위 있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람인가?

  (2) 그 증거는 직접적인 지식에 근거한 것인가?

  (3) 그 권위는 편견에 사로잡혀서 나온 것인가?

  (4) 청중은 그의 증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를 알고 존경하는가?10)


  설교에서 인용은 너무 많아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인용은 짧아야 한다. 때로는 약간 고쳐서 더 많은 열매를 얻도록 하는 것이 더 좋다.


  5. 이야기(narration)


  이야기는 성경 본문을 설명할 때 누가 무엇을 누구에게 무슨 목적으로 하였는지에 대한 묘사이다. 이것은 보통 본문의 역사, 환경 도는 인물을 논함으로서 설교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야기란 상상력을 발휘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상은 신앙의 통찰력을 반영한다.


  6. 실례(illustrations)


  실례는 관념을 실제 경험에 관련시킴으로써 그 관념을 재 진술해 주거나 설명해 주거나 적용하는 것이다. 실례는 설교의 주제에 부합되고 회중에게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예화는 개인의 체험이나 독서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수집되고 정리될 수 있다.



  10. 설교의 서론과 결론을 준비하라


  1. 서론(introduction)의 준비


  효과적인 서론의 주요 특징은 설교의 관념에 주의를 집중시키고, 필요성을 제기하며, 회중으로 하여금 설교의 본론과 그 발전에로 지향하게 하는 것이다.

 

  (1) 주의를 끌어라

  (2) 필요를 충족시켜라

  (3) 설교의 본론을 소개하라

  (4) 다른 여러 가지 특징들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성경 봉독, 유머, 제스처, 태도 등도 중요하다.


  세 가지 형의 설교자가 있다. 첫째로, 도저히 귀를 기울여 그 설교를 들을 수 없는 설교자, 둘째로, 귀를 기울여 설교를 들을 만한 설교자, 셋째로, 귀를 기울여 설교를 듣지 않으면 안 되는 설교자가 있다. 설교의 서론을 하는 동안에 회중은 보통 설교자가 어떤 부류인지를 결정해버린다.


  2. 결론의 준비


  결론이란 “회중들에게 관념에 대한 전체적이고 완벽한 견해를 주는 것으로 그 진리로 하여금 마음과 생활 속에 깊이 박히게 하는 것”이다.


  “경험이 풍부한 조종사는 비행기를 착륙시킬 때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유능한 설교자는 결론을 위해 충분한 준비를 해야 한다.”


  (1) 요약 : 강조점의 재 진술이지 재 설교가 돼서는 안 된다.

  (2) 예화 : 관념의 요약이나 실천을 보여주는 예화가 정곡을 찌르는 예화가 된다.

  (3) 인용 : 인용구, 찬송가, 설교 요약문 등이 될 수 있다.

  (4) 질문 : 적절한 질문을 통하여 효과적인결론을 지을 수 있다.

  (5) 기도 : 설교와 관련된 정직한 간구일 때 적절한 결론이 된다.

  (6) 특수한 방향 제시 :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7) 가시화(visualization) : 미래의 상황을 그려보고 설교에 따라 대처하게 해준다.



참고문헌



Barclay, William. A Spiritual Autobiography. Grand Rapids: Eerdmans, 1975.

Brigance, William Norwood. Speech: Its Techniques and Disciplines in a Free Society.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52.

Davis, H. Grady. Design for Preaching. Philadelphia: Muhlenberg, 1958.

Haselden, Kyle. The Urgency of Preaching. New York: Harper & Row, 1963.

Miller, Donald G. The Way to Biblical Preaching. New York: Abingdon, 1957.

Monroe, Alan H. Principles and Types of Speech. Chicago: Scott, Foresman, 1949.

Robinson, Haddon W.  Biblical Preaching. 정장복 역. 강해설교의 원리와 실제.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Schaeffer, Francis A. True Spirituality. Wheaton, Ill.: Tyndale, 1971.

Simpson, Matthew. Lectures on Preaching. 설교학 강의.

Tozer, A. W. Of God and Man. Harrisburg, Pa.: Christian,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