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약 성경강해***/- 야고보서 강해

야고보서 이해

에반젤(복음) 2019. 11. 29. 16:13



       

야고보서 이해

 


 

Anthony Wallace. "The Revitalization movements"

Thomas O'dea. "Five Dilemmas in Institutionalization"

Peter Berger. "종교와 사회“, ”자본주의 혁명

Mary Douglas. "Purity and Danger"

 

야고보서를 받은 대상은 개인이 아닌 기독교 공동체였다.

기독교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독교공동체를 이해해야 한다.

공동체 형성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러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회학적 이론을 가지고 야고보서를 조명한다.

 

과거의 역사적 정황을 이해하여 현대의 필요한 것을 살펴본다.

 

신학을 연구하는 곳에 종교사회학에 대한 이해가 없다.

(카톨릭, 감신대, 숭실대 정도만 종교 사회학을 강의한다)

 

지도자는 현대사회를 알아야 한다. 특히 영적 지도자들인 목회자들이 사회에 대한 통찰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사회학은 사회를 들여다 보는 것이다.

사회 속으로 들어가서 살펴보는 것이다.

-사회를 들여다보는 key가 필요하다. key가 사회학의 이론이다.

-사회학을 통해서 현재를 알고 나아갈 방향을 알아 가는 것이다.

 

사회학적 이론을 가지고 야고보 공동체를 분석

야고보서를 그 당시의 정황에서 읽어본다.

- 현재에서 과거의 상황을 읽어본다.

- 올바른 해석을 위하여 context를 분석

야고보서를 가지고 현대를 바라보며 성서적 model을 찾는다.

현재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한다.

 

과제물

야고보서를 14회 이상 읽기

강의를 참석하여 배운점과 자기가 새롭게 경험한 점과 앞으로의 vision과 강의에 대한 평가를

A4 2-5pag들 작성하여 제출(11font, 160)

 

신학에서 사회학적 방법

1) 설명적 방법(descriptive)

사회에 어떤 class가 있다. class에 대한 연구.

신약성서에 나타난 class의 개념을 연구.

-고대 고린도 교회의 구성원의 class 문제 - 사회학적 구성원의 신분차별의 문제

-고린도 교회의 문제와 사회 class의 구성원과의 관계가 있는가?를 연구.

 

개념(concept)을 가져다가 신약을 설명(예로 Gerd Theissen의 연구서들)

 

2) 분석적 방법(analytical)

기존의 확정된 이론(theory)을 가지고 사회를 분석.

(이론 : 개념을 정확히 가지고 분석하여 그 후에 주장하는 것)

회심(conversion)을 사회적 이론을 가지고 분석.

현 상황에서 여러 가지 이론을 가지고 분석한 후 결과가 이렇다라고 주장하는 것.

 

분석적 방법은 설명적 방법을 전제하고 있다

 

 

2000. 9. 4.

 

야고보서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연구를 한다.

적어도 4개의 사회학적 논문을 가지고 분석적으로 접근한다.

 

Revitalization Movements(갱생 운동)

- 죽은 것을 살리고, 재 생명력을 갖게하는 운동.

 

Renewal Movements(갱신 운동)

- 이미 존재하는 것을 새롭게 한다.

 

Reformation Movements(개혁 운동)

 

위의 3가지 중에 어떤 것이 강한 표현인가?

가장 강하지만 어려운 것은 갱생운동이다.

개혁 운동은 16세기의 종교개혁을 생각.

갱신은 현대 교회가 적용하지만 나타나고 있지 않다.

 

갱생 운동이 현대 교회에 가장 알맞은 교회의 운동이 되어야 한다.

-현대교회는 죽어가고 있다. 죽은 것을 살리기 위해서는 갱생운동이 가장 필요하다.

 

Revitalization

-한국교회가 유럽교회처럼 될 수 있다. 현재 상태로 그대로 방치하면

-우리의 교회는 죽어가고 있다.

 

한국교회에 요구되는 것은 갱생운동이다.

? 갱생운동이어야 하는가?

갱생운동의 요소는 무엇인가?

 

Anthony Wallace의 글을 참조하라.

-이 논문에는 교회사에 나타난 여러 운동의 배경, 그 진척 상황, 결과를 조사하고 분석하고 있다.

 

조사한 결과

 

갱생의 개념이 나타난다.

어떠한 개념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Revitalization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종교 운동 속에 같은 유형이 있는 것을 발견한다.

모든 운동의 시작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보면,

갱생의 개념으로 운동들을 생각할 수 있다.

 

유사한 과정들이 있다.(결과를 포함해서)

주후 100년부터 현대까지, 오대양 육대주에서의 종교현상을 분석한 결과.

 

1) 정체의 단계

2) 긴장의 단계

3) 문화적 괴리

4) 갱생화의 기간

5) 안정 체계

 

갱생은 어떤 의미에서 사용되는가?

-사회를 유기 체제적인 구조로 이해한다.

-유기체의 개념을 가지고 갱생의 개념을 대비(analogy)한다.

-역사의 유사성을 가지고 다른 것을 설명하는 것이 유비이다.

(, 예수의 부활 - 비슷한 사건이 없기 때문에 역사적 유비가 없다.)

 

organismic(생물학적 유기체)

-black hall - 상상이 불가능하다. 이유는 이것을 의식할 수 있는 전이해나 경험을 우리가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블랙홀은 너무나 빠르기 때문에 빛도 상실된다.

 

생물학적 유기체는 제멋대로 움직일 수 없다.

 

유기체의 기능이 완전히 떨어지는 것 즉 기능상실은 죽음을 말한다.

사회가 기능을 상실하면 죽음으로 가기 때문에 갱생(revitalization)이 필요하다.

 

성경은 교회를 몸으로 비유한다(참고, 고전 12).

교회는 사회 형태를 갖고 있다. 즉 유대적 관계를 가지고 하나로 움직인다.

몸의 한 부분이 stress를 받으면 몸 전체가 stress를 받는다.

사회성은 한 부분이 아프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된다.

(, 한보 사태 - 한국 경제 전반에 영향, 기아 사태 - IMF 위기 = 전 사회가 고통을 당한다)

 

작은 cell의 문제가 전체로 퍼져가는 것이다.

 

의학의 분야에서 보면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결핍증)가 대표적인 예가 된다. 이 병에 걸리면 우리는 서서히 죽어간다.

 

사회 속에는 정신적 형상(mazeway)”가 있다.

사람은 머리 속에 떠오르는 image가 있다.

사회의 각 구성원은 자신이 속한 사회, 문화, 행위 규범 그리고 그것들과 연관되어진 자아와 세계에 대한 정신적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

선생 하면 떠오르는 image가 있다.

목사 - 자비하다, 거룩하다, 화를 내면 안된다.

미국 - super power

may flower - 미국 - 새 이스라엘 건설.

 

정신적 형상은 쉽게 변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국인은 유교적인 힘 속에 빠져있다.(남녀유별, 어른에 대한 절대 공경, 이름 부르기 등등)

유교의 영향은 기독교 가정 안에도 긴장관계로 나타난다.

아버지는 너는 아들이기에 복종해야한다고 한다.

이는 기독교인들의 아버지에 대한 잘못된 권위를 갖게 한다.

 

교회에 대한 image는 교회는 이래야(의 모양)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교회가 의 모양을 갖게 되면 사회적 갈등이 발생한다.

 

기독교의 image는 깨끗해야 한다. 도덕적으로 순결해야 한다. 세상이 그렇다해도 기독교인은 그러면 안된다는 고정된 생각이 있다.

그래서 실재로 교회의 image가 다르게 나타날 때 충돌이 일어나고 갈등이 발생한다.

 

사회가 교회에 대해서 비합리적인 요구를 하지 않는다.

 

하나님의 형상 - 사람들이 하나님을 따를 때 사람들을 통해서 하나님에 대한 image가 나타나야한다. 도덕성이라든가 창조성이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Socialization(사회화)

가정과 사회속에서 자신과 이웃에 대한 mazeway를 형성하는 것이 사회화이다.

1) 나에 대한 image(내가 누구인가?)

부모에 대한 역할(부모가 누구인가?)

-사랑 받지 못한 아이는 부모에 대한 image가 파괴된다.

-이때 그 아이에게 생성되는 image가 사회화이다.

 

significant others

많은 경우 정신치료에서 나의 정체성(identity)을 찾아주는 것을 한다.

 

2) 주변에 대한 image를 갖는다.

 

3) 사회 속에서 역할이 무엇이냐는 역할에 대한 image를 갖는다.

 

한 가정에서 태어난 사람은 이미 정해진 image가 있다.

 

Emil Durkheim

사회가 곧 신앙이라고 함.

사회는 절대 타자이기에 피할 수 없다.

너는 이렇게 살아야 한다고 명령한다.

 

) 한국 사회의 아이(대학을 반드시 가야한다)와 미국 사회의 아이(자유가 주어진다)는 다르다.

 

각 사회마다 다른 길을 지정해 준다.

거부하면 총, , 채찍같은 압력이 온다.

결국 stress가 쌓인다.

이미 만들어진 곳으로 몰아 넣으면 image의 충돌이 일어난다.

문화 충격(culture shock) + stess는 갈등과 충격이 발생할 때 생겨난다.

 

이러한 사회화의 영향으로 그 사회 속에는 행동의 규범화가 이루어진다.

군대 입대 - 엄청난 추격과 stress

 

유대인들은 모세 이후에 율법 아래 살았다. 즉 정해진 삶을 살았다. 이것은 율법이 유대인의 삶의 모습을 정해준 까닭이다.

 

예수가 이 땅에 와서 율법에서 해방을 이야기 할 때 유대인들은 stress를 받았고 갈등과 충격이 일어났다.

 

이러한 모든 것을 살펴보면 사회 속에는 정신적 형상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해진 image의 길을 따라야 하는데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하면 stress가 온다.

 

사회의 부조리한 사건 속에 관계된 기존의 교회 image가 바꾸니 사람들에게는 충격이 온다.

그 결과 다른 두 요소가 생겨난다.

정신적 형상은 의 모양이어야 하는데 실재적 형상은 의 모습으로 나타나면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동화되는지, 아니면 잘못된 것을 변화시키든지 해야 한다.

사회, 문화, 행위 규범을 바꿔야 한다.

이렇게 바뀐 것이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은 어렵고 불가능하다.

brainwashing (세뇌, 강제적 개조)을 통해서 기존의 것을 씻고 새로운 image를 넣는다.

-공산주의자, 이재록의 만민중앙교회, 문선명의 통일교, 크리스천 사이언스 등등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이단에 속한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은 어렵고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stress를 제거하고 새롭게 하는 것이 Revitalization이다.

 

mazeway를 변화시키는 노력으로 현실세계와 부합하도록 하여 stress를 제거해야 한다.

 

이처럼 야고보서를 배우기 전에 우리는 현실의 문제를 올바르게 직시해야 한다.

 

2000. 9. 18.

 

사회적인 존재들은 사회화의 과정을 통해서 정신적 형상이 생긴다.

사회적, 개인적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왕에 대한 형상 - 민주주의의 대통령에 대한 형상.

국가의 지도자에 대한 이미지가 땅에 떨어졌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머리가 아프다고 생각한다.

 

오늘의 우리의 사회에 대한 이미지는 혼란과 어둡기 때문에 사람들은 불안해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stress를 받고 있다.

정신적 형상이 붕괴되면 사회는 불안해 진다.

유가 인상, 세금 인상, 의료분쟁.

 

예측할 수 없는 세상이 되어지고 있다. 우리의 사회는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상태이다.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은 사회의 기능이 마비가 된 것이다.

 

무능력함을 느끼게 된다.

의료분쟁의 문제 우리들은 무기력해질 수밖에 없다.

beyond my power - 사회 속에서 소외된 인간의 모습으로 살아간다.

사회에 대한 기대가 아무 것도 없다.

대우 문제 - 증권의 하락 / 사회가 시민들에게 기대감을 주지 못한다.

내가 있으므로 사회의 역할을 한다는 생각이 붕괴되어 소외감을 느낀다.

교회에서의 차별로 인한 소외.

소외는 정신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칼 막스는 소외된 노동자들의 문제를 가지고 공산주의의 이론이 나타난다.

-alienation, 주변인생,

우리는 사회의 구성원 중에 중심이 되기를 원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 주변 인생으로 느끼게 된다.

예로 미국에서는 외국인에 대해서 중심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현대인들은 자기의 세계를 구축하면서 살아간다.

 

정신적 형상의 붕괴 - 이 원인은 사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수단은 사람들이 자살을 한다.

에밀 뒤르켕의 이론에서 자기의 정체성을 잃고 가는 것이 자살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사회는 죽어가고 있으며 죽은 사회이다.

 

경제적인 위기, 질병, 기근, 전쟁 등으로 상실감을 갖게 될 때 사람들의 정신적 형상이 파괴되고 스트레스를 받고 depression(우울증)에 걸리고 결국에는 사람들이 죽음을 택하게 된다.

 

stress를 제거하는 방법이 나온다. 즉 대안이 나온다.

 

이러한 것을 수정하려는 기간이 있는데 이러한 기간동안에는 견딜만하다.

첫 번째 단계로 이 기간을 steady state 라고 한다.

두 번째 단계는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stress가 증가한다.

stress의 증가가 계속되면 정신적 형상의 붕괴가 이루어진다.

세 번째 단계는 계속되는 stress의 증가로 인하여 neurotic disorder(정신적 분열증)가 생긴다.

여기서는 stress의 제거 노력이 실패한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될 때 막가파와 같은 세력과, 알콜 중독, 인터넷 중독, 관음증, 마약중독 등등의 도덕적 방임 자들이 발생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죽음이 나온다.

지금의 우리의 상태는 어디까지 왔는가?

네 번째 단계에서는 갱생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죽음의 상황에 변화를 일으키려는 갱생의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교회가 이러한 일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데 교회 안으로부터 갱생의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현재의 교회는 교회 내에서도 정신적 형상이 파괴되어 가고 있다.

한국 교회의 지도층에서부터 모범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을 보는 사람들은 정신적 형상이 붕괴될 수밖에 없다.

나 혼자야 무슨 문제가 있으리? - 상당한 사회적 문제가 된다.

이론이 정립되면 사회의 문제 보이기 때문에 두려움을 느낀다.

교회 안에서의 재산 싸움이 가장 많은 소송이 있다.

 

이북사회가 갑자기 개방되면 세 번째 단계로 들어갈 수 있다.

자신들의 사회주의적 형상이 파괴되어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다. 윤리가 상실된다.

너무 급격한 사회의 변화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한국 교회의 문제도 이러한 관점에서 분석을 해야한다.

 

과연 기독교에 기대할 것이 있는가?

교회의 설교가 도덕 설교로 가고 있다는 것은 교회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도덕설교가 많을수록 세상은 교회 안에서의 문제는 심각해 지는 것이다.

 

갱생운동에서는

1) 선지가 같은 사람들이 일어나야 한다.

구약의 사회가 죽어갈 때 갱생 운동이 일어났고 그 주역은 하나님의 선지자들이었다.

그들은 정신적 형상(mazeway)을 재형성하는 일을 하였다.

붕괴된 것을 다시 만들어 줌으로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새로운 정신적 형상을 따라 새롭게 변화되는 일이 일어났다.

-charismatic leader를 필요로 하고 있다.

-붕괴된 곳에서는 새로운 것을 갈망한다. 그리고 이들은 charismatic leader를 찾는다.

-잘못되면 이단으로 간다.(이재록 같은 류를 찾는다)

-교회와 신앙(10월호)

-오늘의 사회는 이러한 리더가 없다.

-연예인들에게는 신적인 것이 없다.

-여기서의 charismatic leader가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더 문제다.

-Peter Drucker 자본주의 이후의 시대에서 앞으로는 카리스마틱 리더가 나오지 않는 시대로 가고 있다.

-과거의 김구 선생 같은 리더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러한 지도자가 나오지 않는다.

-정치권에서도 경제권에서도 어디에도 강한 지도자는 없다.

 

-이러한 때에 요한 웨슬리 같은 인물이 일어나야 한다.

영국에서는 토양이 영국 국교회라는 기반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는 강력한 기반이 교회에는 없다. 우리의 교회는 소수의 무리로 출발했다.

한국 사회는 기독교 국가가 아니기에 갱생의 힘이 없다.

 

한국은 제2의 예루살렘이라는 말이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헛된 꿈이다.

오늘의 우리의 상황에는 밝은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기에 더욱이 교회 안에서 갱생의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의문이다.

people's movement 같은 운동이 교회안에서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운동에도 많은 요소가 있기에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선지자가 나오면 첫째로 mazeway의 형성을 만들고, 사람들이 그것을 따른다(follower). 그리고 그들에 의해서 사회(society)가 형성된다.

 

야고보서를 통해서 우리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신적 형상이 재형성이 되어야 한다.

우리의 사회 속에서 교회 속에서 작은 불씨라고 지펴야 한다.

혹 가능하다면 우리가 함께 이러한 운동의 동인이 되어야 한다.

 

야고보서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형상을 갖고 이 세상에 대해서 정신적 형상을 재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세속화 신학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제도화의 문제의 딜레마.

왜 우리의 사회는 이렇게 잘못되어 가고 있는가에 대한 자본주의의 혁명.

 

 

2000. 9. 25.

 

사회현상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였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제시할 것은 무엇인가?

 

야고보서를 공부해야 하는가?

 

과연 오늘의 현상에서 야고보서는 우리에게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가?

-지난 두 주 동안 사회학적인 접근을 통해 알아보았다.

 

예라면 그것이 문제인가?

수용의 문제

 

야고보서와 관련해서 가장 충격적인 발언을 한 사람.

-루터의 발언 야고서를 지푸라기 서신(straway epistle)이라 하였다. 그래서 불에 던져야 한다고 하였다.

-루터는 성경해석학에서 중요한 업적은 그 당시까지 allegory적 해석을 하였다.

allegory는 네 가지의 의미가 있다. 그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다. 루터 당시까지의 성경 해석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루터부터는 문헌적 해석법이 등장한다. 문헌적 해석은 문헌 내에는 한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후로 개신교는 문헌적 해석법을 갖게되는 것이다. 루터가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sola fide

sola scriptura

sola gratia

 

루터는 문헌적 방법으로 신약을 주석했다. 로마교회부터 개혁을 했을 뿐만 아니라 성경연구에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개신교회의 태두가 되었다. 복음주의 원조이다.

그런 루터가 야고보서를 지푸라기라고 혹평을 했다.

그래서 루터는 바울을 높인다. 오직 믿음으로의 사상적 영향을 받아서.

바울은 어거스틴을 통해서 높임을 받았고, 이전에는 마르시온이 바울을 높였다.

루터 후에는 웨슬리, 바르트 등이 바울을 높이는 일을 하였다.

 

어거스틴 시대부터 성경은 로마교회에 귀속된다.(제롬의 불가타 성경이후) 1000년 동안 교회의 성경이 되었고, 누구도 성경을 다루지 못했다. 오직 사제들만이 성경을 다루었다.

 

왜 루터는 야고보서를 혹평했는가?

루터의 신학의 핵심은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견해에 야고보서는 반대되는 것처럼 보였다.

이신득의, 이신칭의에 상반된다고 생각하였다.

bossett - 베드로 파와 바울 파가 서로 싸움을 하였다고 주장한다.

베드로는 율법, 유대인 vs 이방인 의 갈등이 있었다.(야고보는 베드로에 가깝다)

 

유대주의적인 요소가 많이 있다.

-야고보서가 유대인들에게 쓰여진 책이다.

-유대인들의 지혜문서의 편집이다.

-디아스포라, 자유케하는 온전한 율법, 구약에 대한 많은 인용구절.

-유대적인 것은 율법적이다.

 

예수와 구원과의 관계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주제가 없다.

-과연 사도들이 이러한 성경을 썼겠는가?

 

주제들이 질서있게 전개되고 있지만 야고보서에는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다.

-모든 전개의 과정이 무질서하게 전개된다.

-루터의 생각에는 영감이 없다고 생각했다. 하나님은 질서의 하나님이시다.

-반복되는 것이 너무나 많다. 자랑하지 말라 등이 중복되고 있다.

-내용이 뒤섞여 있다.

 

루터는 윤리적인 가치밖에 없다고 했다.

 

칼빈은 야고보서는 기독교 윤리를 도출하는 정도의 책이다.

야고보서의 가치는 기독인들의 윤리 도출의 가치밖에 없다.

그래서 야고보서의 위치를 바울을 전제로 한 뒤에 그 밑에서 야고보서를 이해한다.

 

이후에 사람들은 위의 관점에서 야고보서를 이해하게 된다.

이상은 16세기의 pattern 이었다.

 

그러나 초기 기독교에서의 바울의 위치는 어떤가?

 

정경화 과정(canonization)

초대교회 당시에는 수많은 문서들이 존재해 있었다. 주후 100년까지.

마르시온의 출현(150)은 바울의 편지와 누가복음, 사도행전 만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정경이다.

마르시온에 의해서 정경화 논쟁이 출발한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기존의 사람들이 정경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로부터 27권의 정경화 작업은 400년경에 와서 250년만에 정경화 작업이 완료된다.

정경은 중요한 순서로부터 정경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야고보서는 27권의 맨 마지막으로 정경으로 인정을 받았다. 그전까지는 의심스러운 것 7권 중에 하나였다.

처음부터 야고보서는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았다. 천더구러기 같은 문서로 취급되었다.

 

예루살렘의 멸망(70) - 로마의 장군 디도에 의해서(아버지는 플라비우스 황제) 완전히 멸망당함. 성전의 돌들이 완전히 무너진다. 남아있던 유대인들을 소개시킨다.

-제사직이 붕괴된다. 즉 사두개파들이 무너진다.

-유대인들이 나라를 잃게 된다.(마카비에서 헤롯까지 이어지는 왕조가 무너진다)

-예루살렘 교회 + 팔레스타인의 교회들이 무너진다.

 

아라비아로 간 사람이 에비오나이트가 생겨나기도 한다.

예루살렘이 교회의 중심이었다.(15- 예루살렘 공회, 이방인 선도 전략을 세운다. 이방인들에게는 율법의 짐을 지우지 말라. 윤리의 기본적인 것들을 제공한다.)

예루살렘에는 베드로와 사도들이 있었고, 예수의 동생 야고보가 지도자로 있었다.

이방인이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을 모금하여 예루살렘 교회를 돕는다.

 

홀렘버그

-바울의 능력(paul's power)

-바울은 예루살렘 교회의 위치를 인정하였다. 그만큼 예루살렘은 권위와 능력이 있었다.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회에 대해서 권면을 할 때 모교회의 고난의 문제를 말하고 있다.

 

예루살렘이 무너질 때 놀랍게도 로마의 교회가 선교의 중심으로 변해가도 있었다.

유대인에서 이방인이 중심한 로마교회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로마서는 로마교회의 소유가 되어 있다.

로마서에는 이신칭의의 교리가 나타난다.

 

예루살렘이 멸망하기 전까지는 야고보도 영향력이 있었으나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그 영향력을 잃어버렸다.

 

야고보서의 중요성이 로마서로 인하여 그 자리를 잃게 되는 것이다.

로마서의 영향력이 정경화 과정에서 나타나지만 그럼에도 야고보서는 마지막으로 정경으로 맨 마지막에 들어가서 그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야고보서의 빛은 역사 속에 숨겨져 있다.

-왜 그런가? ill treated(학대받다, 냉대하다) 되었다.

-그 가치가 드러나지 않고 있다.

 

Matin Debelius

-서민층 기독교의 분위기를 나타내면 수준 높은 바울과 요한의 경지에 이를 수 없는 서신이다.

 

E. C. Blackman

-신학에 무관심하며 심오한 종교적 경험이 없는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평범한 내용이다.

 

 

19세기 이후에 야고보서에 대한 평가

 

Adolf Schlatter

기독교회는 야고보서를 오직 피상적으로만 듣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해를 끼쳐왔다.

올바로 보지 못하고 발견하지 못했다.

 

G. E. Eicholtz

어느 한 정경을 다른 정경의 그늘 밑에 던져버리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

 

야고보서는 스스로 정경으로서 자신의 내용을 입증하고 있지 않는가?

야고보서를 다른 성경의 아래에 둘 수 없다. 가치와 권위가 있다.

바울의 그늘을 벗겨버리고 야고보의 권위를 되찾아야 한다.

 

1884

John Herder

-만일 이 서신이 지푸라기 서신이라면 그 겨 속에 단단하고 양분이 가득한 그렇지만 아직 탈곡되지 않은 맛보지 않는(uninterpreted) 알곡이 그 속에 숨겨져 있을 것이다.

-2000년 동안 야고보서는 교회의 곡간 속에 숨어 있었다.

-편식증에 걸린 기독교에 양분이 가득한 서신을 맛보게 해야 할 것이다.

 

1990년대

 

James Adamson "James , The Man and His Message"

-야고보서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

-골자는 야고보서는 통일성이 있다.

-야고보서는 오늘날의 교회 갱신을 위한 message가 들어 있다.

 

1993

George Stolae

-야고보는 외형적인 기독교적인 형식은 가지고 있지만 지속적인 도덕성이 총체적으로 나타나야 하는데, 종교의 위험과 대치되고 있다.

오늘의 교회가 참된 갱신을 필요로 한다면 그것을 위하여 참으로 시의적절한 메시지를 야고보서는 전하고 있다.

.

-형식은 있지만 내용에는 총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형식과 내용이 일치해야 한다.

-integrity가 있어야 하는데

 

야고보서는 의도성을 가지고 있다.

 

야고보서가 전하려고 하는 의도를 깊이 있게 찾아야 한다.

 

언어가 보인다.

언어는 사람들의 문화나 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언어는 문화적 특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언어에는 인격을 나타낸다.

언어를 보면 그 당시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60년 경의 언어로 유대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종교적인 언어이다.

야고보서의 언어는 매우 특색있는 언어이다.

 

로마서의 언어가 이신칭의라는 독특한 것이라면 이말에는 바울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

 

그러나 야고보서의 언어는 오직 야고보서에만 나타나는 언어이다. 즉 당시의 특수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문화적 특수성을 나타내는 특수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야고보서는 스스로가 정경의 권위를 나타내었는데 그 언어 속에는 야고보 만의 특수한 상황을 담고 있다. 언어를 통해서 그 속에 숨겨져 있는 문화적 특수성을 발견해야 한다.

 

세상적이라는 표현,

부요한 자들아,

 

야고보서의 언어를 분석해 보니 특수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은 상황의 특수한 문화를 나타내고 있다.

 

야고보서를 들어가 보고 오늘의 우리의 상황을 살펴보려고 한다. 들어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