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강해연구(ארקיו; Leviticus)
레위기는 시내산 언약의 일부(Sinaite Covenant Law)이다. 레위기 7:37절에 보면 율법의 일부인 Cultic regulation을 시내산에서 말씀하셨다고 기록되어 있다(5대 제사의 규례). 율법(law)은 출 20장에서 십계명으로 주어진 후(pecalogue), 21-23장(civil law)은 시민법이며, 24장에 오면 covenant making(언약의식)이 된다. 25장은 성막건축을 지시하는데 먼저 헌물에 대하여, 설계도에 대하여 말씀하신다.
31장에 가면 건축기술자를 택정하고(브사렐, 오홀리압), 이어 12-18절은 안식일 규례를 말씀한다(이것은 언약에 있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나와 너희의 표징, 영원한 언약이라 한다 - 두 돌판을 주심.
32장은 Aposfacy of Israel(이스라엘의 배도), Intercession of Moses for Israel(모세의 중보), Covenant Renewal(언약갱신)이 나온다. 31:18절에서 두 돌판 주심은 증거판이며 맹세인데 32장에서 배도해 버리자 모세가 돌판을 깨어버린다. 그 의미는 언약의 의미가 없어져 버렸다는 뜻이다. 그리고 모세는 다시 중보기도하고 renewal한다 - 두 돌판 다시 주심.
34장에 두 돌판을 다시 들고 내려옴.
35장에 안식일 규례가 또 나타난다.
31장의 성막규례가 나타나고 또 35장에 다시 성막규례가 있는 그 둘의 차이는, 전자는 하나님이 직접 명령하신 것이고, 후자는 그 명령을 받은 모세가 대신 명령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런 구조에서 볼 때 31장의 성막규례는 바로 35장으로 연결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렇다면 32-34장의 내용은 왜 들어가 있는가?
그 의미는 하나님이 주신 율법에 대해 이스라엘이 지킬 능력이 없다는 것을 말하며 모세의 중보로 인해 파기된 언약이 다시 갱신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그 문맥은 성막건축 명령과 시행(35장) 사이에 되어짐으로서 성막의 기능의 주요한 것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파기된 관계를 회복시키는 의미라 하겠다. 이것이 레위기의 성막제도(cultic system)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거룩하지 못한 백성이 거룩한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가, 제사를 통한 거룩화된 백성이 하나님을 만나는 곳이 성막인 것이다.
35장은 성막건축이 시행된다. 헌물 → 시행자를 불러 → 성막을 세움.
35-40장은 성막에 관계된 제도이다. 반면에 레위기는 하나님이 시내산에서 주신 율법의 일부인데 특히 성막과 관계된 율법이다.
34장은 십계명과 연결되는데 조목이 3개 많아 13계명이라 한다. 그 계명은 cult와 관련된다. 그래서 34장은 cultic pecalogue라고도 한다. 어떤 자들은 출 20장의 십계명과 34장의 십계명을 다르게 해석하는데, 그것은 모세와 하나님과의 만남의 사건을 너무 축소화시키는 오류를 범한다.
출 20장의 십계명은 그것만 말씀했다는 뜻이 아니라 많은 말씀 중 가장 밀도있게 요약하여 주신 결정체라 할 수 있다.
레위기는 출 34장의 십계명을 더욱 자세하게 풀어 설명하는 것이다. 출 5장에 보면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로 하여금 여호와를 섬기게 하기 위함이다’고 한다. service는 애굽으로부터 벗어나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사는 삶의 본질을 의미한다. דבע(아바드) : 하나님을 섬기는 삶. 이것은 롬 12장의 신약적 원리와 같다.
하나님 섬김의 원리는 ‘십계명’(출 20장)이다. 20장 첫 부분은 하나님 섬김이 나오는데 특히 뒷부분에는 의식영역(cultic service)에 있어서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다. 하나님을 섬김은 성막에서 이루어지는 제사적 형태의 service이다. 레위기는 성막 중심의 삶이다.
출애굽기 마지막 부분에서 확인한 것은 성막 중심의 삶이다. 법은 삶의 규범, 도리이다. 따라서 삶의 중심에 성막이 위치함은 삶의 중심에 하나님이 계심을 상징하는 것이다. 레위기는 성막에서부터 이스라엘의 삶이 시작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삶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성막을 회막(דעומ להא; 오엘 모헤드)이라고 한다.
회막 = 만남의 장소는 무엇보다도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영적, 인격적으로 그들 가운데 임재해 계시는 하나님과 만남. 만남의 장소이므로 하나님의 임재의 장소이다. 하나님이 인간을 만나시고 그에게 말씀하신다 = 계시. 그러므로 cult의 기본구조(임재, 계시)는 만남이다. 이것은 족장시대의 cult구조와 동일하다.
이스라엘의 삶을 한 마디로 규정한다면 하나님을 섬기는 삶이다. 회막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을 섬기는 삶의 특징은 형식으로서는 제사요, 본질로서는 하나님께 드리는 삶이다(고르반).
Theophany(하나님이 직접 인간 처럼 나타나셔서) 계시하신다. 성막의 임재 특성은 throne(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의 왕으로서의 통치이며 그 백성을 다스리시는 형태이다.
הבצמ(미츠바) 또한 예배의 형태이다. 성막 중심의 삶은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 하나님 면전에서의 삶이다. 신약의 요한 1서는 레위기를 근본으로 하는 것인데 cultic 구조 속에서 ‘하나님과의 사귐’을 가리킨다(κοινωνια;코이노니아). 하나님에 대한 감사, 사랑, 헌신 등이 일어나는 장소, 이런 형태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로 제사이다. 사죄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제사이다. 이와같은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은 사죄이다. 그러므로 그 만남은 사죄와 동시에 축복의 만남이다.
선지자들의 메시지는 당시의 cultic system을 비판하는데 그 이유는 예배와 삶이 괴리되었기 때문이다. cult는 life를 통해 더욱 구체화 되는 것이다(롬 12장). 하나님 앞에서의 헌신된 삶을 cultic용어로 말하는 것에서 cult와 life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삶과 예배가 분리될 때는 둘 다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이다.
mere cult - 형식주의에 빠짐
mere life - 인본주의에 빠짐
실 생활에 이루어지는 감사와 헌신, 사귐 등이 가장 밀도있게 이루어지는 순간과 장소가 바로 예배이다. 물론 예배 자체도 하나님 섬김의 삶의 일부이지만, 예배는 대표성을 갖고 삶을 예배화시키는 것이다.
구약체계 속의 이스라엘은 율법지킬 능력 없음 때문에 반드시 성막과 제사를 필요로 한다. 비거룩한 존재가 거룩성을 요구받을 때, 그 결과는 절망이고 그 회복은 제사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것은 신약의 요한 1서에도 그대로 구조화되어 나타난다.
하나님을 안다고 하면서 범죄하면 거짓말 ??
하나님을 아는 백성이 죄없다하면 거짓말 ?? 그 해결책은 요일 1:9절의 자백이다.
레위기 6,7장을 보자. 성막 중심의 삶은 곧 하나님 중심적 삶이다. 그것은 ןברק(고르반) 즉 하나님께 드리는 것(offering)이다. 그리고 제사에 관한 것이 6,7장이다. 하나님께 드린다는 고르반의 의미가 매우 복잡하다.
우리는 우리의 것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의미를 생각한다. 그러나 이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복잡하다. 드림의 구체적 형태는 5가지 제사로 나타난다. 이것을 흔히 5대 제사라 한다.
* ןברק(코르반)의 종류(5대 제사)
1. הלע 올라; 번제)
2. החנמ 민하; 소제)
3. םימלשׁ חבז(자바 쉘라밈; 화목제) - 감사제(הדוג;고다 , 서원제, 낙헌제
4. האטח 헤타아; 속죄제)
5. םשׁא 아샴; 속건제)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빈손으로 나아오지 말라.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항상 드릴 것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속죄제나 속건제는 사죄의 의미이므로 하나님께 드리는 것만 있지 않고 하나님께 받는 것이 오히려 포함되어 있다.
* 제사드리는 방법
화제 - 태워드림, 요제 - 흔들어 드림, 전제 - 부어드림.
* 제물의 종류
밀가루, 기름, 향료, 소금, 소, 양, 염소, 비둘기
* 번제, 화목제, 소제 → 삶의 의식적 형태(드려짐)
속죄제, 속건제 → 피로 인한 대속
번제는 모든 것을 다 태운다. 이것은 순전히 드림만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1:3절을 보면이 제사를 통해서 하나님 앞에 열납되는 것이 포함된다. 4절은 이 제사를 통해 속한다(רפכ; 카페르). 이는 pay off로 갑을 치루는 뜻도 있다. 죄값을 지불하는 것(속죄)과 그것으로 인해 우리의 죄가 덮여지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것은 우리가 드림의 의미도바 우리가 받는 것의 의미가 더 많다. 하나님께 드림의 형태가 제사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상징적인 행동 양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하나님과의 만남에 있어서 인간들의 행동이 상징성을 띨 수 밖에 없는데 이는 하나님은 영이신데 인간은 영육의 통일체(영육의 공동체)이기 때문이다(현 창조질서의 존재방식에 결과).
그러므로 영적 만남이라도 가시적 형태가 필요했다. 이 여러가지 형식은 영적 실재들을 상징한다. 그런데 성경은 이것이 반드시 이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해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레위기에서 여러 형식이 어떤 영적 실재를 상징하는지 잘 알 수 없다.
속죄제와 속건제는 그 의미가 어느 정도 밝혀져 있으나 화목제도 추측할 수 있는 당시 실마리가 있는데 번제와 소제는 무엇을 의미하는제 성경내에서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번제 הלע는 출애굽 이전 노아시대까지도 드려졌던 종류이다. 속죄제나 속건제는 출애굽 이전에는 출현하지 않는다. 번제, 화목제는 이스라엘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고대 근동 여러 민족에게서도 보이는, 이방종교에도 있는 형태이지만 속죄제와 속건제는 이스라엘의 독특한 형태이다. 그리고 속죄제와 속건제는 그 제사의 뜻이 분명하게 밝혀진다(죄를 사함).
번제, 화목제의 뜻이 명확치않는 이유는 이방종교에도 알려져 있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확한 것은 아니다. 어떤 사람은 그 당시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제사의식이므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고대 근동지역의 종교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이 의미는 구약성경 문맥에서, 그리고 역사적 으로 성경을 자세히 살피면, 역사적 흐름이 예전부터 있어 왔음을 희미하게 발견할 수 있다. םימלשׁ은 LXX에서 σωτηριος(소테리오스)라고 번역함으로써 구원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האטח와 םשׁא은 이스라엘의 독특한 제사형태이다.
구약에서 가장 오래된 제사는 소제와 번제이다. 즉, 가인과 아벨의 제사이다. 이 두 사람의 제사는 다 소제였다. 레위기의 5대 제사에서는 번제가 먼저 언급되었으나 역사상으로는 먼저 소제가 나와 있다(명백한 언급). 소제가 역사상 최초의 제사였으나 제사의 존재를 맨먼저 언급하는 구절은 아담에게 가죽 옷을 입힘에서 즉, 동물을 죽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이 치부를 나뭇잎으로 가림은 성적인 범죄 때문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 성결의 상실이 그러한 표현으로 나타났다고 본다. 즉, 내적 부패의 표현, 다른 사람의 나체를 아무렇지도 않게, 순결하게 보지 못하는 내젹인 부패에 대한 표현이다. 내적인 욕망, 정욕이 생겨 자꾸 죄를 생각나게 하므로 부끄러워 그 나체를 가리게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죄를 생각하지 않도록 즉, 이는 우리의 죄성을 은폐해 보려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가죽 옷을 지어 입혀 수치를 가리셨다. 짐승의 죽음은 피흘림으로 죄를 가리움이다. 이것은 바로 속죄의 원리가 아담에게 계시되지 않았겠나 추측할 수 있다(단순히 추측이다). 그리고 레위기의 번제에서 다 태우는데 그 중에 안태우는 것이 있다. 바로 동물의 가죽이었다. 이것과 이상의 가죽 옷을 연상하는 사람이 있다. 만일 이것과 관련을 시킨다면 이것은 역사적인 면에서도 최초의 제사는 번제라고 볼 수 있다. 성경에서 명백하게 말하지는 않았으나 성경의 문맥을 보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동물은 정결한 짐승에 속하며 대개 가축(야생동물이 아니다)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물의 종류에서 생각할 점은 첫째 ‘음식’이라는 점이다. 인간의 노력에 의해 생산하는 것들이다. 이런 점을 organize한다면, 성막 중심의 삶이 첫째로 제사로 시행된다는 것은 하나님과의 만남이 ןברק(제사)으로 된다는 것(바치는 것)이다.
'***신구약 성경강해*** > - 레위기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도표연구 (0) | 2019.07.25 |
---|---|
레위기 핵심 강해 (0) | 2019.07.25 |
레위기 5대제사 정리 (0) | 2019.07.25 |
레위기 서론, 레위기 연구 (0) | 2019.07.25 |
구약의 속죄 제사와 예수 그리스도 (0) | 2019.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