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씀 :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레위기 11: 1~28)
* 본문요약
하나님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대한 규례를 말씀하십니다.육지에 있는 짐승, 물에 있는 짐승, 새와 곤충들 중에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정한 짐승만 먹고, 부정한 짐승은 먹거나 그 주검을 만져서는 안됩니다.
찬 양 : 361장 (새 327) 주의 주실 화평
364장 (새 338)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
* 본문해설
1. 육지 동물에 대한 규례(1~8절)
하나님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모든 짐승들 중에서 먹을 만한 정한 짐승과 먹지 못할 부정한 짐승에 대한 규례를 말씀하십니다. 육지의 짐승의 규례는 소와 같이 새김질을 하고 쪽발이 된 것은 먹을 수 있는 정한 짐승이고, 새김질이나 쪽발 중의 하나만 있는 것은 먹을 수 없는 부정한 짐승입니다. 약대와 사반(바위 너구리)과 토끼는 새김질은 하나 쪽발이 아니므로 부정하고, 돼지는 쪽발이나 새김질을 하지 않으니 부정합니다.
- 약대와 사반과 토끼의 새김질(4~6절) :
약대와 사반과 토끼는 새김질을 하는 동물이 아닙니다. 그러나 본문에서는 새김질을 한다고 되어서 혼란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본문에서 말하는 ‘새김질’은 해부학적인 용어가 아닙니다. 소처럼 계속해서 입을 오물거리는 습관을 가진 동물을 ‘새김질’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 이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을 만지지 말라(8절) :
부정한 짐승을 먹든지, 부정한 짐승의 죽은 사체를 만지는 자는 부정합니다. 그러므로 부정한 짐승이라도 살아 있는 것을 만지는 것은 부정하지 않습니다. 가령 약대가 부정한 짐승이라도 약대를 탄 사람은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죽은 약대를 만지면 그 날 밤까지 부정합니다.
2. 물에 사는 동물에 대한 규례(9~12절)
물에 사는 동물의 경우에는 비늘이 있고 지느러미가 있는 물고기는 먹을 수 있는 정한 짐승입니다. 그러나 비늘이나 지느러미 중 하나만 있을 경우에는 부정하여 먹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부정하다는 말보다 훨씬 강력하게 ‘가증하다’하고 말씀하셨습니다(12절). 비늘이 없는 것은 뱀을 닮았기 때문입니다.
3. 새에 대한 규례(13~19절)
새의 경우에는 난폭한 맹금류와 썩은 고기를 먹는 것을 먹을 수 없는 부정한 것이라 말씀하셨습니다.
- 어응(13절) : 솔개의 일종으로 죽은 고기를 먹습니다.
- 다마호스(16절) : ‘난폭자’라는 뜻을 가진 시체를 먹는 새
- 당아(18절) : 먹은 고기를 토해내어 새끼를 먹이는 펠리칸의 일종
- 올응(18절) : 독수리의 일종
4. 곤충에 대한 규례(20~23절)
곤충에 대한 규례는 메뚜기처럼 날개가 있고, 네 발과 뛰는 두 다리를 가진 곤충은 먹을 수 있는 정한 짐승이고, 네 발이 아니거나 뛰는 두 다리를 가지지 않은 것은 먹을 수 없는 부정한 짐승입니다.
5. 부정한 짐승의 주검을 만지지 말라(24~28절)
부정한 짐승의 주검을 만지는 자는 그날 저녁까지 부정합니다. 그러므로 만일 부정한 짐승을 옮긴 자들은 그 옷을 빨고 그 날 저녁까지 부정하게 됩니다. 쪽발이 아니거나 새김질을 하지 않거나 발바닥으로 다니는 짐승의 주검을 만진 자들은 저녁까지 부정합니다.
- 발바닥으로 다니는 것(27절) :
개과나 고양이과의 짐승들처럼 쪽발이 아닌 짐승을 말합니다.
* 묵상 point
1. 짐승에 대한 정결법(결례법)
하나님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세상의 있는 모든 짐승들 중에서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을 구별하여주셨습니다. 이것을 짐승에 대한 정결법(결례법)이라고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신실한 삶을 살게 하기 위해 이렇게 실생활에서 정한 음식과 부정한 음식을 정하여 주셨습니다.
거룩이란 ‘분리된’, ‘구별된’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죄에 속한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을 정하셔서 먹고 마시는 중에도 하나님의 백성답게 살라고 하신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오랜 세월을 지나도록 이방 문화에 동화되지 않고 그 신앙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먹고 마시는 것까지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았기 때문입니다.
2. 정한 짐승
1) 육지의 짐승의 경우엔 온순한 초식동물인 소가 기준이 됩니다. 그래서 소처럼 새김질을 하고, 쪽발을 가진 동물을 정한동물이라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에서 새김질은 해부학적으로 말한 것이 아니라, 소처럼 늘 입을 오물거리는 짐승을 말합니다.
2) 물고기는 지느러미와 비늘을 모두 갖춘 것이 정한 짐승입니다. 이런 것은 물의 중간에서 살아 더러운 것에 오염되지 않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3) 새의 경우엔 비둘기처럼 온순하고 곡물을 먹는 것이 정한 것입니다.
4) 곤충의 경우 메뚜기처럼 깨끗한 곳에 살며 풀을 먹는 것이 정한 것입니다.
3. 부정한 짐승
1) 우상숭배와 관련되어 있거나 이방종교에서 제물로 취급하는 동물
하나님께서는 우상숭배에 빠지지 않고, 세상의 이방 문화에 동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상숭배와 관련이 있거나, 이방 종교에서 제물로 취급하고 있는 동물을 가증한 것으로 여기셨습니다.
2) 잔인하고 포악한 이미지를 가진 동물
사자와 호랑이 같은 맹수들, 독수리와 매와 같은 맹금류를 먹을 수 없는 부정한 것으로 정하신 것은, 생명과 평화를 사랑하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3) 더러운 음식나 썩은 고기를 먹는 동물
새와 곤충들 중에 더러운 음식이나 썩은 고기를 먹는 짐승들을 먹을 수 없는 부정한 것으로 정하셨습니다. 이것은 영과 육이 정결함을 얻게 하기 위함입니다.
4) 하나님께서 특별히 가증히 여기시는 동물
하나님께서는 특히 뱀을 닮은 동물들(비늘이 없거나 지느러미가 없는 물고기)을 가증히 여기셨습니다. 이것은 악은 그 모양이라도 따르지 말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적용 : 우리는 이들처럼 음식을 가려먹을 필요는 없으나 이방문화에 물들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답게 신실하게 살아가야 하는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그런즉 너희가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고린도전서 10:31).
4. 참된 예배를 드리도록 하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이런 부정한 짐승들을 먹었거나 그 짐승의 주검을 만졌다면 그 날이 지나기까지 부정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부정을 벗기 전에는 예배나 제사 등 일체의 종교적 모임에 참여할 수 없고, 이웃과의 교제도 일절 금지됩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적어도 예배를 드리기 전 하루 동안은 이런 부정한 것에 접촉되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것입니다.
예배를 드리기 전날인 토요일은 예배를 준비하는 날로 정하십시오. 오늘날에는 사람이 먹는 음식으로 부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그가 하는 행동이나 생각으로 부정하여진다고 예수께서 말씀하셔주셨습니다. 그러므로 토요일에는 주일 예배를 위해 목욕을 하여 몸을 정결하게 하고, 정결한 말과 행동과 생각을 하여 영을 정결케 합니다. 그리고 내 마음에 남은 죄의 찌거기를 제거하여 주시도록 기도하며 주일을 준비한다면 주일 예배를 드릴 때마다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날 것입니다.
● 적용 : 하나님께서 그 예배를 받으실지 받지 않으실지는 예배가 시작될 때 이미 절반은 정해진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예배에 임하는 실수를 범하지 마십시오.
* 기도제목
1. 우상숭배나 죄악된 세상에 휩쓸리거나 동화되어 살지 않게 하옵소서.
2. 생명과 평화를 사랑하고 착한 성품을 가진 신실한 성도들이 되게 하옵소서.
3. 예배 전에는 예배를 준비하고, 예배드릴 때에는 온 몸과 마음을 다해 예배드려서
주께서 받으시는 참된 예배를 드리게 하옵소서.
'***신구약 성경강해*** > - 레위기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10장 1-11절, 나답과 아비후가 죽다 (0) | 2019.07.25 |
---|---|
레위기 10장 12-20절 연구, 제물을 먹는 제사장의 책임 (0) | 2019.07.25 |
레위기 11장 29-47절,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구분 (0) | 2019.07.25 |
레위기 12장 1-8절 , 산모의 정결에 관한 규례 (0) | 2019.07.25 |
레위기 13장 1-8절, 문둥병, 나병 규정 (0) | 2019.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