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후서 개관
변 종 길 교수 고려신학대학원 신약학 ( , )
고린도와 고린도 교회I.
고린도의 지리와 역사1.
아가야 의 중심도시인 고린도는 헬라 반도 남단의 펠로폰네소스 (Achaia) (Pelopponesus) 쪽에 자리잡은 항구 도시로서 국제 무역이 성행하였다 고린도는 세 항구를 가지고 있었는 . 데 서쪽 항구는 레카이움 이고 동쪽 항구는 겐그레아 였다 행 , (Lechaeum) (Cenchreae) ( 롬 고린도는 주전 년에 로마의 뭄미우스 에 의해 파괴되었 18:18, 16:1). 146 (L. Mummius) 으나 주전 년 또는 년 에 율리우스 카이사르 에 의해 재건되어 로마의 , 46 ( 49 ) (Julius Caesar) 해방 노예들이 거주하였다 고린도에는 많은 종족들이 있었으며 이들은 자기들의 종교를 . , 가지고 들어왔다 그리하여 고린도는 향락과 타락의 도시였으며 많은 민족과 종교의 도시였 . 다.1) 다른 항구 도시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린도는 빈부차가 심하였다 항구도시의 또 다른 특 . 징으로 고린도는 가능한 한 든 영역에서 자유로웠으며 종교 생활도 자유로웠다 그래서 . 고린도에는 핍박 에 대한 말이 없다 물론 고린도 체류 말기에 유대인들에 의한 소요가 있었 ‘ ’ ( 기는 하지만 그리고 고린도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살고 있었다 의 기록 ). (Philo, Justinus ; cf.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부부 고린도에는 유대인들의 회당이 있었다 행 장 ). ( 18 ). 고린도는 로마의 아가야 주의 수도였으며 아가야는 원로원 관할의 속주였다 사도 바울 , . 은 갈리오 가 아가야 총독 되었을 때 고린도를 떠났다고 한다 행 갈리오는 (Gallio) ( 18:12). 유명한 세네카(Seneca)2)의 형제였다.
델피 에서 비문 이 하나 발견되었는데 그 비문은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Delphi) ( ) , (Claudius) 碑文 델피 시에 보내는 편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편지에서 그는 번째로 집정관 . 26 (aujtokravtwr, 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유니우스 갈리오 가 아가야의 총독 imperator) . (Junius Gallio) (ajnquvpato", 으로 다스리고 있었다고 한다 proconsul) .3) 다른 자료들에서 탐구해 볼 때 클라우디 우스의 번째 집정관 임기는 주후 년 상반기에 시작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그때에 갈리오가 26 52 .
1) Cf. F. W. Grosheide,
D e e e r s t e b r i e f a a n d e k e r k t e K o r i n t h e ,
2e druk (Kampen: J. H. Kok, 1957), 7. 2) 는 원래 였는데 에 의해 입양된 후 L. Annaeus Seneca L. Annaeus Novatus , L. Junius Gallio L. Junius 라 불리게 되었다 Gallio (cf.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9). 3)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9.
2
아가야의 총독이 되었다. 그런데 원로원 관할 주의 총독들은 임기가 년이었으며 그들은 항해하기가 좋은 상반기 중에 1 , 로마를 떠나야만 했다 따라서 우리는 갈리오가 상반기 중에 예를 들어 월이나 늦어도 월 중 . , 4 5 에 고린도에서 그의 직무를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그의 총독직은 년 상반기부터 , . 51 년 상반기까지 또는 년 상반기부터 년 상반기까지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클라우디 52 , 52 53 . 우스의 번째 집정관 임기가 년 월 이전에 시작하므로 첫 번째 것 년 상반기 년 상 27 52 8 , (51 ~52 반기 이 매우 그럴 듯하다 ) .4) 행 에 보면 갈리오가 아가야의 총독으로 있을 때 18:12 “ ...”(Gallivwno" de; ajnqupavtou o[nto" th'" !Acaiva", ... 라고 되어 있다 이 표현을 보면 여태까지 일어난 일들은 갈리오가 아가야의 ) . , 총독이 되기 전의 일임을 시사한다 갈리오가 아가야의 총독으로 부임하고 나서 얼마나 있다가 . 유대인들이 일어나서 고소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리 오랜 시간이 지난 것 같지는 않다 이런 , . 저런 불확실성은 있지만 어쨌든 바울은 주후 년 하반기에 고린도를 떠난 것으로 보이며 따라 51 , 서 그는 이보다 년 개월쯤 전인 주후 년 상반기에 고린도에 왔다고 볼 수 있다 1 6 50 .5) 한편 판 브루헌 교수는 행 의 사건을 주후 년 월 월 로 본다 (J. van Bruggen) 18:12 51 4-5 (7 ) .6) 그래서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그리고 바울이 고린도에 도착한 시점을 주후 년 월 월 , 49 (8 )10 -11 월로 본다.7) 왜냐하면 주후 년에 들어와서 그리고 선박 항해 계절이 지난 후에야 비로소 전 50 , 년도에 일어난 추방령을 바울이 뉴스인 양 듣는다는 것은 맞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8) 그러나 행 에 보면 바울이 이들 부부로부터 글라우디오의 추방령을 들었다고 되어 있지 않고 그냥 18:2 , 기록자인 누가 자신의 설명으로 그들이 고린도에 온 이유를 기록하고 있을 따름이다 어쨌든 바 . 울이 고린도에 도착한 시점은 년 말 년 상반기가 될 것이다 49 ~50 .
고린도 교회의 형편2.
사도 바울은 차 선교여행 때 고린도에 와서 년 반 동안 거하면서 복음을 전하였다 행 2 1 ( 바울이 떠난 후에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아볼로가 이곳에 와서 복음을 전하였다18:1-11). 행 그러자 바울을 따르는 자들과 아볼로를 따르는 자들 사이에 분쟁이 생기게 되었 ( 19:1). 으며 그러자 또 게바 파와 그리스도 파도 생나게 되었다 이처럼 고린도 교회는 파당이 , . 심한 교회였다 고전( 1:12 ). 뿐만 아니라 고린도 교회는 음행의 문제가 심각하였다 고전 장 심지어 자기 아버지의 ( 5 ). 아내를 취하는 괴악한 일도 있었다 절 그런데도 불구하고 고린도 교회가 그런 사람을 물 (1 ). 리치지 아니하였다고 책망한다 절 그 외에도 송사 문제 고전 장 결혼과 독신 문제 고 (2 ). ( 6 ), ( 전 장 우상 제물 문제 고전 장 여자들 머리에 쓰는 문제와 성찬 문제 고전 장 은 7 ), ( 8 ), ( 11 ), 사 문제 고전 장 성도의 부활 문제 고전 장 등 복잡한 문제들이 많이 있었다 ( 12-14 ), ( 15 ) .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그들을 가리켜 하나님의 교회 라고 부르고 있으며 그리스도 ‘ ’ , “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 이라고 부르고 있다 고전 이처 ” ( 1:2). 럼 하나님께서는 자기 피로 값 주고 사신 교회를 사랑하고 아끼시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II.
4)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9.
5)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9f.
6) J. van Bruggen,
“ N a v e e r t i e n j a r e n ” . D e d a t e r i n g v a n h e t i n G a l a t e n 2 g e n o e m d e o v e r l e g t e
Jeruzalem
(Kampen: J. H. Kok, 1973), 54. 7) Van Bruggen, “ N a v e e r t i e n j a r e n ” , 54. 8) Van Bruggen, “ N a v e e r t i e n j a r e n ” , 54.
3
고린도후서의 저자는 고린도전서의 저자와 동일한 사도 바울이다 고후 하지만 ( 1:1, 10:1). 바울은 디데 의 이름을 발신인으로 같이 넣어 주었다 고후 이 사실은 디데 가 고 ‘ ’ ( 1:1). ‘ ’ 린도후서의 공동 저작자라는 뜻은 아니며 바울과 함께 있으면서 고린도 교회를 위해 은혜 , 와 평강이 있기를 비는 공동 기원자 임을 나타낸다 ( ) . 祈願者 9) 이 사실은 바울이 고린도후서 를 쓸 때에 디데가 함께 있었음을 나타내 준다 디도도 이 때 바울과 함께 있었는데 고후 . ( 발신인에 그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것은 그가 이 편지를 직접 고린도에 가지고 갈7:6), 것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고후( 8:16-18, 23).10)
고린도전서 에서 바울은 이를 인하여 내가 주 안에서 내 사랑하고 신실한 아들 디데를 4:17 “ 너희에게 보내었다 고 한다 여기서 보내었다 ” . ‘ ’(e[pemya 는 단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것 ) 이 중요하다 만일 이것이 서신상의 아오리스트 . ‘ ’(epistolary aorist)11)라면 바울이 이 편지를 쓸 때 디데는 곁에 있었다 그리고 디데가 이 편지를 가지고 갈 것이다 . . 그러나 흐로쉐이드 에 의하면 이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다 (F. W. Grosheide) , .12) 왜냐하면 디데는 고린도에 잘 알려진 인물인데 행 고린도전서의 다른 어디에서도 그의 이름을 언 ( 18:5), 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발신인에도 없고 문안에도 없다 물론 사람들은 다르게 생각할 수도 . . 있을 것이다 곧 디데가 이 편지를 가지고 갈 것이기 때문에 인사말에서 그의 이름을 말하지 . , 않았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흐로쉐이드에 의하면 이 논리는 맞지 않다고 한다 왜냐하면 . . 고린도전서 에서 만일 디데가 오면 16:10 “ ”(eja;n de; e[lqh/ Timovqeo" 이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디 ) , 데가 이미 고린도를 향하여 가고 있으며 바울 곁에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디 . 데가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언제 고린도에 도착할지 바울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그의 편지 , 가 디데보다 먼저 고린도에 도착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13) 사도행전 에 보면 바울은 자기를 돕는 사람 중에 디데와 에라스도 두 사람을 마게도 19:22 , “ 냐로 보내고 자기는 아시아에 얼마간 있으니라 고 말한다 그렇다면 디데가 이때 마게도냐를 .” . 거쳐 고린도를 향하여 갔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바울은 아시아 에베소 에서 디데를 에라스 . ( ) 도와 함께 보내어 놓고서 고린도전서를 기록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고린도전서 의 디 . 16:10 “ 데가 올 때에 라는 표현도 고린도전서 의 보내었다 가 역사상의 아오리스트 보통의 아오 ” 4:17 ‘ ’ ( 리스트 임을 시사해 준다 만일 디데가 직접 편지를 가지고 갔다면 디데가 올 때에 라는 표 ) . “ ” 현은 쓰기 어려웠을 것이다.
기록 연대와 장소III.
바울은 에베소에서 드로아로 가서 고후 마게도냐에 도착하였다 절 디도가 고린 ( 2:12) (13 ). 도에서 기쁜 소식을 가지고 마게도냐로 돌아왔다 고후 그때 바울이 이 편지 ( 7:5-6, 7, 13). 를 썼는데 이것을 디도가 다시 고린도로 가지고 갈 것이었다 고후 바울이 마게 , ( 8:16-24). 도냐의 어느 장소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14) 빌립보에서 기록했다는 견해도 있지만,15) 확
9) 고후 의 문장은 동사가 생략되었지만 은혜와 평강이 있기를 원한다 는 기원문 이다 생략된 동사 1:2 “ ” ( ) . 祈願文 는 대개 ei[h 또는 plhqunqeivh 벧전 벧후 로서 희구법 동사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전 ( 1:2, 1:2) ‘ ’ . 16:24 끝에서 사본 세기 은 명령법 동사인 G (9 ) genhqhvtw genhqhvtw를 가지고 있다. 10)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그렇다면 고후 의 나아갔 II (Kampen: J. H. Kok, 1949), 68. 8:17 ‘ 다’(ejxh'lqen 를 서신상의 아오리스트 로 보는 것이 된다 ) (epistolary aorist) . 11) 발신자에게 현재 있는 일에 대해 수신자의 입장에서 이미 일어난 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12)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134. 13)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134.
4
실하지는 않다. 고린도후서의 기록연대에 대해서도 확실히 알 수는 없다 흐레이다너스는 확실히 알 수 . 없다고 하면서도 대략 년경으로 본다 그러면서 년 이르거나 늦은 것은 별 문제 없다고 55 . 1 한다.16)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년경은 너무 빠르다고 생각된다 그러면 고린도전서의 기 55 . 록연대는 더욱 빨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알로 는 고린도전서에 대해서는 년경 . (E. B. Allo) 55 에 기록되었다고 보는데 고린도후서에 대해서는 년경으로 본다 왜냐하면 고린도후서 , 57 . 과 의 8:10 9:2 ajpo; pevrusi 년 전에 작년부터 라는 표현이 고린도전서와 후서 사이에 상당 (1 , ) 한 시간 경과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고린도전서와 후서 사이에 일어난 사건들이 적어도 , 1 년 반의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17) 그러나 정확하게 얼마나 기간이 경과하였는지는 알기 어렵다 바우어 사전에 . (W. Bauer) 의하면, ajpo; pevrusi에 대해 년 전에 와 작년부터 라는 두 ‘1 ’(a year ago) ‘ ’(since last year) 가지 의미를 주고 있다.18) 한스 리츠만 은 (Hans Lietzmann) ajpo; perv usi를 전년에 ‘ ’(im 로 보면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고린도 교회의 금활동은 고린도전서 이 Vorjahre) . 16:8 보여 주듯이 오순절 무렵에 시작되었다 유대 캘린더는 당시의 동방 율리안 캘린더 바울 당 . - ( 시에 일반적인 체계 와 마찬가지로 새해는 가을에 시작되므로 고린도후서는 고린도전서 이 ) , 후 당해 가을부터 이듬해 가을 사이의 시기에 쓰여졌다.19) 그렇다면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 서 사이의 간은 개월 년 개월 정도가 될 것이다 6 ~1 6 . 같은 맥락에서 ajpo; pevrusi라는 표현을 가지고 계산을 시도한 흐로쉐이드(F. W. 도 정확한 연도 계산은 어렵다고 하면서 고린도후서는 고린도전서 년 후에 기Grosheide) , 1 록되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면서 고린도전서를 만일 년 또는 년에 기록되었다고 본다 . 54 55 면 고린도후서는 년 사이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본다 , 55-57 .20) 껄러르스 는 고린 (J. Keulers) 도후서의 저작 시기에 대해 대개 년말 또는 년초로 본다고 한다 56 57 .21) 따라서 고린도후서의 저작 시기는 대략 년경으로 보는 것이 무난해 보인다 왜냐하면 57 . 차 선교여행 기간을 일반적인 견해를 따라 년으로 본다면3 53-58 ,22) 년 울은 고린도에 57 서 보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행 그렇다면 바울이 에베소를 떠난 것은 년 상반 ( 20:2-3). 57 기경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바울이 드로아를 거쳐 마게도냐에 이르렀을 때에 디도 . 가 기쁜 소식을 가지고 왔으며 그 때 고린도후서를 썼다 그렇다면 그 때는 대략 년 여 , . 57 름경이 될 것이다.
14) Greijdanus,
B i z o n d e r C a n o n i e k ,
II, 68f.
15) Cf. J.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Roermond en Maaseik: J. J. Romen & Zonen, 1953), 319.
16)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69.
17) E. B. Allo,
S e c o n d e E p i t r e a u x C o r i n t h i e n s ,
1937, pp. LVII-LX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에서 재인 69 ). 18) W. Bauer, A G r e e k - E n g li s h L e x i c o n o f t h e N e w T e s t a m e n t a n d o t h e r E a r l y C h r i s t i a n L i t e r a t u r e ,
3rd
ed. (Chicago and London: Univerisity of Chicago Press, 2000), s.v. pervusi. 19) H. Lietzmann, A n d i e K o r i n t h e r I · I I , ergänzt von W. G. Kümmel (Tübingen: J. C. B. Mohr, 1969), 135. 20) F. W. Grosheide, D e t w e e d e b r i e f a a n d e k e r k t e K o r i n t h e , 2e druk (Kampen: J. H. Kok, 1959), 236. 21)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319. 22) 는 바울의 제 차 전도여행 기간을 년으로 본다 요하난 아 Yohanan Aharoni-Michael Avi-Yonah 3 53-57 . Cf. 하로니 미카엘 아비요나 아가페 성서지도 서울 아가페출판사 한편 는 년 - , ( : , 1993), 155. Bo Reicke 54-58 「 」 으로 본다. Cf. B. Reicke, N e u t e s t a m e n t li c h e Z e i t g e s c h i c h t e (Berlin: W. de Gruyter, 1982), 221.
5
고린도전서는 바울이 차 선교여행 중 에베소에 머무르고 있을 때 기록하였다 고전 아 3 ( 16:8). 마도 에베소에서 소요 행 가 일어나기 전에 기록한 것으로 생각된다 ( 19:23-41) . 껄러르스 는 고린도전서의 저작 시기를 년 봄으로 본다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Keulers) 55 . 사이에 내상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제법 시일이 경과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 , . 들이 고린도전서 의 오순절까지 머물고자 한다 는 말에 근거해서 바울의 에베소 체류가 끝 16:8 “ ” 날 무렵에 기록했다고 보지만 즉 년 또는 년 이 구절은 결정적인 것이 못 된다고 한다 바 ( 56 57 ), . 울은 처음에는 그렇게 계획했지만 에베소에서 계속 복음이 잘 전파되어서 년 정도 더 머물렀을 , 2 것이다.23) 흐레이다너스는 고린도전서의 저작 시기에 대해 여러 요인들 때문에 정확하게 확실히 말할 수 , 는 없지만 그리고 약간의 오차 범위를 두어야 하겠지만 그래도 대략 년 유월절 경으로 볼 수 , , 54 있다고 한다.24) 흐로쉐이드도 마찬가지로 년 상반기에 늦어도 년 상반기에 기록되었다고 54 , 55 본다.25) 그러나 이 시기는 너무 빠르다고 생각된다 차 선교여행의 시작을 년으로 본다면 갈라디아 . 3 53 , 와 브루기아 땅을 차례로 다니며 제자들을 굳게 하고 행 윗 지방을 다녀 에베소에 ( 18:22-23), 와서 행 년 개월 가량을 에베소에 머물렀다면 행 에베소를 떠날 때의 시 ( 19:1) 2 6 ( 19:10, 20:21), 기는 대략 년경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고린도전서를 기록한 시기는 년말 년경으로 보는 56 . 55 ~56 것이 좋을 것이다. 차 선교여행으로부터 계산해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온다 바울이 고린도에 처음 도착한 때는2 . 년 상반기50 26) 또는 년 월경이다 49 10-11 .27) 그런데 바울은 고린도에 년 개월을 머물렀다고 1 6 한다 행 그렇다면 바울이 고린도를 떠난 때는 년 중반 또는 하반기쯤 되었을 것이다 ( 18:11). 51 . 바울은 겐그레아에서 배를 타고 에베소에 들러 잠깐 있다가 작별하고 가이사랴에 상륙하여 예루 [ 살렘에 올라가서 안부를 물었다 행 이때가 대략 년경이었을 것이다 바울은 안디 ] ( 18:18-22). 52 . 옥에 내려가서 얼마 있다가 다시 선교여행을 떠났다 행 이것이 차 선교여행인데 바울 ( 18:23). 3 , 이 안디옥에 얼마나 오래 머물러 있었는지는 르지만 빠르면 년 늦어도 년경에 떠났을 것 52 53 이다 그러면 결국 위의 연도와 거의 같게 나오게 된다 . . 따라서 결론적으로 고린도전서는 년경 또는 년말경 에 기록된 것으로 생각된다 년은 56 ( 55 ) . 57 조금 늦은 듯하다 년 연말은 고린도에서 보내었을 것이다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사이에 . 57 . 중간방문 이 있었고 중간편지 가 있었다면 적어도 년 정도의 간을 두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 ‘ ’ ‘ ’ 1 된다 그러나 확실히 알 수는 없다 . .
바울의 고린도 교회 중간방문 IV. ‘ ’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사이에 중간방문 이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바울은 고린도 ‘ ’ . 후서 에서 이제 세 번째 너희에게 가기를 예비하였다 고 한다 그리고 에서 내 12:14 “ .” . 13:1 “ 가 이제 세 번째 너희에게 갈 터이니 라고 말한다 여기서 우리는 두 번째 방문에 대해 ...” . , 바울이 계획을 세웠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 그랬더라면 바울은 왜 그랬었는지에 대해 이유를 설명했을 것이다 살전 롬 (cf. 2:18, 1:10, 여기에 아무런 설명이 없이 세 번째 너희에게 갈 것 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을 보 15:22). “ ” 니 바울이 실제로 두 번째 방문을 했었다고 보아야 한다 , .28) 고린도후서 의 지금 떠나 13:2 “
23)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179.
24)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46.
25)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26.
26)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9f.
27) Van Bruggen,
“ N a v e e r t i e n j a r e n ” ,
54.
28)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0.
6
있으나 두 번째 대면하였을 때와 같이 라는 표현도 두 번째 고린도 방문이 실제로 있었다는 ” 것을 말한다.29) 고린도후서 은 분명히 바울이 두 번 고린도에 있었으며 이제 세 번 13:1-2 , 째 가려고 하는 시점에 있었음을 말해 준다.30) 사도행전이 바울의 고린도 중간방문에 대해 아무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중요한 논거가 되지 못한다 그런 침묵으로부터의 논증 은 아무런 효력도 . ‘ ’(argumentum a silentio) 없는데 왜냐하면 바울의 차 방문 후에 고린도 교회에 생겼던 많은 어려움들에 대해 사도 , 1 행전은 아무 말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31) 그러면 사도 바울의 중간방문 곧 두 번째 방문은 언제 있었던 것일까 물론 사도행전 ? 18 장의 고린도 방문 이후임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그 방문은 첫 번째 방문이기 때문이다 첫 . . 번째 방문은 대개 년 년경에 있었던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그때 바울은 고린도에서 49 /50 . 로마에서 온 유대인 부부 아굴라와 브리스길라를 만났는데 이들은 글라우디오가 유대인들 , 을 명하여 로마에서 떠나라 하여서 로마를 떠나 고린도에 왔기 때문이다 행 그런 ( 18:1-2). 데 글라우디오가 유대인들을 로마에서 떠나라고 추방령을 내린 것은 년 월 년 월 49 1 ~50 1 사이이다.32) 그렇다면 아굴라와 브리스길라가 고린도에 도착한 것은 대략 년경으로 볼 49 수 있다. 그렇다면 바울의 두 번째 방문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하기 이전이거나 고린도전서와 고린도 후서 사이일 수 있다 테오돌 찬 은 고린도전서를 기록하기 전 에 에베소 . (Theodor Zahn) ( ) 前 사역의 초기에 두 번째 방문이 있었다고 본다.33)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흐로쉐이드에 의하 면 유지될 수 없다고 한다 왜냐하면 고린도전서에 보면 사도 바울과 고린도 교회 사이에 . 매우 빈번한 소통과 문서 교환이 있었음을 말하며 또한 교회 설립에 (1:11, 5:9, 7:1, 16:17) 대해서도 말하는데 고린도전서 이전에 바울이 또 한 번 더 고린도를 방문 (2:1, 4:15, 15:1), 하였다면 그것에 대해 전혀 말하지 않는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34) 바울이 고린도전서 이후에 고린도를 방문하였다면 이 방문은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 사이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고린도 교회의 비통한 상황이 바울로 하여금 에베소에서 배를 . 타고 고린도를 짧게 방문하도록 만들었을 것이다.35) 이런 맥락에서 고린도후서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서 바울은 내가 다시 근심으로 2:1 . “ 너희에게 나아가지 않기로 스스로 결심하였다”(e[krina ga;r ejmautw'/ tou'to to; mh; pavlin ejn luvph/ pro;" uJma'" ejlqei'n 고 말한다 중간방문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여기의 ) . pavlin을 ejlqei'n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것은 본문의 단어 순서를 무시하는 것이다 본문에서 . . pavlin은 ejn luvph/ 바로 앞에 있다 따라서 바울의 의도는 다시 가지 않기로 결심하였다 는 것이 아니라 . “ ” 다시는 슬픔 가운데 가지 않기로 결심하였다 는 것이다“ ” . 슬픔 가운데 나아간 것 은 사도행전 장의 방문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 첫 번째 방문 ‘ ’ 18 .
29)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8.
30)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9.
31)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9. 32) 유대인 추방령은 제 년에 있었는데 제 년은 주후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 사이이다 Claudius 9 , 9 49 1 25 50 1 24 . Cf. Van Bruggen, “ N a v e e r t i e n j a r e n ” , 53f. 33) Th. Zahn, E i n l e i t u n g i n d a s N e u e T e s t a m e n t , 3. Aufl. (Leipzig: Deichert, 1906/1907), I, § 17 A. 14 은 이 두 번째 방문이 바울의 에베소 사역 첫째 해에 아마도 년 여름이나 가을 또는 년(p.195). Zahn , 55 56 봄에 있었다고 본다 이 방문이 있고 나서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 개월이나 개월쯤 고린도전서를 기록했 . (12 20 ) 기 때문에 고린도전서에 이 방문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본다. 34)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9f. 35)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0.
7
때에도 바울은 마음이 편치 않았지만 그것은 고린도 교회 때문이 아니라 갑자기 떠나온 데 , 살로니가 교회가 믿음에 바로 서 있는지 염려가 되어서 그랬던 것이었다 그래서 바울은 아 . 테네에 있을 때 참다못하여 디데를 데살로니가로 보내었으며 바울이 고린도에 왔을 때에 , 디데가 돌아와서 기쁜 소식을 전하였다 살전 따라서 이것은 고린도 교회 때문에 ( 3:1-8). 그러했던 것이 아니며 고린도 교회와 관련된 문제가 아니었다 바울은 항상 여러 교회들을 . 위한 염려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후 그래서 늘 힘써 기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 11:28), . 여기서 바울이 슬픔 가운데 나아갔다 는 것은 고린도 교회에 아주 비통한 문제가 있어서 ‘ ’ 슬픔 가운데 나아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것은 제 차 방문 후의 두 번째 방문으 . 1 로 보아야 할 것이다.36) 흐레이다너스도 같은 취지로 말한다.37) 그는 또한 고린도후서 의 말씀도 너희를 1:23 -- “ 아끼려 하여 내가 더 이상 고린도에 가지 않았다”(feidovmeno" umJ w'n oujkevti h\lqon eij" Kovrinqon 바울이 두 번째 방문을 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본다 ) -- .38) 이 두 번째 방문 은 슬픔 가운데 나아간 방문일 것이며 에베소에서 고린도로 가서 짧게 머물렀을 것이 ‘ ’ , 다.39)
중간편지V.
바울의 고린도 중간방문 뿐만 아니라 중간편지 또는 눈물의 편 ‘ ’ ‘ ’(Zwischenbrief) ‘ 지 를 말하는 사람들도 많다 ’(Tränenbrief) .40)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정경인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외에도 편지 들 를 보내었는데 결정적인 구절은 고린도후서 이라고 한다 ( ) , 2:3-4 . 내가 이같이 쓴 것은 내가 갈 때에 마땅히 나를 기쁘게 할 자로부터 도리어 근심을 얻을까“ 염려함이요 또 너희 무리를 대하여 나의 기쁨이 너희 무리의 기쁨인 줄 확신함이로라 내가 . 큰 환난과 애통한 마음이 있어 많은 눈물로 너희에게 썼노니 이는 너희로 근심하게 하려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내가 너희를 향하여 넘치는 사랑이 있음을 너희로 알게 하려 함이라 여 .” 기서 큰 환난과 애통한 마음이 있어 많은 눈물로 너희에게 쓴 편지는 고린도후서가 아니 “ ” 라고 한다 왜냐하면 고린도후서는 기쁨의 분위기가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후 . (cf. 7:6 ).41) 그리고 고린도전서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 왜냐하면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 많이 책망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교회에 대해 특별한 불안한 염려를 보여 주지는 않기 때 , 문이라고 한다.42) 따라서 고린도후서 이 말하는 편지는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사이의 편지로 보아야 2:4 한다고 말한다.43) 이 중간편지는 바울과 고린도 교회 사이의 편지 교환에 있어서 바울이 고 린도 교회에 보낸 세 번째 편지라고 한다.44) 이 중간편지는 중간방문 후에 보내어졌다고 한
36)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0.
37)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0f.
38)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0.
39)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1.
40) P. Feine-J. Behm,
E i n l e i t u n g i n d a s N e u e T e s t a m e n t ,
8. Aufl. (Leipzig: Quelle & Meyer, 1936),
153f. 41)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
42)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
43)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
44)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그러면 첫 번째 편지는 고전 의 음행하는 자들을 사귀지 말라 고 한 편 12. 5:9 “ ”
지가 된다.
8
다.45) 이러한 사실은 고린도후서 장 절과 절에 의해서도 증거된다고 한다 절에서는 그 7 8 12 . 8 “ 러므로 내가 편지로 너희를 근심하게 한 것을 후회하였으나 지금은 후회하지 아니함은 그 편 지가 너희로 잠시만 근심하게 한 줄을 앎이니 라고 말한다 고린도 교회를 근심하게 한 편 ” . 지는 고린도전서가 아니며 고린도전서 에서 말한 편지도 아니며 바울이 중간방문을 하 , 5:9 , 고 난 후에 쓴 편지라고 한다.46) 그 때에 바울은 비통한 경험을 했었다 그런데 여기에서 . 우리는 그 중간편지가 잘 작했음을 읽게 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회개했기 때문이다 . . 고린도후서 장 절도 이 중간편지에 잘 맞다고 한다 그런즉 내가 너희에게 쓴 것은 7 12 . “ 그 불의 행한 자를 위한 것도 아니요 그 불의 당한 자를 위한 것도 아니요 오직 우리를 위 한 너희의 간절함이 하나님 앞에서 너희에게 나타나게 하려 함이로라 여기서 불의 행한 .” ‘ 자 는 고린도후서 장의 그 사람 근심하게 한 자 으로 본다 중간방문에 이은 중간편지는 ’ 2 ‘ ’( ) . 그 죄인을 위해 쓰여진 것이 아니라 고린도 교회를 위해 쓰여졌다고 한다.47) 흐레이다너스도 마찬가지로 중간편지를 말한다 그는 흐로쉐이드의 견해를 거의 그대로 . 따르고 있다.48) 곧 바울은 중간방문을 마치고 에베소로 돌아온 후에 눈물과 답답한 마음으 , 로 날카로운 편지를 썼다고 한다 고후 이 편지는 고린도전서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 2:4). . 고린도전서는 비록 많은 책망과 권면을 하고 있지만 또한 감사할 제들이 많았기 고전 ( 때문이라고 한다 큰 환난과 애통한 마음이 있어 많은 눈물로 고후 쓴 것은 고 1:4) . “ ”( 2:4) 린도전서에 맞지 않다고 한다.49) 그 외에도 논거들을 더 제시하고 있는데 흐로쉐이드가 말 한 것과 거의 같다.50) 가톨릭 주석가인 껄러르스 도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 사이에 중간방문 이 (J. Keulers) ‘ ’ 있었다고 보면서 또한 고린도전서 과 구별되는 중간편지 를 인정한다 고후 5:9 ‘ ’ ( 2:3,4,9; 그는 이것을 눈물의 편지 라고 부른다 7:8,12). ‘ ’(tranenbrief) .51) 고린도전서는 강하고 동 적인 편지이기는 하지만 눈물의 편지 의 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고 한다 이 중간편지는 ‘ ’ . 고린도후서 에서 볼 때 주로 고린도에서 행해졌던 불의 를 계기로 하여 쓰여졌다 7:12 ‘ ’( ) 不義 고 본다 바울은 이것에 대해 고린도 교회의 순종을 시험하고자 하였다 고후 그러나 . ( 2:9). 이 불의는 고린도전서 의 음행과는 다른 것이라고 본다 고린도전서를 쓰게 된 계기 5:1-5 . 는 이 음행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들이 있었지만 이 눈물의 편지 는 이 불의 가 유일한 또 , ‘ ’ ‘ ’ 는 주된 주제라고 본다.52)
기록 계기VI.
45)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
46)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
47)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12f.
48)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1-73.
49)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1. 50) 여기서 우리는 중간방문과 중간편지에 대한 의 견해가 의 견해가 거의 같다는 사실에 Greijdanus Grosheide 인상을 받는데 아마도 가 의 견해를 많이 참조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왜냐하면 , Greijdanus Grosheide . 의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제 권 이 년에 출판되었는데 그 이전인 년에 의 2 (II) 1949 , 1939 Grosheide 고린도전서 주석 제 판이 출판되었기 때문이다 신학교 교수 와 1 . S. Greijdanus(Kampen ) F. W. 자유대학 교수 는 대학 교수 과 함께 Grosheide(Amsterdam ) J. A. C. van Leeuwen(Utrecht ) Commentaar o p h e t N i e u w e T e s t a m e n t 씨리즈 주석 을 공동편집자로 협력하여 사 (Amsterdam: H. A. van Bottenburg) 역하였다. 51)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318. 52)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318.
9
껄러르스는 고린도후서의 기록계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바울은 그가 고린도에 . 서 당한 불의 고후 를 바로잡기 위해 고린도 교회가 이 불의 행한 자를 벌하기를 요 ‘ ’( 7:12) 구했다 그리고 디도를 보내어서 이 명령을 시행하도록 했다 고후 바울의 . (cf. 2:13, 7:6f.). 편지 중간편지 와 디도의 활동이 고린도 교회로 하여금 그들의 무관심에서 깨어나게 하였 ( ) 다 그들은 그 잘못한 자를 벌하였으며 디도에게 그들이 회개하고 복종하였다고 확신시켜 . , 주었다.53) 그러는 동안에 바울은 에베소를 떠나 드로아에 가서 복음을 전하면서 디도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그러나 디도가 오지 않자 바울은 마게도냐로 떠났다 디도는 좋은 소식을 가지고 . . 마게도냐로 와서 바울에게 소식을 전하였다 그러나 고린도 교회의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 . 좋지 않은 것들도 보고하였다 그래서 바울은 마게도냐에서 두 번째 정경인 편지 고린도후 . ( 서 를 썼다 그 불의가 바로잡아졌기 때문에 바울은 그가 약속한 고린도 방문 고전 ) . (cf. 을 이행하려고 한다 바울은 그 벌 받은 자를 서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또한 여러 16:5f.) . . 가지 풀어야 할 오해들도 있었다 이를 위해 그리고 그의 방문을 준비하게 하기 위해 바울 . , 은 고린도후서를 써서 보내었다.54)
한편 흐로쉐이드는 고린도전서를 기록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55) 바울은 글로에의 집 편으로부터 고린도 교회의 소식을 듣고서 고전 고린도로 가려고 하였으나 갈 ( 1:11) 수 없어서 디데를 보내었다 고전 행 그때 고린도로부터 서면 답변을 요청하 ( 4:17; cf. 19:22). 는 질의 편지가 도착하였다 그래서 고린도전서를 써서 보내었는데 그 시점은 에베소에서 소요 . , 가 일어나기 전이었을 것이다 고전 에도 보면 바울은 오순절까지는 에베소에 머물고자 한다 . 16:7 고 평안하게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급하게 에베소를 떠날 것에 대해서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 그 . . 런데 행 에 보면 바울이 소요 사태 후에 급히 에베소를 떠나 마게도냐로 간 것을 알 수 있 20:1 다 따라서 고린도전서는 바울의 에베소 체재의 끝 무렵 소요 사태 이전에 기록되었다고 볼 수 . , 있다.
실행되지 않은 여행 계획VII.
고린도후서 에서 바울은 실행되지 않은 계획에 대해 말한다 내가 이 확신을 가 1:15-16 . “ 지고 너희로 두 번 은혜를 얻게 하기 위하여 먼저 너희에게 이르렀다가 너희를 지나 마게도 냐에 갔다가 다시 너희에게 가서 너희가 보내줌으로 유대로 가기를 경영하였으니 바울은 ”. 먼저 에베소에서 배를 타고 바로 고린도에 갔다가 고린도에서 마게도냐로 갔다가1) , 2) , 3) 마게도냐에서 다시 고린도에 가서 고린도에서 유대로 가기로 계획하였다 즉 고린도를 , 4) . , 두 번 방문하려고 계획을 세웠었다 이 계획을 고린도 교회도 알고 있었는데 이 계획이 ‘ ’ . , 실행되지 않음으로 또는 변경됨으로 인하여 고린도 교회는 바울에 대해 좋지 않게 생각하고 있었다 곧 바울이 경박스럽게 행동한다거나 인간적으로 행한다고 비난하였다 고후 . , (cf. 1:17). 그러면 바울은 언제 이 계획을 세웠을까 그리고 고린도 교회는 어떻게 이 계획을 알게 ? 되었을까 이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흐레이다너스는 중간방문 이전에 있었다고 한다 ? , .56)
53)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319.
54)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 319.
55) Grosheide,
1 K o r i n t h i ë r s ,
26.
10
왜냐하면 이 중간방문 때에 바울과 고린도 교회 사이의 관계가 비통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눈물의 편지 가 뒤따랐다고 한다 고후 어쨌든 고린도후서 의 방문 계 ‘ ’ ( 2:4). 1:15-16 획은 고린도전서 의 계획 이전에는 세우지 않았다고 한다 왜냐하면 만일 그랬다면 16:5-7 . 바울은 그 변경에 대해 설명이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57) 그러나 우리는 이 계획 세움의 시점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고린도후서의 개요VIII.
고린도후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장이고 둘째 부분은 장이 . 1-7 , 8-9 며 셋째 부분은 장이다 첫째 부분에서 바울은 그의 경험 섬김 고린도 교회와의 관 , 10-13 . , , 계 중간방문과 중간편지 새 언약의 영광스러움 고린도 교회의 죄된 상태에 대해 말한다 , , , . 둘째 부분에서는 예루살렘 성도들을 위한 금활동에 대해 말한다 셋째 부분에서는 날카로 . 운 말들과 엄한 벌들에 대해 말한다.58) 바울은 이 셋째 부분에서 그의 대적자들을 직접 공 하며 그의 권위를 옹호한다.59) 파이네 벰 이 제시하고 있는 고린도후서의 내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 (Feine-Behm) 같다.60)
첫째 부분 장 A. (1-7 )
인사말 1. (1:1-2) 바울의 사도직과 설교 변호 및 최근에 있었던 일 아시아에서 있었던 위험에서 그를2. , 건져주신 것에 대한 감사(1:3-11) 여러 비난들과 오해들 해소 그의 계획 변경에 대해 3. . (1:12-24). 고린도 교회에 눈물로 쓴 편지 4. (2:1-4) 바울에게 불의를 행한 자에게 사랑을 나타낼 것을 권면함5. (2:5-11) 마게도냐에서 디도를 만나 좋은 소식을 들은 것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6. (2:12-17) 새 언약의 일꾼으로서의 그의 사도직의 영광스러움 옹호7. (3:1-4:6) 이 화의 직분이 이 세상에서 연약함과 비천함과 많은 고난 가운데 나타남 그래서8. . 천국의 완성을 소망함(4:7-5:21) 바울은 그의 직분을 든 곤경 가운데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이룸9. (6:1-10). 고린도 교회가 마음을 넓힐 것과 이방인의 것을 버리고 완전히 거룩한 것으로10. 돌아설 것을 권면함(6:11-7:4) 디도의 좋은 소식이 바울에게 위로와 기쁨을 주었음 바울의 첫 번째 편지가 고린도11. . 교회에 회개를 불러일으켰음(7:5-16)
둘째 부분 장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연보 B. (8-9 ):
56)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6.
57)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7.
58) Greijdanus,
B i z o n d e r e C a n o n i e k ,
II, 74f.
59) Keulers,
D e b r i e v e n v a n P a u l u s ,
II, 319.
60) Feine-Behm,
E i n l e i t u n g i n d a s N e u e T e s t a m e n t ,
150f.
11
마게도냐 교회의 연보 활동 1. (8:1-6) 고린도 교회도 연보에 열심을 낼 것을 권함2. (8:7-15) 디도를 비롯한 형제들을 천거함 3. (8:16-9:5) 헌금에 대한 교훈 4. (9:6-15)
셋째 부분 장 대적자들의 비난에 대해 사도적 권위 변호 C. (10-13 ):
외적인 것으로 바울을 비난하는 자들에 대해 자신을 옹호함1. (10:1-11) 대적자들은 자기를 자랑하지만 바울은 주를 자랑함2. (10:12-18) 바울도 자랑할 것이 많음 3. (11:1-12:13) 바울의 임박한 고린도 방문 계획과 회개 권면 엄한 경고4. , (12:14-13:10) 맺음말 5. (13:11-13)
고린도후서의 중심사상IX.
중심사상 찾기의 어려움1.
고린도후서의 특징 또는 중심사상을 말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흐로쉐이드에 의하면 . ,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한다.61) 첫째로 고린도후서는 고린도 교회에 보낸 편지이 , 며 또한 고린도 교회와 관련한 온갖 종류의 문제들을 다루는 지극히 개인적인 편지이다 , . 그런데 고린도후서 에서는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와 또 온 아가야에 있는 든 1:1 “ 성도에게 라고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성을 띤다 연보에 대한 것을 비롯한 여러 가지 ” . . 일들이 단지 고린도에만 해당될 뿐 아니라 든 교회에 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다른 한 . 편으로 에서는 바울이 고린도 에 가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하며 에서는 고린도인 , 1:23 ‘ ’ , 6:11 “ 들이여 라고 말한다 이처럼 고린도후서에는 이런 이중성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중심사상을 ” . 말하기가 어렵다. 고린도후서에서 중심사상을 말하기 어려운 두 번째 이유는 이 편지는 분명하게 세 부분으 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 부분들은 내상 접촉점이 있기는 하지만 사실상 . , 거의 독립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고린도전서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들이 다루어졌다 그 . . 렇지만 거기서는 고린도 교회의 든 죄들은 하나의 근본 죄에서 나왔다고 밝히는 것이 가 능하였다 거기서는 그 든 다양성 가운데서도 통일성이 있었다 그러한 통일성이 고린도 . . 후서에서는 없다.
고린도후서의 중심사상2.
그렇지만 그래도 고린도후서에 어떤 주제가 있지 않을까 또는 그 세 부분은 공통되는 것 ? 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또는 일반적인 것과 개인적인 것이 어떤 점에서는 공통되지 않은 ? 가 이에 대해 우리는 다음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 .
61) 아래 내은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를 많이 참조하였다 (Kampen: J. H. Kok, 1959), 30f. .
12
위로1)
고린도후서의 두드러진 특징은 위로 이다 바울은 이 편지의 본문을 하나님의 위로 로부 ‘ ’ . ‘ ’ 터 시작한다 찬송하리로다 그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이시요 자비의 아버지시 . “ 요 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며 절 든 위로 라는 말이 바울이 하나님의 위로에 대해 얼 ”(3 ). ‘ ’ 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며 감사하게 여기고 있는가 하는 것을 나타내 준다 절은 계속해서 . 4 위로 에 대해 말한다 우리의 든 환난 중에서 우리를 위로하사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 ’ . “ 받는 위로로써 든 환난 중에 있는 자들을 능히 위로하게 하시는 이시로다 절도 계 .” 5-7 속해서 위로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절에서 바울이 아시아에서 당한 환난에 대해 말하 . 8-10 는 것도 그가 당한 환난 가운데서 하나님이 건지셨으며 그래서 큰 위로를 받았다는 것을 , 말하기 위함이다. 장 절에서 바울은 교회 안의 근심케 한 자 에 대해 그런즉 너희는 차라리 저를 서 2 7 ‘ ’ “ 하고 위로할 것이니 저가 너무 많은 근심에 잠길까 두려워하노라 고 말한다 그래서 바울 .” . 은 그들에게 사랑을 나타내라 고 권면한다 절 “ ” (8 ). 장 절에서도 그러나 비천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의 옴으로 우리를 위로 7 6 “ 하셨다 고 한다 왜냐하면 디도가 와서 고린도 교회가 바울을 사하고 애통해 하며 또 바 ” . 울을 위하여 열심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기 때문이다 절 그래서 바울은 이로 인하여 우 (7 ). “ 리가 위로를 받았고 우리의 받은 위로 위에 디도의 기쁨으로 우리가 더욱 많이 기뻐함은 그 의 마음이 너희 무리를 인하여 안심함을 얻었음이니라 고 말한다 절 그리고 편지 말미 .” (13 ). 에서 바울은 다시 형제들아 기뻐하라 온전케 되며 위로를 받으며 마음을 같이 하여 평안 “ , . 할지어다 라고 말한다 .” (13:11). 이처럼 고린도후서에는 고린도 교회를 향한 사도 바울의 근심과 염려 슬픔과 고통이 많 , 이 나타나 있으며 그런 환난 가운데서도 위로하시는 하나님의 위로가 잘 나타나 있다 따 , . 라서 위로 는 고린도후서의 중요한 주제로 볼 수 있으며 아니면 적어도 고린도후서를 지배 ‘ ’ , 하는 분위기로 볼 수 있다.
흐로쉐이드는 고린도후서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생명 이라고 한다 곧 영광 받으 ‘ ’(leven) . 신 구주로부터 신자들에게 주어지며 영광에서 영광으로 나아가는 참된 그리스도인의 생명 , ‘ ’(het 이다 그 생명의 기초들이 설명되어 있으며 또한 우리는 그것을waarachtige Christelijke leven) . , 일상생활의 실천 가운데서도 본다 헌금 금 고후 와 같은 구절 ( ). 2:16, 4:10,11,12, 6:9,16, 13:4 들은 계속해서 이런 것들을 말한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살며 성령을 통해 새 언약의 자유 . , 가운데 산다 이하 그 생명의 실천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참된 삶과 일치하는 것이어야 (5:1 ). 한다(12:20-21). 그러나 필자가 볼 때 흐로쉐이드의 이 견해는 고린도후서의 주제로서 별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 각된다 차라리 새 언약의 일꾼 된 사도 바울 로 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것도 . ‘ ’ . 고린도후서 전체를 나타내는 주제로는 미흡하다 기껏해야 장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하나님 . 3-6 . ‘ 의 위로 로 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된다 많은 환난 가운데서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고린도후서 ’ . 의 중심 주제라고 볼 수 있다.
씨름2)
13
고린도후서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사도 바울의 회적 고민과 몸부림이라고 할 수 있다 영혼을 녹이는 고뇌와 간절함 사함과 노심초사 등 바울의 인간적 습이 잘 나타 . , 나 있다 그래서 성도들의 영혼을 두고 씨름하는 회자의 참 습을 보여 준다 그래서 흐 . . 로쉐이드는 고린도후서에 대해 씨름의 편지 라고 말한다 ‘ ’(de brief van de worsteling) .62) 고린도 교회처럼 바울이 그렇게 씨름한 교회는 없다.63) 물론 바울은 갈라디아의 교회들에 대해서도 렬한 반응을 보인다 그러나 그는 그 교회들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가 적었으며 . 더 공개적으로 진리를 말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전부 잃어버릴까 . 염려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그래서 그는 강하게 권면할 때에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 . 도록 조심하고 있다 바울과의 관계가 깨어지거나 아니면 적어도 악화될까 위협받고 있다 . .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에서 취했던 조심스러움이 더욱 큰 정도로 여기에 돌아온다.64) 고린도후서에서 우리는 바울에게 큰 고통과 기쁨 낙심과 위로가 교차하고 있음을 볼 수 , 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 내의 많은 어려운 문제들과 씨름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자 . , 신을 공하는 많은 비난들과 거짓 사도들에 대해서도 씨름해야만 했다 바울 자신의 표현 . 을 빌리자면 그는 사방으로 우쌈을 당하였다 그러나 그는 싸이지 아니하며 답답 “ .”(4:8) “ 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며 핍박을 받아도 버린 바 되지 아니하며 거꾸러뜨림을 당하여도 망하지 아니한다 고 말한다 .” (4:8-10). 에서 바울은 그가 어떤 고난을 당하였는지를 말한다 말로 다 형언할 수 없는11:23-27 . 어려운 환난과 어려움을 많이 당하였다 그 외에도 그는 오히려 날마다 내 속에 눌리는 일 . “ 이 있으니 곧 든 교회를 위하여 염려하는 것이라 고 말한다 절 빌립보 교회를 향하 .” (28 ). 여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라 고 말한 바울이 정작 자신은 교회들을 위하여 염려함으로 자 “ .” 기 속에 눌리는 것이 있다고 한다 이것이 참된 회자의 습이다 많은 환난과 핍박 가운 . . 데서 고생하면서도 하나님을 의지하고 기도함으로 그 난관을 정면 돌파하는 회자의 습 을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낙심하지 아니하노니 겉사람은 후패하나 우리의 속은 날로 . “ 새롭도다 고 한다 이런 점에서 고린도후서는 어려움 가운데 씨름하는 한국 회자들 .” (4:16). 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다.
62)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31. 63) 이것은 고린도후서의 스타일에서도 드러난다 바울의 어떤 서신도 고린도후서처럼 감정에 동된 것은 없다 . . 64) Grosheide, 2 K o r i n t h i ë r s , 31.
'***신구약 성경강해*** > - 고전,후서 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공부(16)//부활의 증인들(15:) (0) | 2019.12.16 |
---|---|
고린도전서공부(17)//결론(16:) (0) | 2019.12.16 |
건강한 교회의 핵심 목회철학 (0) | 2019.12.16 |
유능한 목회자의 4가지 의무 (0) | 2019.12.16 |
고린도후서 한눈에 보기 (0) | 2019.12.16 |